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우자애착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1초

자녀와의 애착유형에 따라 가족관계가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s on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the Attachment Style of the Elderly)

  • 정여진
    • 한국노년학
    • /
    • 제32권3호
    • /
    • pp.869-893
    • /
    • 2012
  • 본 연구는 자녀와의 애착유형에 따라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인과적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60세 이상의 노인 509명이다. 애착유형별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경로계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정형은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다소 낮았으며 성공적 노화에 대하여 배우자, 자녀, 손자녀와의 관계 모두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몰두형은 배우자 및 손자녀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우자와의 관계는 자녀와의 관계에 그리고 자녀와의 관계는 손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손자녀와의 관계는 자녀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거부형은 배우자 및 손자녀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녀와의 관계는 손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손자녀와의 관계는 자녀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두려움형은 성공적 노화에 대하여 배우자 및 자녀와의 관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배우자와의 관계는 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자녀와의 관계는 손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자녀와의 관계는 배우자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유형별 연구모형은 각 유형별 차이뿐만 아니라 전체집단 모형과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성공적 노화에 관한 가족관계 변인을 연구함에 있어 노인의 애착을 고려하는 것이 유용함을 시사한다 하겠다.

부모의 배우자 애착, 배우자 보살핌 행동과 자녀양육행동이 유아의 부모 표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s' Spousal Attachment, Spousal Caregiving, and Parental Caregiving Behaviors on Preschoolers' Parental Representations)

  • 우수정;이영
    • 아동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29-4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pousal attachment, spousal caregiving, and parental caregiving behaviors on children's parental representations. One hundred and fifteen preschoolers (72 boys and 43 girls, aged between 4-5 years old) and their fathers and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MacArthur Story-Stem Battery (Bretherton, Oppenheim, Buchsbaum, Emde, and the MacArthur Narrative Group, 1990), th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Scales (Brennan, Clark, & Shaver, 1998), the Caregiving Questionnaire (Kunce & Shaver, 1994), and the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Questionnaire (Rohner, 1991).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 conclusion, parents' spousal attachment, spousal caregiving, and parental caregiving behaviors have influenced on children's parental representations.

임부의 산전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Influencing Factors on Prenatal Attachment)

  • 정영숙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8-49
    • /
    • 2004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prenatal attachment. The research method is on the basis of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and data collecting period was from 11 to 29, November, 2003.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100 pregnant women of two OBGY Hospitals in Masan. Using the SPSS/WIN 10.1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 The mean score of prenatal attachment was 2.64, the mean score of physical discomforts, 1.61, the mean score of husband-wife attachment, 3.28, the mean score of psychosocial adjustment of pregnancy, 1.82. The degree of prenatal attach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according to religion. The degree of prenatal attachment according to obstetric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according to Lamaze class, Taekyo. Significant correlations of prenatal attachment was found in both psychosocial adjustment of pregnancy, Taekyo, husband-wife attachment, Lamaze class, relig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52% of the variance in prenatal attachment was significantly accounted by psychosocial adjustment of pregnancy(34%), Taekyo(6%), husband-wife attachment(5%), Lamaze c1ass(5%), and religion(3%). Further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the development of creative strategies to enhance positive attachment relationship for pregnant woman.

  • PDF

예비 어머니의 산전애착과 배우자 지지, 부모효능감 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Expectant Mothers' Prenatal Attachment, Spous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 권수현;이승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5호
    • /
    • pp.65-77
    • /
    • 2013
  • This study was aimed at (1) investigating expectant mothers' prenatal attachment according to variables (age, gestational weeks, perceived health condition, anticipating the gender of the fetus, marriage duration, and parity), (2) analyzing correlations among their prenatal attachment, spous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and (3) examining the role of prenatal attachment as a mediator between spous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For this purpose, 221 expectant mothers living in Seoul completed a 55-item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regression analy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variables, gestational weeks, perceived health condition, marriage duration, and par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for the overall prenatal attachment and subordinate factors.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expectant mothers' prenatal attachment and spousal support and between their prenatal attachment and parenting efficacy. Third, the expectant mothers' prenatal attachment proved to mediate between spous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These findings shed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prenatal attachment and spousal support during the pregnancy period;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for expecting parents to enhance prenatal attachment and spousal support and to conduct follow-up studi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성인기 애착측정의 배우자 애착측정활용에서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 -Hazan과 Shaver의 측정도구를 중심으로- (Review on the Problems in Using Adult Attachment Inventory as Spousal Attachment Inventory -Focusing on Hazan & Shaver' Adult Attachment Inventory-)

