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터리 운용 시스템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2초

1kW급 연료전지-배터리 복합 전원 시스템의 운용 알고리즘 구현 (The operation algorithm of the 1kW fuel cell-battery hybrid power system)

  • 박진주;채수용;송유진;한수빈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5-96
    • /
    • 2013
  • In this paper, an operation algorithm for the fuel cell-battery hybrid power system is proposed. As the output current slope of the fuel cell is normally limited to protect the fuel cells' defection, efficient power distribution algorithm between the fuel cell and battery is very important for the successful hybrid control operation. For the experimentation, a 1kW dc-dc converter with 500W fuel cell stack and 1kWh Li-polymer battery is implemented.

  • PDF

Acoustic releaser 제어를 위한 강인한 수중음향신호 인식 알고리즘의 개발 (A Development of Robust Underwater Sound Signal Recognition Algorithm for Acoustic Releaser)

  • 김영진;허경무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1권3호
    • /
    • pp.33-3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해저의 환경변화에 따른 외란 요소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음파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수중음향 신호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배터리에 의존하여 장시간 운용되어야하는 시스템에 적합한 저소비전력형으로서, 신속하게 음파신호를 인식할 수 있고 해양환경 변화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의 효율성을 수학적모델에 따른 수치시험과 회로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EVs/PHEVs용 Bidirectional-LDC 일체형 Onboard Battery 충전시스템 제어알고리즘 (Control Algorithm of Bidirectional-LDC Integral Onborad Battery Changing System for EVs/PHEVs)

  • 김윤성;오창열;성원용;이병국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2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596-597
    • /
    • 2012
  • 본 논문은 EVs/PHEVs에 사용되는 Bidirectional-LDC 일체형 OBC의 회로구조 및 동작특성 분석결과를 보고한다. 설계된 OBC는 한 개의 트랜스포머와 히트싱크를 LDC 회로와 공유하며, OBC의 출력 측 브릿지 방식의 정류회로는 LDC 동작 시 양방향 운용이 가능하다. 논문에서는 배터리 충전 조건에 따른 적합한 동작모드 제어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검증을 위한 프로토타입의 시험결과를 보고한다.

  • PDF

소형위성 ETB에서의 전력계 기능시험

  • 윤영수;박종오;최종연;권재욱;안재철;조승원;김영윤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3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2권2호
    • /
    • pp.91-91
    • /
    • 2003
  • 위성을 발사하기 전까지는 지상에서 EGSE(Electrical Ground Support Equipment)를 이용하여 충분한 시스템 단위의 위성체 기능 시험을 수행한다. KOMPSAT-2(Korea Multi-Purpose Satellite - 2)와 같은 소형 위성의 서브시스템 각각이 요구사항에서 제시하는 규격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점검하는 단계에서 전력계 관련 서브시스템의 기능 시험도 EPS(Electrical Power Subsystem) Test Plan에 의해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KOMPSAT-2 ETB(Engineering Test Bed)에서의 전력계 시험은 먼저 Test Fuse Modules Check를 수행하였다. 퓨즈 모듈은 PCU(Power Control Unit) 상에 설치되어 있는 장치로써 퓨즈 모듈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도통성 및 다른 출력과의 절연성을 검증한다. 다음으로 EGSE 중 PMTS(Power Monitor Test Set)와 PCU와의 직렬 인터페이스를 점검하는 PCU Interface Check를 수행하였다 시험절차서에 따라 PCU가 가지는 릴레이 스위치에 대하여 명령어를 보내어 릴레이의 동작 상태 및 출력 전압 등을 점검한다. 다음 단계에서는 DC Integration을 수행하여 ETB 하니스 중 전원 관련 라인을 점검하였다 PCU는 모든 위성체 하드웨어에 전력을 공급하는 장비로써 과전력으로부터 하드웨어를 보호하기 위하여 하니스를 연결하기 전에 우선적으로 시험한다. 다음으로는 ECU(EPS Control Unit)가 각각에 해당하는 하드웨어에 명령어를 보내어 전력계 전체적인 동작 상태 검증하는 EPS Hardware Command & Telemetry Checkout을 수행하였다. ECU는 전력계의 모든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그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한다. PCU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력의 제어 및 분배에 관련되는 특성을 제어 및 모니터하며 DDC(Deploy Device Controller)는 ECU로부터 명령어를 받아서 arm 및 safe 상태에 대한 텔리 메트리 데이터를 제공한다 그리고, SAR(Solar Array Regulator)는 ECU로부터 Bypass Relay 및 ARM Relay에 관한 명령어를 받아 수행되며 그에 따른 텔리 메트리 데이터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EPS 소프트웨어를 검증하는 EPS Software Verification을 수행하였다 전력계 소프트웨어의 설계의 검증 부분은 현재 설계 제작된 전력계 .소프트웨어의 동작 특성 이 위성 의 전체 운용개념과 연계하여 전력계 소프트웨어가 전력계 및 위성체의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전력계 운용 소프트웨어는 배터리의 충ㆍ방전을 효율적으로 관리해 3년의 임무 기간동안 위성체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 PDF

