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종장치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sign of Roller-Type Metering Device for Precision Planting (정밀 파종용 롤러식 배종장치의 설계)

  • 류일훈;김경욱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2 no.4
    • /
    • pp.401-410
    • /
    • 1997
  • Scattering of seeds is one of the problems in the hill- dropping planters with a roller-type metering device. For crops like rice, corns and beans, the hill-dropping is own better for a high yield than the drill planting. The roller type metering device has been used for the drill planters and has many advantages. However, it has a problem of scattering of seeds when they are placed on rows. In this study a method was developed to design the roller type metering device fir the precision hill-droppings. Design parameters were derived to configure completely the geometries of the roller and brush. The method was applied to the design of the metering device of the rice seeding machines. The field test showed that the metering device designed by the method made a better performance of seed placement than that made by the precvious one. The method also can be applied to the design of metering devices for the precise hill-droppings of other crops.

  • PDF

Design by improvement of main parts of garlic planter (7조식 직립마늘파종기 배종율 개선 설계 및 제작)

  • Lee, Choong Ho;Ha, Jong Woo;Jang, Ji Un;Lee, In Beom;Kim, Hyun G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86-86
    • /
    • 2017
  • 마늘파종기는 파종기구동부와 파종후 파종홀의 복토역할을 하는 파종기롤러, 지면과의 마찰을 통해 바퀴의 회전토크가 발생하며 발생된 토크는 파종기 내부 동력으로 전달되어 전체 파종시스템(배종, 호퍼캠, 파종부)을 동작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파종바퀴, 마늘종구를 한알씩 집어올려 중간이송컵으로 이송하는 자세교정컵이 포함된 배종부와 자세교정컵에서 낙하된 마늘종구를 땅속으로 파종하는 파종장치로 구성된다. 배종율 95%, 2립 배종률 5%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될 경우 세계적으로도 독보적인 기술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컨셉모델에 대한 설계를 수행하여 시제품개발 전 기구해석과 구조해석 등을 위한 기본설계를 수행하였다. 배종율 95% 이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현장경험의 의한 설계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시뮬레이션 및 분석 개발이 필요한데, 프레임은 고정밀 마늘종구 배종부 장착을 위한 기본 구조물로써 작동시 동력을 얻기 위한 바퀴와 연계가 되도록 설계되었으며, 호퍼는 배종 수행을 위해 마늘을 저장해 두는 통으로써 배종부와 연결된다. 배종부의 배종판이 회전함에 따라서 배종판의 홈이 호퍼 내로 들어갔다 나오면서 마늘을 집게되며, 동력 전달부는 배종판을 회전시켜주고, 회전 속도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파종부는 배종부에서 중간컵을 통해 하나씩 공급해준 마늘을 땅에 심는 부분으로서. 프레임의 바퀴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하고 설계하였다. 배종판에서 중간컵으로 이송된 마늘을 파종부의 파종컵에 받아 회전하면서 땅속에 파종컵이 묻히면 파종컵이 열리면서 땅속에 마늘을 심는 원리이다. 조간조정은 7조식의 경우 초기설치시 고정되도록 설계되었으며 농촌진흥청 기계화 표준재배안에 따라 의성마늘 기준 $14{\times}14cm$(조간${\times}$주간)를 기준으로 개발하였다. 조간조정은 기계가 설치되면 조정하기 어려우므로 14cm로 설계하였으며, 주간조정은 원형배종장치의 구동기어부의 속도비로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기어장치를 설계하였다. 주간조정은 13에서 18cm의 범위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으며, 필요에 따라 간격조절이 가능함. 마늘은 그 크기가 다르고, 형상도 다르기 때문에 종자에 따른 개별적인 파종기술들이 개발되어야하기 때문에 개발 기간이 오래 걸리고, 수익에 비하여 개발비가 과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인데 축적된 시뮬레이션 툴을 이용한 파종기 분석 기술을 확보할 경우 다른 파종기의 연구 개발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생육측정 실험과 동역학 해석 툴 RecurDyn을 통해 파종기의 기구학적 분석을 통한 설계반영 인자를 도출할 계획이다.

  • PDF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arlic Seeder (경운기 부착형 마늘 파종기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Lim, Hack-Kyoo;Kim, Tae-Han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v.22
    • /
    • pp.19-27
    • /
    • 2004
  • Cultivation area of garlics is 9% of all cultivation area of vegetables. The amount of annual demand is increased in 1,000~1,500ton. Also, the amount of demand per person has a tendency to increase as above 10kg. So, garlics has become important crops in agri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quire the basic information to design the garlic seeder attached power tiller. We used Working Model 3D program to design an automatic aligning devic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garlic seed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optimum depth of garlics seeding was shown as 3cm. 2. The garlic seed has to he discharged from the garlic seeder at intervals of 0.75sec in order to seed at intervals of seeds of 15cm. 3. The optimum design factors of the automatic aligning device were shown as cylinder diameter of 4cm, cylinder gap of 1cm, revolution of 36rpm and inclined angle of cylinder of $8.4^{\circ}$.

