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치

검색결과 8,381건 처리시간 0.036초

컨테이너터미널의 시설물배치 연구 (A Study on the Facilities Arrangement of Container Terminal)

  • 김우선;정승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3-143
    • /
    • 2004
  •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시설물배치의 중요한 목표는 단위물류영역별로 각각이 서로 효율적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인 이동시간의 최소화와 역주행방지, 기존공간의 최적활용, 작업자의 편익과 컨테이너 취급비용의 최소화로 컨테이너 처리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컨테이너터미널시설물의 합리적인 배치가 기본이 돼야 한다. 따라서, 합리적인 배치를 위해서 기존 컨테이너터미널 종사자 및 전문가들이 가지고 있는 현장에서의 경험적인 지식을 이용한 접근방법과 물류흐름의 동선 및 체계의 계량적분석이 가능한 수학적인 체계적 분석방법을 결부 시켜 컨테이너터미널의 시설물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험적인 지식과 수학적인 분석 방법이 결합된 시설물배치의 체계적접근방법을 이용한 연구흐름도를 작성하고, 분석절차에 따른 시설물배치과정을 수행했다.

  • PDF

배치 형태에 따른 사각형 복합 인공어초의 침하 및 세굴 특성 (Characteristics of Settlement and Scour of Square-Shaped Hybrid Reef according to Placement Types)

  • 윤대호;김윤태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1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지오그리드로 보강된 사각형 복합 인공어초의 침하 및 세굴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대형 수조 침하 실험, 2차원 흐름 수조 실험 등 다양한 실내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인공어초의 각 배치 형태(배치도 A; 나란히 배치된 형태, 배치도 B; 지그재그로 배치된 형태)에 따른 세굴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실내 실험 결과 무보강된 인공어초에 비해 지오그리드가 보강된 인공어초의 침하 및 세굴 깊이가 크게 저감되었다. 인공어초 배치 형태에 따른 세굴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흐름 수조 실험과 수치해석을 수행한 결과 배치도 A의 세굴 깊이와 유속 벡터는 배치도 B보다 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탐색범위 확장을 고려한 위치추정 알고리즘의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Location Estimation Algorithm Considering an Extension of Searching Area)

  • 정승희;이현재;오창헌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385-39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2.45GHz 대역 RTLS 환경에서 탐색범위 확장을 고려한 위치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평균 추정오차 성능을 분석하였다. 확장 가능한 탐색범위는 $300m{\times}300m$, 2차원 평면상의 정사각형으로, 가용리더의 배치 형태는 원형 배치와 사각형 배치 그리고 탐색범위 확장을 위한 축소된 사각형 배치를 고려하였다. 또한, RTLS의 위치추정 실험 조건으로 LOS 전파환경을 가정하였으며, 수신된 sub-blink 수에 따른 가용리더의 배치 형태별로 위치추정 성능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위치추정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위치를 추정한 결과, 원형 리더 배치가 탐색범위 확장이 유리한 사각형 리더 배치에 비하여 우수한 위치추정 정확도를 보였다. 이에, 위치추정의 정확도가 우수한 원형배치와 확장이 유리한 사각형 배치의 장점을 절충하여 탐색범위 확장을 위한 축소 사각형 배치를 제안하였으며, 실험 결과, 제안한 위치추정 알고리즘이 탐색범위 확장을 고려한 축소된 사각형 리더 배치에서도 높은 위치추정 성능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 PDF

전극배치에 따른 2차원적 동전기 정화 특성의 수치해석 (The Numerical Analysis of Two-Dimensional Electrokinetic Remediation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Electrode Configurations)

  • 김수삼;한상재;김병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5C호
    • /
    • pp.291-30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HERO-2D를 이용하여 전극배치에 따른 2차원 동전기 정화 특성을 예측하였다. 즉 1차원 전극배치와 2차원 전극배치에 대해 전극 간 간격을 변화시키면서 나타나는 동전기 현상을 예측하고, 이러한 예측결과를 토대로 소비 전력량, 전극 설치 비용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각각의 전극배치마다의 전극간격을 결정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지역의 높은 정화효율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높은 전체 정화효율을 나타내는 전극배치를 채택하는 것이, 대상부지에서 시공상의 어려움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2차원 전극배치에 비해 시공이 용이한 1차원 전극배치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4각형 전극배치는 전력소비량과 단위전력당 정화속도, 그리고 전극설치비용 등 경제성 면에서 다른 전극배치보다 우수함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시공에 투입되는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할 경우에 적용한다면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마이크로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2차원 부재의 최적화 배치 (Optimal Two-Dimensional Layout using Micro-Genetic Algorithms)

  • 김한중;조범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843-848
    • /
    • 2001
  • 산업현장에서 생산원가의 절감에 관심이 않아지면서 넓은 원자재에서 크기가 다양한 작은 부재를 절단하여 소재를 얻는 경우, 넓은 원자재에 소재를 배치하는 상태에 따라 원자재의 사용비율은 달라지게 된다. 같은 양의 제품을 만들 때 원자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면 그 만큼 원가를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원자재에 소재를 배치하는 기본 논리와 방법을 고찰하고, 적당하며 실용적인 방법을 제시하며, 이러한 기반을 토대로 Micro-Genetic Algorithms($\mu$GAs)을 이용한 2차원적 부재의 최적화 배치 효율을 측정하여 기존의 배치알고리즘과 비교하였다. 위의 과정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며 기존의 연구보다 좋은 배치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배치의 들과는 최적에 가까운 상태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원자재의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었다.