  • 황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1호
    • /
    • pp.13-2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problems in using Hazan & Shaver,s adult attachment inventory as spousal attachment inventory. In summary, Hazan & Shaver's forced-choice inventory is required to caution in using for spouse attachment inventory because of the disproportionally higher secure-attachment type ratio(72% - 89%). It was previous reseaches that used multi-item Likert inventory instead of Hazan & shaver's forced-choice inventory for result analysis because of disproportionally higher secure-attachment type ratio. Although Hazan & shaver's forced-choice inventory was mostly used for young unmarried adults, Using Hazan & shaver's forced-choice inventory as spouse attachment inventory for married adults seem to be inappropriately. Hazan & Shaver's multi-item Likert inventory has the problem of poor reliability in insecure-avoidence factor especially. Hazan & Shaver's one item Likert inventory has the problem of social desirability.

초산모 배우자의 아동기 경험, 부성애착, 부성역할에 관한 연구 (Childhood Experiences, Paternal Attachment and Paternal Role of Primiparous Spouses)

  • 주경숙;성미해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05-215
    • /
    • 2009
  •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preparing for educational programs on the role of a father that are designed to help primiparous spouses carry out the paternal role successfull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OB/GYN clinics and a study sample of 277 primiparous spouses who satisfied the selection criteria was selected. Results: Of the correlation among the childhood experiences, paternal attachment and role of a father of the subjects, the childhood experienc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aternal-infant attachment and the role of a father. The paternal-infant attachment and the role of a father also had a positive correlation. Conclusion: An infant is influenced primarily by his or her parents, who will have immense influences on the child's growth and development. Since the paternal-infant attach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role of a father, the development of positive paternal-infant attachment must be preceded in order for a primiparous spouse to carry out the role of a father successfully.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is needed to foster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a father, accommodate the practical needs of primiparous spouses and nurture the paternal-infant attachment for the promotion of realistic, successful role of a father.

  • PDF

20, 30대 이혼 남녀의 이혼과 이혼 후 적응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Divorce and Post-Divorce Adjustment of Divorced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 옥선화;성미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41-160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vorce and post-divorce adjustment of divorced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and explored the sex differences. For this empirical analysi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30 divorced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liv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Sep. 23rd to Oct. 20th, 2002. The questionnaire for the survey dealt with demographic information and other scales. The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project were as follows: First, although men and women experienced a similar level of pre-divorce conflicts, women were more likely to want to divorce. Second, although women had wors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ndition and more difficult problems than men after divorce, women more readily accepted their divorce reality than men. Divorce was not the best but the second best way to escape from a bad marriage for women. The results of the current research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e-marital preparation and divorce adjustment programs.

임부의 내적 작동모델에 따른 산전애착과 친모와의 관계 및 배우자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Daughter Relationship, Husband-Wife Relationship and Prenatal Attachment according to Pregnant Women's Internal Working Model)

  • 정영숙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10-217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daughter relationship, husband-wife relationship, and prenatal attachment according to pregnant women's internal working model. Method: A convenience sample of 68 pregnant women was recruited from two OBGYN hospitals in M ci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an Adult Attachment Interview and questionnaire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and the period of investigation was from July 3-20, 2002. 41 of the 68 women were in a secure pregnant women's internal working model and 27 of the 68 in insecure ones. The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ean score of the prenatal attachment of the secure pregnant women and mean score of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of the secure pregnant wom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insecure ones. 3) Prenatal attachment was nega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mother-daughter attachment and husbandwife attachment in the secure pregnant women's internal working model. However it was not significantly relationship in insecure pregnant women's internal working model. Conclusion: It is found in this study that there is an intergenerational attachment relationship during pregnancy. Further findings support the development of creative strategies to enhance positive attachment relationships for pregnant women.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nursing education of attachment for the insecure pregnant women's internal working model.

  • PDF

고등학생을 위한 가정교과 기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e-Parenthood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Home Economics subject)

