• 제목/요약/키워드: 배터리 충/방전기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6초

다모듈 다위상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의 제어기 설계 및 동특성 해석 (Control Design and Dynamics Analysis of Multi-Module Multi-Phase Bidirectional Battery Charger/Discharger)

  • 강영봉;김동명;최병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899_90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다모듈 다위상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회로의 소신호 특성을 해석하여, 적절한 제어기 및 보상기 회로설계를 제안한다. 제안된 회로를 바탕으로 폐루프 응답 특성을 시뮬레이션과 측정을 하여 분석하고 검증한다. 최종적으로 설계된 제어기를 적용하여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회로를 동작 시켜봄으로써 안정성과 부하변동에 따른 응답 특성을 관측해 본다.

  • PDF

인공위성 병렬 연결 배터리 모듈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배터리 충.방전기 (A Novel Battery Charger/Discharger For the Parallel Connected Battery Module Satellite Power System)

  • 이기선;조윤제;장기영;조보형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537-543
    • /
    • 2000
  • 표준 배터리 모듈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배터라 충.방전기를 제안한다. 전체 시스템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충전기와 방전기의 회로가 하나의 컨버터로 구현되었으며, 최대 전력 추적을 포함한 태양전지 출략전압 제어와 태양 전지 출력과 부하 전력에 따른 배터리 충.방전 전류 제어를 동시에 수행한다. 또한, 제안된 컨버터는 부하의 전략 공급을 간단히 할 수 있는 일성 전압 버스(regulated bus)를 제공한다. 제안된 컨버터는 특성상 DCM으로 동작하므로 전듀의 첨두지가 크므로 고전력 시스템에서는 여러 개의 모듈로 사용되어야 한다.

  • PDF

통신위성 배터리 충,방전기 설계 및 해석 (Design and Analysis of a Battery Charge and Discharge Regulator of Communication Satellite)

  • 최재동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118-12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모듈형태의 배터리 충-방전기가 정상상태뿐만 아니라 과도상태에서 예기치 못한 결함이 발생할지라도 실패 없이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병렬형 양방향 컨버터로 설계되어졌다. 컨버터 모듈은 안정성, 성능 및 고신뢰성을 얻기 위해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제어기를 위해 사용된 평균전류모드방식은 노이즈 면역, 빠른 응답 및 평균전류 신호 획득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병렬 연결된 배터리 충-방전기에 대한 등가모델이 제시되었으며, 충전연속모드, 방전연속/불연속 모드에 대한 전달함수가 분석되었다. 병렬 양방향 컨버터는 스텝 부하변화와 하나의 컨버터 모듈 실패에 대해 각각 수행되었다. 그리고 병렬 양방향 컨버터의 성능이 실험결과들을 통해 검증되었다.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컨버터의 디지털 제어기 설계 및 구현 (Digital Controller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Bidirectional Battery Charging/Discharging Converter)

  • 이영진;한동화;최중묵;조영훈;최규하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3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4-12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배터리 충/방전을 위한 3상 인터리브드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디지털 전류제어기를 설계 및 구현한다. 기존의 아날로그 제어기와 달리 디지털 PWM 지연과 제어기 연산시간 지연에 대한 현상을 고려한 디지털 전류제어기를 설계하고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에 적용하여 타당성을 검증한다.

  • PDF

DC μ-Grid 기반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ergy Efficiency of Battery Charge/Discharge System based on DC μ-Grid)

  • 여성대;김종운;이경량;한철규;류태형;김경화;김성권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337-1344
    • /
    • 2015
  • Li-ion 배터리를 생산하는데 있어서 충/방전을 통한 formation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방전기의 부하 저항을 통해 방전하게 되는데 이때 에너지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DC ${\mu}-Grid$ 기반의 충/방전 시스템에서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DC ${\mu}-Grid$ 기반의 충/방전 시스템에서 충전 배터리 set 3개 기준 대비 방전 배터리 set의 수가 133%를 초과하게 되면 망 전압이 안정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압 fluctuation 폭을 초과하기 때문에 시스템에 치명적인 손상을 야기한다. 따라서 충전 배터리 set 3개 기준 대비 방전 배터리 set의 수를 133%까지 운영할 수 있으며 획기적인 에너지 절감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변압기 직렬구성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충·방전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attery charger for an electric vehicle using the Cascaded transformers)