  • PDF

타이밍이 고려된 배치를 위한 기하적인 제약조건 탐색 (Geometric Constraints Exploration for Timing-Driven Placement)

  • 이재훈;조준동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 (C)
    • /
    • pp.375-379
    • /
    • 2007
  • 고성능 VLSI 설계 시 배치 후를 포함한 전체적인 설계 과정이 완성되기 전까지는 물리적인 정확한 설계의 특성은 배치 단계에서는 알기 어렵다. 따라서 주어진 성능 (시간적 제약조건)을 만족하는, 즉, timing-driven placement (타이밍이 고려된 배치)는 1.0 미크론 이하의 초미세한 설계에서 중요하게 되었다. 타이밍을 고려한 배치는 초기 레이아웃 디자인 단계에서 타이밍 제약조건에 의해 디자인 반복을 줄인다. 하지만 대부분의 배치 단계의 디자인 모델은 배치단계에서 기하학적인 면을 고려하여 최대허용 지연시간 (Slack 이라고 부름)과 같은 물리적인 디자인 효과를 분석하기 어려운데 이것은 물리적으로 정확한 특성이 이 단계에서 알려지지 않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하적인 요소를 고려한 Slack의 재분배의 이점을 이용하여 허용 지연시간 처리의 혁신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접근법은 timing-closed 솔루션을 쉽게 찾는데 도움을 주고 이는 디자인을 반복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한다.

  • PDF

최적 인터리빙을 이용한 배치 개선 알고리즘 (An Algorithm for Improving Placement Using Optimal Interleaving)

  • 성영태;오은경;허성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339-342
    • /
    • 2003
  • 배치는 칩의 성능 및 레이아웃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써 크게 광역배치와 상세배치 두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며 수년 동안 다양한 기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표준 셀 배치를 개선하기 위한 동적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한 최적 인터리빙 알고리즘을 확장하여 선을 동일 행 내에서만 움직이던 한계점을 극복하여 서로 다른 행 사이에서도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셀들은 주어진 배치 내에서 임의의 위치로 움직일 수 있어 배치가 더욱 효율적으로 최적화 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동적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배치 개선 알고리즘 (An Efficient Algorithm for Improving the Detailed Placement Using Dynamic Programming Technique)

  • 오은경;허성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517-520
    • /
    • 2002
  • YLSI 칩 설계에서 물리 설계의 과정은 칩의 크기나 성능 그리고 칩 생산수율 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단계로써 이 자체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또 여러 세부 단계로 나누어 물리 설계가 수행된다. 그러므로 물리 설계를 위한 많은 연구가 계속되어 왔고 그 중 배치를 위한 연구도 20여년 이상 되어 왔다. 좋은 배치를 얻기 위해 크게 두 단계, 즉 광역배치(global placement)와 미세배치(detailed placement) 단계로 나누어 수행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미세 배치를 매우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동적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제시하며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시된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최근의 최신 배치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결과에 본 논문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을 적용했을 경우 HP(half perimeter)가 평균 3.4% 정도 개선되었다.

  • PDF

WSN에서의 혼잡구간(Congestion Region) 회피를 위한 노드 배치 기법 연구 (A study of node displacement mechanism to migrate congestion region in WSN)

  • 차현수;김영준;김기형;유승화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03-706
    • /
    • 2011
  •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고 네트워크 구축비용의 최소화를 위해서 에너지 소비, 보안, 선서 노드 배치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센서 노드 배치는 네트워크의 구축비용과 해당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연구 분양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센서 노드 배치기법을 활용하여 네트워크내에서 발생하는 혼잡구간을 회피하는 배치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초기 배치된 노드들이 자신의 주변을 가상의 격자 구조에 대응시켜 해당 격자당 포함되어 있는 주변 노드를 검색한다. 이를 통해서 주변 격자들중 노드가 가장 적게 배치되어 있는 격자를 혼잡 후보 구역으로 선택하고 실제 혼잡이 발생하는 지 확인한 이후해당 혼잡구역 구역을 지나가는 트래픽을 우회 시킨다.

항로표지 배치 적합성 평가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 분석

  • 백인흠;박준모;하창승;강시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4-195
    • /
    • 2023
  • 항로표지의 배치는 전문가의 주관적 경험에 의존하여 배치하므로 오차를 발생하여 항해의 위험이 되곤 한다. 이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항로표지 배치에 대한 적합성 평가 시스템이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1년도부터 『항로표지 배치 적합성 평가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개발을 시작하여 2,025도에 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개발 중인 『항로표지 배치 적합성 평가 서비스 시스템』에 대하여 연구자, 해양수산부 공무원(항로표지과), 항해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시스템에 대하여 설문 조사·분석 하였다. 만족도 분석 결과 75%로 나타남.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