  • 노희연;조재순;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61-19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정교과 기반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여, 예비부모인 고등학생 학습자들이 훗날 우리 사회의 주역이 될 미래세대를 현명하게 보살필 수 있는 성숙한 부모가 되는데 필요한 역량을 갖추도록 하며 동시에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부모교육 활성화 방안의 청소년 대상 예비부모교육을 실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예비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과정은 일반적체제설계모형인 ADDIE 모형을 따랐으며, ADDIE모형 중 실행단계(Implement)를 제외한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4가지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먼저, 분석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내용요소 추출과 프로그램 개발의 시사점을 얻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와 2015 개정 중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육과정 문서를 대상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가정교과 이 외의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예비부모교육의 9 가지 주제(1.자기이해, 2.예비부모의 성, 3.결혼, 4.임신과 출산, 5.부모됨, 6.부모역할, 7.부모 자녀관계, 8.부모와 가족, 9.부모와 사회)와 해당 내용요소들은 이미 가정교과 교육과정에 모두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9가지 주제 이외에 가정교과만의 독자적인 주제(1.생애설계, 2.가정생활 내 의 식 주 실천역량, 3.가정생활과 자녀안전, 4.가족문화)와 해당 내용요소들을 별도로 확인함으로써 예비부모교육 시행에 있어 가정교과가 지닌 강점(청소년과 가정과 사회를 바라보며 부모교육 내용 뿐만 아니라 식 의 주 소비 생활 전반을 포함하는 총체적 관점의 교육과 실제로 부모 준비를 실천하게 하는 교육)을 확인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설계는 가정교과와 예비부모교육 간의 접점을 찾고 이를 프로그램 구성요소(목적, 개발방향, 주제, 내용요소, 학습목표, 학습활동)에 반영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미래세대를 현명하게 길러낼 수 있는 성숙한 부모가 지녀야 할 관련 지식, 태도, 가치관, 실천적 문제 해결 능력을 고등학생 학습자가 갖추도록 지원하는 것을 일차 목적으로 두며, 부모됨의 준비 관점에서 학습자가 현재 생활 점검 및 개선을 통해 생활자립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을 이차목적으로 둔다. 궁극적으로 이 두 가지 목적 달성을 통해 학습자가 장차 부모로서 살아갈 가정생활 영역과 개인적 성취와 관련된 직업생활 영역 그리고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삶의 영역간의 균형을 이뤄 이를 조화롭게 영위할 수 있는 성숙한 부모로의 성장을 돕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방향은 '전체 전개', '내용구성', '교수 학습법 구성'으로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설정되었다. 프로그램의 주제는 총 11개로 '1. 부모 됨: 부모가 된다는 건', '2. 배우자선택: 행복한 부부관계, 자녀에게 주는 최고의 선물', '3. 임신과 출산: 새로운 생명과의 감동적인 만남', '4. 신생아 돌봄: 24시간 신생아 돌봄', '5. 영유아자녀돌봅: 사랑스러운 나의 아기와의 관계, 애착', '6. 유아기 자녀 돌봄: 별에서 온 내 아이, 유아기 자녀 돌보기', '7. 부모와 건강가정: 건강가정 속 부모와 자녀', '8.부모 자녀 관계: 현명한 부모, 자녀와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기', '9. 가정생활 내 자녀안전: 가정생활 속 안전관리자, 부모', '10. 영유아 돌봄 실습', '11. 지역사회 양육지원서비스 개발 실습'이다. 프로그램의 들어갈 최종 내용요소들은 분석단계에서 추출된 내용요소들을 11개 주제와의 관련성을 토대로 분배된 후 선정되었다. 학습목표와 학습활동은 해당 주제와 내용요소를 반영하여 구상되었으며, 특히 프로그램의 학습활동은 1) 부모 됨 관련 실천적 문제를 포함한 사례 활용, 2) 학습한 지식과 기술을 활용한 지역사회 교류활동, 3) 부모 됨 관련 학습내용을 활용한 실생활 프로젝트 활동, 4) 고등학생 학습자의 현재 삶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는 활동, 그리고 5) 자녀 발달을 지원하는 가정교과 내 의 식 주 실습활동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셋째, 프로그램의 개발은 앞서 설정된 설계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이에 총 11개 주제에 따른 17차시 분량에 해당하는 교수 학습과 정안 및 학습자료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교수 학습과정안은 수업흐름 및 교사 참고자료를 포함하며, 수업 도입부에 가상의 자녀로부터 수업관련 메시지를 받는 것을 시작으로, 정리단계에서는 받은 메시지에 대한 답장의 형태로 해당 차시의 내용 정리 및 예비부모로서의 다짐을 하는 것을 기본 틀로 하였다. 학습자료는 학습활동을 위해 필요한 각종 계획서나 보고서 양식을 포함하며, 정규교육과정에서의 교과서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구체적으로 작성되었다. 넷째, 개발된 프로그램의 평가는 프로그램 개발과정과 결과물 두 가지 측면에 대해 가정교과 전문가 13인으로부터 5점 리커트형 설문지를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개발과정에 대한 기초분석 평가결과 평균 4.61점, 내용타당도 지수 97.4%였으며, 프로그램 결과물에 대한 평가결과는 평균 4.37점 내용타당도 지수 86.9%였다. 이와 같은 값은 이 연구 프로그램의 개발과정과 그 결과물에 대한 타당도가 상당히 높은 수준에서 확보됐음을 나타내며, 이에 이 연구의 가정교과 기반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은 고등학생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예비 부모 교육 프로그램으로 타당하고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