  • PDF

Parameter analysis of vacuum suction hole in developing garlic vacuum planter (마늘 진공파종기 개발을 위한 진공 흡입구 파라메터 분석)

  • Kim, Deok-keun;Yang, Se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92-92
    • /
    • 2017
  • 밭작물 중 마늘 재배를 위한 노동력 투입시간은 2016년 기준 10a 당 126.9시간 이었고, 파종정식의 기계화율은 2015년 기준 15.1%로 조사된다. 이는 마늘 재배에 있어서 파종정식의 기계화가 노동력 절감을 위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현재의 우리나라 마늘 파종기는 점파식으로 개발, 판매되고 있는데 집개 방식 또는 버킷 방식은 파종 속도를 올리면 파종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파종 속도를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콩, 옥수수 등의 종자에 사용되는 진공식 파종 기술을 마늘에 적용하였다. 마늘의 경우 형상이 비대칭형에다가 종구별 크기, 모양, 무게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흡입구를 설계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진공흡입구의 지름과 재질을 파라메터로 하여 변화를 주고 실험을 통하여 배종률 결과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경도 $10{\pm}2$의 실리콘 재질에 지름 14mm이상에서 90%이상의 높은 배종률을 보여주었다.

  • PDF

Development of a Metering Device for the Garlic Planter (마늘파종기용 배종장치 개발)

  • 최덕규;조성찬;이채식;박석호;김학진;강태경;김충길;곽태용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6 no.6
    • /
    • pp.525-534
    • /
    • 2001
  • Garlic clove planting is one of the most laborious operations in Korean farming. The garlic planting has been done manually; therefore, it requires tremendous amounts of human labor resulting in the increase of production cost. This problem necessitated the development of a garlic clove metering device fur the planter. The device was fabricated to meter a single garlic clove with a scooping bucket(29mm in diameter and 8mm in depth) designed after the image of clove's bottom shape. The lift angle of the metering plate and the magnitude of vibration were also affected the metering performance. The angle clove metering rates ranged 95.4~96.7% with the missing rate of 0.0~1.3% at the 80~85 degrees of the tilt angle and vibration level 2(1.985 m/s$^2$).

  • PDF

Development of rice-pellet seeder(I) - Design of seed metering device - (벼 펠렛 종자용 파종기 개발(I) - 배종 장치 설계 -)

  • 최영수;유수남;구경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1999.07a
    • /
    • pp.65-70
    • /
    • 1999
  • 벼 재배의 생력화를 위하여 현재 국내에는 벼 직파 재배 기술이 확대 보급되고 있다. 기존 벼 직파 재배 기술은 직파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발아율 및 입모율, 도복, 잡초방제, 종자손실 및 유동, 포장준비 및 재배관리에 많은 문제점들이 있어 이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한 실정이다. 벼 펠렛 종자를 이용한 파종은 현행 직파 재배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모율 향상, 초기생육촉진 및 초기 병충해 방제, 시비기술의 혁신을 기할 수 있어 안정적 직파 재배 기술을 확립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a Precision Seed Metering Device for Direct Seeding of Rice (벼 직파용 정밀 배종장치 개발)

  • Yoo S. N.;Choi Y. S.;Suh S. R.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30 no.5 s.112
    • /
    • pp.261-267
    • /
    • 2005
  • In order to save labor and cost, direct seeding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alternative to the machine transplanting in rice cultivation. As current seeders for direct seeding of rice seeds drill irregular amount of seeds unde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conventional drilling should be turned to precision planting which enables accurate placement of proper amount of rice seeds at equal intervals within rows. In this study, design, construc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 precision seed metering device for planting of rice seeds were carried out. As prototype, the conventional roller type seed metering device was modified for planting: increasing diameter of metering roller, setting 2 or 4 seed cells on metering roller, adding seed discharging lid and its driving cam mechanism. Through performance tests for prototype and the current seed metering device, number of seeds in a hill, planting space and its error ratio, coefficient of variation of planting space (planting accuracy), and seeding length of $90\%$ of seeds in a hill divided by planting space (planting precision) at setting planting spaces of 15, and 20cm, seeding heights of 10, and 20cm, and seeding speeds of 0.1, 0.2, and 0.5m/s were investigated. Prototype showed better seed planting performance than the current seed metering devices. When setting planting space of 15 cm and seeding height of 10cm, prototype with 2 seed cells showed that variations of planting space and seeding lengths of $90\%$ of seeds in a hill at up to seeding speed of 0.5m/s were within 0.9cm, and 3.6cm, respectively.

Development of a Seeder for Small-Sized Seeds (소립종자파종기 개발)

  • 박석호;최덕규;김학진;이채식;이용범;곽태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84-89
    • /
    • 2002
  • 소규모의 채소재배농가에서 육묘포트에 종자를 파종하는 작업은 대부분 손으로 파종하고 있으며, 중규모 이상의 채소재배농가에서는 간이파종기를 이용하거나 육묘공장에서 모를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간이파종기는 진공흡인력을 이용하는 종자흡인식과 평판의 구멍에 종자를 가두어놓았다가 낙하시키는 구멍배종방식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한국농업기계학회, 1998). 간이파종기는 대부분 플러그 육묘트레이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포트수가 다른 플러그 육묘트레이를 사용하려면 새로운 포트규격에 맞는 파종장치를 구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추가비용이 소요된다. 소규모 채소재배농가에서는 25, 36, 49공 등의 여러 가지 규격의 연결포트를 사용하고 영농규모가 작기 때문에 간이파종기를 구입하는 것이 부담스러운 실정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