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치

검색결과 8,381건 처리시간 0.035초

하이브리드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모바일 센서 배치 (Energy-aware deploy method for mobile sensors in hybrid sensor network)

  • 김연준;인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D)
    • /
    • pp.791-795
    • /
    • 2006
  • 하이브리드 센서 네트워크에서 static sensor node들이 초기 배치된 후, coverage-hole을 결정하여, hole을 커버할 mobile sensor node들의 필요한 수 및 위치를 결정하고 배치하는 연구는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다. 그러나 mobile sensor node들을 호출하고 배치하는데 너무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overage-hole에서 mobile sensor node들을 호출하기 전에 mobile sensor node들을 최대한 coverage-hole에 가깝게 배치하여, 호출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절감하였다.

  • PDF

초대형 Containership 선수부 구조 최적 배치

  • 이진호;이경석;임강재;한성환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7-50
    • /
    • 2005
  • 최근 Containership의 대형화가 진행됨에 따라 선수부의 선형 변화에 따른 선체의 구조부재 배치에 상당한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선수구조는 선형 변화 특히, Bow Flare Angle의 작은 변화에도 Bow Impact Pressure가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함으로 외력에 의한 구조 배치 변경 및 추가적인 구조보강에 대한 여유를 갖고 설계를 진행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수부의 선형 및 구조 배치 변화에 따른 강도 평가를 구조해석을 통하여 구조 안정성을 검증하였으며, 구조 안정성 평가 절차 및 구조 해석 결과에 따른 구조 최적 배치 및 구조개선 사항을 간략히 정리하였다.

  • PDF

정주형 플로팅 건축물 상부시설의 배치 및 형태계획 지침 작성 방안 연구

  • 송석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3-215
    • /
    • 2011
  • 국내외에서 플로팅 건축물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함께 수요가 현실화되고 있는 반면, 플로팅 건축물 계획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배치와 형태계획 등에 관련된 직접적인 지침은 없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국내외 관련 지침을 조사하여 배치 및 형태계획과 관련된 지침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배치 및 형태계획 지침을 작성하기 위한 지침 구성 체계를 제안하였다.

  • PDF

도면 조각 배치 및 절단 응용 (Application for Arrangement of Drawing Pieces and Their Cutting Sequences)

  • 한진호;노영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37-439
    • /
    • 2016
  • 절단을 위해 한번 자를 때 끝까지 잘라야만 하는 길로틴 절단 시에, 작업자가 잘라야 하는 조각 배치를 생각하면서 작업을 해야 한다. 이때, 어떤 식으로 배치해야 할 것인 가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이 많이 들고, 최적의 배치를 만들어 내는데 한계가 있어 낭비되는 조각들이 생겨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조각 배치를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였고, 철판절단 숙련 작업자와 비교하여 보았다.

배치 알고리즘에 대한 고찰

  • 정용진;손진우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권1호
    • /
    • pp.99-109
    • /
    • 1988
  • 전자회로의 설계 자동화에 있어 중요한 단계인 레이아웃(layout)의 주기능은 배치(placement)와 배선(routing)이라 할 수 있으며, 그중 배치는 크게 constructive와 iterative의 두 부류로 나누어진다. 이들의 가장 주된 목적은 배치의 다음과정인 배선(routing)에서 높은 배선율(routability)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고에서는 배치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알고리즘과 개발동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의 개발과 자동설계 시스팀의 효율적인 사용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도식화된 지도 생성을 위한 아이콘과 레이블 배치 알고리즘 (An Icon and Label Replacement Algorithm for Generating Schematic Map)

  • 류동성;박동규;이도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596-59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아이콘과 레이블을 가진 도식화된 지도(Schematic map)를 생성차기 위한 아이콘과 레이블의 효과적인 배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먼저 지리정보시스템(GIS)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원시 정보를 파서로 분석한 후, 지형도 데이터에서 시각화에 필요한 부분만을 추출한 후 이들 선분에 대하여 선분 간략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기도를 생성한다. 그리고 장식 및 정보의 표기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아이콘 및 레이블 정보들의 특징을 반영하여 후보 영역을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생성된 후보영역 내에서 중첩이 발생하기 않으면서 아이콘을 설명하는데 적절한 최적화된 위치의 레이블을 배치하여 이들의 배치 값들 중 최적의 값을 얻은 후 이 최적의 위치에 아이콘과 레이블을 배치하도록 하였다.

  • PDF

항로표지 배치 적합성 검증 방안에 관한 연구

  • 백인흠;박준모;이미라;하창승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1-82
    • /
    • 2022
  • 항로표지는 선박이 항로에서 안전하게 항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때문에 국가에서는 항로표지 배치의 적합성 여부에 대한 검토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새로운 항로표지 배치 적합성 검증을 위한 알고리즘 및 시스템을 구현하고 실제 항로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크기를 고려한 Rule-based 배치 프로그램 개발

  • 박성범;장영조;이철동
    • ETRI Journal
    • /
    • 제9권1호
    • /
    • pp.49-56
    • /
    • 1987
  • 본고에서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크기, 연결관계를 표현하는 입력 회로 정보와 트랜지스터가 배치될 규격을 표시하는 78개의 rule을 이용해 효과적인 배치를 행하는 rule based 배치 프로그램에 대해 기술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후 진행될 배선 연구에 이용되어 트랜지스터 회로의 레이아웃 시스팀을 구축하기 위해 응용될 것이다. 프로그램은 VAX-II/750 UNIX 4.2 BSD하의 Franzlisp으로 개발되었다.

  • PDF

"영화 만화" 생성을 위한 말풍선 자동 배치 기법 (An Automated Procedure for Word Balloon Placement in Cinema Comics)

  • 황원일;천봉경;류동성;조환규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7-36
    • /
    • 2006
  • 영화와 같은 사실적인 영상은 너무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서 때로는 사용자에게 제작자의 의도를 쉽게 전달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와 달리 만화와 같은 비사실적인 영상은 중요하지 않은 부분을 아주 간단하게 표현하거나 혹은 중요한 부분만을 강조해서, 작가의 의도를 직관적으로 훨씬 잘 전달해 준다. 만화는 스피드라인, 말풍선, 배경 텍스쳐 등과 같은 만화 고유의 표현 기법들을 통하여 일반 정지영상들보다 많은 부가적인 정보를 전달해 준다. 특히, 말풍선은 장면 내의 인물들의 대사를 전달하는 매체로, 올바른 내용 전달을 위해 읽기순서(reading order)에 따른 말풍선간의 관계 및 말풍선과 인물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배치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영상에서 추출된 장면의 만화적 변환을 위한 기법들 중에서 말풍선 자동 배치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지도에서 지명을 배치할 때 흔히 사용하는 특징점 라벨 배치(Point-Feature Label Placement) 방법에 기반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말풍선 배치가 얼마나 잘 되었는가를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인 평가 함수를 제안하였다. "Love Actually", "살인의 추억"등의 다양한 영화 장면들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제안한 방법의 말풍선 배치 결과가 사람이 수작업으로 배치한 것과 비교해 크게 부족함이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국 소방력배치의 실태 분석 (Analysis on Deployment of Fire Service Force in Korea)

  • 백민호;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55-70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취락유형별 소방력배치의 실태를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서 환경과 수요에 부합하는 적정규모의 소방력배치 여부를 고찰하였다. 소방력기준의 법적 근거와 시 도별 소방력배치 현황에 대한 자료들을 토대로 현행 소방력기준에 따른 소방력배치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통계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취락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취락유형별 소방력배치 모델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취락유형별 소방력배치는 소방수요와 무관하게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