스마트 그리드환경에서 전기자동차 양방향 충전기술의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연구 (Security and Privacy Protection of Vehicle-To-Grid Technology for Electric Vehicle in Smart Grid Environment)

  • 이성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441-448
    • /
    • 2020
  • Vehicle-to-Grid(V2G) 기술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분산발전원 및 에너지 저장장치로의 이용하려는 기술로 스마트그리드의 주요한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V2G 네트워크는 양방향의 통신망을 사용함으로 피할 수 없는 보안 취약점과 개인정보보호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V2G 시스템의 구조, 사용되는 개인정보, 보안취약점 및 보안 요구사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분석한다. 그리고 V2G 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V2G 시스템의 구조와 운용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대칭키 암호와 해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고 양방향 인증을 수행하며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성을 최소화 한다.

Vehicle-To-Grid 시스템에서 블록체인 활용에 관한 연구 (Study of Application of Block Chain for Vehicle-To-Grid System)

  • 이성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759-764
    • /
    • 2021
  •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스마트그리드의 한 요소로 사용하려는 Vehicle-to-Grid(V2G)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기자동차와 V2G 서비스 제공자 사이에 결재정보를 포함한 민감한 개인정보 교환을 위한 신뢰성 높은 통신망이 구성되어야한다. 블록체인은 암호화폐의 거래를 위해 고안된 플랫폼으로 중앙의 관리자나 제 3자의 도움을 받지 않고 동등한 노드들에 의해서만 운영되는 신뢰할 수 있는 분산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본고에서는 블록체인의 구조와 운용방식에 대해 알아보고 V2G 시스템에서 블록체인의 활용에 대해 설명하고 분석하였다.

UMTS 상태 천이 방식에서 에너지 소비와 활성 지연간의 트레이드오프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Tradeoff between Energy Consumption and Activation Delay in UMTS State Transition Mechanism)

  • 최현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A권12호
    • /
    • pp.1085-1092
    • /
    • 2012
  • 이동통신 시스템은 무선 자원과 배터리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자 상태 천이 방식을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 천이 방식에서는 에너지 소비가 많은 상태가 기본적으로 짧은 접속 지연을 제공하므로 에너지와 지연 성능 사이에 트레이드오프 관계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응용 서비스의 트래픽 속성을 고려하여 UMTS 시스템의 사용자 상태 천이 방식을 분석한다. 상태 천이 방식의 마르코프 모델링을 통하여 에너지 소비량과 활성 지연을 수학적으로 도출하고 운용 파라미터에 따라 이들의 트레이드오프 관계를 파악한다. 분석 결과로 도출된 에너지-지연 트레이드오프 곡선은 주어진 상태 천이 방식이 달성 가능한 성능 한계를 보여주며 지연 요구사항을 보장하면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 최적 운용 전략을 제시한다.

무선영상취득시스템에 의한 홍수시 소하천의 유량 측정 (Measurement of Flow Discharges in the Small-sized Rivers using the Wireless Image Acquisition System)