  • 양지훈;황정구;고재하;박성준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5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3-444
    • /
    • 2015
  • 본 논문에서 제안된 충 방전기는 입 출력 절연을 통하여 안전성 향상하였고 3개의 변압기를 1차 측은 직렬로 연결하여 변압기에 권선비를 줄임으로써 충 방전기의 소형 및 경량화를 성취하였고 2차 측을 병렬 연결하여 스위칭 소자에 걸리는 전류 스트레스를 감소 시켰으며 컨버터 절연부에 직렬 공진형 Soft Switching 방식을 적용하여 높은 스위칭 주파수에서도 충 방전기에 고효율화가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내용은 PSIM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로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PDF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컨버터의 소신호 해석과 제어기 설계 (Small-Signal Analysis and Control Design of a Bidirectional Battery Charging/Discharging Converter)

  • 최석재;김동명;김수한;최병조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1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177-17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dc 버스기반의 전력시스템에서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회로의 기능을 하는 부스트 컨버터의 소신호 해석과 제어기를 설계 하였다. 컨버터가 동작하는 동안 컨버터의 듀티비 대 출력 전달함수에 나타나는 s-도메인 평면의 오른쪽면과 왼쪽면에 걸쳐 움직이는 RHP 영점 대해 새롭게 밝히고, 움직이는 영점의 근원과 그것 따른 제어기 설계 결과를 보여준다.

  • PDF

EV용 양방향 배터리 충전기 (Bidirectional Battery Charger for EV)

  • 박승희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3-94
    • /
    • 2013
  • 최근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이지는 가운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충전기술 또한 대두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충전 기능 만을 고려한 단방향 충전시스템에서 방전 기능을 추가한 양방향 충전시스템에 대하여 서술한다. 양방향 시스템은 차량의 배터리를 저장매체로 활용하여 계통과 배터리간의 전력을 양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주차된 차량등의 배터리의 잉여전력을 계통으로 전송 할 수 있다. 용량은 가정용으로써 3.3kW 탑재형 단상 양방향 충/방전기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결과를 도출했다.

  • PDF

UPS용 납축전지를 위한 배터리관리시스템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UPS Lead-Acid Battery)

  • 서철식;문종현;박재욱;김금수;김동희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27-13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무정전 전원시스템(UPS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의 에너지 저장용으로 사용되는 납축전지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 관리하는 배터리관리시스템을 설계, 제작하고, 잔존용량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배터리관리시스템은 배터리의 충 방전 전류를 제어하여 과방전 및 과충전으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며, 충 방전 시 배터리 잔존용량(SOC)을 예측하여 배터리를 최적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또한 충 방전 시험기를 이용한 실험과 UPS에 장착한 후 성능 실험을 통해, 제작된 시스템의 성능 및 제안된 배터리 잔존용량 추정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입증한다.

태양광.풍력 복합발전용 PCS시스템 제어특성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Photovoltaic/Wing Hybrid PCS System)

  • 정영석;유권종;강기환;송진수;김홍성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9-25
    • /
    • 2000
  • 본 논문은 배터리 충방전 제어기를 가지는 독립형 태양광·풍력 복합발전시스템에 대해서 기술한다. 복합발전시스템의 주요 전력원은 일반적으로 태양전지 어레이, 풍력발전, 배터리로 구성된다. 태양광·풍력 복합발전시스템은 기상조건의 상호 보완성 때문에 풍력 또는 태양광을 단독으로 이용하는 것에 비해서 배터리 수요를 줄일 수 있으며, 자연에너지의 활용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제안된 복합발전시스템은 충방전 제어기가 포함되어 있어 태양전지 어레이의 최대출력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순시치 제어기로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시스템의 동작특성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