  • 류권규;이남주;강태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62-62
    • /
    • 2018
  • 무선영상취득시스템(WIA 시스템, Wireless Image Acquisition System)은 라즈베리 파이에 전용 카메라와 WiFi 모듈을 장착하여, 하천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무선으로 서버로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이 갖는 가장 큰 이점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비용이 매우 저렴하다는 점이다. 라즈베리 본체와 카메라 모듈, WiFi 모듈 모두 매우 저렴하고, 또 사용하는 전력이 작아서 상용 전원이 아닌 태양광 발전이나 배터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비용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어디든지 설치하여 하천의 상시 감시나 계측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용 전원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산간벽지나 오지 등의 소하천 관리에도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 WIA 시스템을 경상남도 김해시의 대청천에 적용하여 홍수 시 하천의 수표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동영상을 분석하여 수위와 유속을 동시에 계측하여 유량을 산정하였다. 라즈베리 파이에 $640{\times}480$ 화소의 카메라를 장착하여 10분 간격으로 10초간의 동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WiFi 모듈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서버로 전송한다. 전송된 동영상을 분석하기 전에 설치 지점의 3차원 좌표 변환 자료와 횡단면 좌표를 입력하여 대상 지점의 측정 매개변수를 설정한다. 즉, 이들 자료에서 영상 내의 표정점과 측정선을 설정해 둔다. 그 다음, 전송된 동영상을 시공간 영상으로 만들어 수위를 분석한다. 비슷한 방법으로 동영상에서 유속을 분석하고, 분석된 수위와 유속, 그리고 미리 설정된 횡단면 좌표를 이용하여 유량을 산정해 낸다. 설치된 WIA 시스템을 실제로 운용하여, 2017년 9월 11일의 06:10~19:00의 호우 사상 전체를 분석하였다. 10분 간격으로 촬영된 10초간 동영상 중에서 적절한 분석이 가능한 영상 77개에서 수위와 유속을 분석한 결과, 최대 수위는 0.746 m(간이수위표 기준), 최대 유속은 0.962 m/s, 최대 유량은 $12.977m^3/s$에 이르렀다. 지점 특성상 다른 유속계를 이용한 검증은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또, 하폭이 넓어서 일출 전과 일몰 후의 촬영 자료는 분석이 어려운 점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문제들을 보완하면, WIA 시스템을 이용한 소하천의 수위와 유속 측정 시스템은 경제성이고 효율이 높은 관측시스템으로 유망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전기추진시스템용 OPMS 기법 연구 (Optimization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propulsion system)

  • 이종학;오진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8호
    • /
    • pp.923-929
    • /
    • 2019
  • 자율운항선박의 기반은 추진시스템의 안정성이 중요하며, 추진체계의 안정성을 위하여 다중 발전 체계 및 추진체계를 갖추어야한다. 기존 선박에서는 안정성을 위하여 높은 발전 용량을 산정하며, 그 결과 저부하 운전으로 인한 경제성 하락을 야기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력체계의 최적화를 통하여 발전 체계의 경량화와 효율의 증가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기추진선박용 OPMS(Optimization Power Management System)를 구축한다. OPMS는 하이브리드형 발전시스템, 에너지저장시스템, 부하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발전시스템은 이중연료엔진, 에너지저장시스템은 배터리, 부하제어시스템은 추진 부하, 상용 부하, 불규칙 부하, 화물 기기 관련 부하, 갑판 부하로 구성된다. 각 시스템별 기기들의 특성에 대하여 모델링하여 전력체계를 구축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선박 운용에 따른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안정성 및 경제성을 기존의 전기추진선박과 비교하였다. 실험의 결과 발전기의 비교적 적은 시간 투입으로 같은 전력량을 공급함으로써 선박의 LNG 1.3%, Main Fuel 0.3%, Pilot Fuel 35.1%의 연료소모량 감소를 통하여 경제성 및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인텔리전트 빌딩을 위한 저 전력 주차관리 시스템 (A Low Power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Intelligent Building)

  • 이창기;임형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479-1485
    • /
    • 2012
  • 주차관리 시스템은 주차장에서 주차 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자에게 주차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동시에 다수의 센서, 디스플레이와 제어모듈을 이용하여 아주 소량의 전기 에너지 만을 소모한다. 친환경 빌딩 설계의 요구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주차관리 시스템의 운용 전력 감축 문제가 이슈화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차관리 시스템의 감지기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계와 소비 전력 감축의 결과를 제시한다. 이 시스템은 무선 Park Tile 과 Park Disk를 사용하여 전력소비를 감축 시키고, 여러 개의 주차 공간 감지기와 자동차 카운터,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안내 터미널과 제어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스템구조 설계와 통신망 설계, 주차 정보 서비스 시나리오 계획, 배터리 수명 제어, 운영전력 평가 등이 수행되었다. 주차장당 운영전력은 0.93KW로 평가 되었으며, 이는 기존 시스템의 20%정도 이고 매년 유지비는 기존 시스템에 비해 18%에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