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아

Search Result 78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흰쥐 초기발생에서 배아막의 미세구조적 특징

  • 홍순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1998.07a
    • /
    • pp.25-26
    • /
    • 1998
  • 흰쥐의 배아발생 동안에 CGE가 존속하는지 여부와 이러한 물질에 의한 투명대와 배아표면의 미세구조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아표면은 미수정란과는 다르게 배아표면의 미세 융모가 단축된 특징을 보였고, 8-세포기 배아에서 뚜렷하게 볼 수 있는 구조물에 의해 덮혀있다. 투명대의 구조역시 성숙난자에 존재하는 구조와는 다른 특징을 나타났고, 특히 투명대의 섬유성 미세공 구조가 거칠고 수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위란강에 피질반응에 의한 피질과립막이 형성되어 배아발생 동안에 존속하였으나 배아발생 동안에 수정란 보다는 엷고 국소적인 분포양상을 나타내었다. 본 결과를 종합해 볼때 흰쥐 초기배아발생 동안에 피질과립막이 존속하였고, 수정시 투명대경화 뿐만 아니라 피질반응에 의해 투명대의 미세구조와 배아표면의 구조도 변화됨을 알 수 있다.

  • PDF

Embryonic Development & Its Role for Implantation

  • Mun, Sin-Yong;No, Jae-Suk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22 no.3
    • /
    • pp.227-240
    • /
    • 1995
  • 착상은 정상적으로 발육한 건강한 배아와 자궁내막과의 만남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착상을 이해하려면 배아의 발달 과정 및 배아가 착상시 극복해야 하는 정상적인 과정, 즉 배아와 자궁조직과의 접촉, 혈관 연결, 착상 내막 조직의 변화 및 모체 면역체계의 변화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배아에 염색체 이상 등이 동반되는 경우 건강한 signal로 자궁내막을 변화시킬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착상의 실패를 가져오게 된다. 착상과정에 있어 배아는 스스로의 정상적인 발달과정을 통하여 자궁내막의 변화를 일으킬 뿐 아니라, 또한 모체의 면역기전으로 부터 스스로를 보호할 능력을 갖추게 되므로 건강치 못한 배아는 자연도태된다.

  • PDF

Effects of Rice Embryo and Embryo Jelly with Black Rice Bran Pigment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in High Cholesterol-Fed Rats (쌀 배아와 흑미 미강 색소 첨가 배아젤리가 고콜레스테를 식이 흰쥐의 지질대사와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 Cho, Min-Kyung;Kim, Mi-Hyun;Kang, Mi-Young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51 no.3
    • /
    • pp.200-206
    • /
    • 2008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rice embryo and embryo jelly with black rice bran pigment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activity. Thirty 4-week-old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high cholesterol diets supplemented with 15% rice embryo and 25% embryo jelly added black rice bran pigment, respectively, for 6 weeks. Plasma and hepatic lipid profile, lipid peroxidation, and the activity of antioxidant scavenger enzymes in liver were examined. Supplementation with rice embryo and embryo jelly had no effect on food intakes in high cholesterol-fed rats. The plasma triglyceride concentr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Supplementation with rice embryo and embryo jelly resulted in lower plasma and hepatic total cholesterol (TC) concentration and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C)/TC ratio and atherogenic index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le the plasma HDL-C concentration tended to elevated. Rice embryo and embryo jelly tended to lower plasma and hepatic levels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han the control group. Moreover, hepatic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cluding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ice embryo and embryo jelly groups. In conclusion, rice embryo and embryo jelly wa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the lipid metabolism and reducing oxidative stress by up-regulating the hepatic antioxidant enzymes in high cholesterol-fed rats.

Successful Birth after Transfer of Re-frozen Blastocysts Developed from Immature Oocytes Retrieved from a Woman with Polycystic Ovarian Syndrome (미성숙 난자로부터 체외 성숙한 포배기 배아의 Re-vitrification 후 성공적 임신 1례)

  • Yoon, Hyejin;Yoon, Sanhyun;Lee, Soyoung;Kim, Haekwon;Lee, Wondon;Lim, Jinh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2 no.1
    • /
    • pp.65-70
    • /
    • 2005
  • 본 연구는 이식 후 남은 잉여의 포배기 배아를 두 번의 냉동과 융해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한 후 이식한 결과에 관한 보고이다. 사람 포배기 배아의 동결보존에서 높은 생존율과 성공적인 임신율이 보고되고 있으나 미성숙 난자로부터 발달한 포배기 배아에 두 번의 초급속 냉동 방법을 실시한 후 이식한 보고는 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에게서 얻은 미성숙 난자로부터 발달한 포배기 배아를 artificial shrinkage 후 초급속 냉동함으로써 생존율을 높이는 방법을 이용하여 재냉동 이식하였을 때 임신에 성공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29세의 환자로부터 채취한 55개의 미성숙 난자들(germinal vesicle stage oocytes)을 체외배양 하여 성숙한 37개의 난자들로부터 30개의 수정란을 얻을 수 있었다. 12개의 배아가 포배기 배아까지 발달하였으며 이 중 3개의 양질의 포배기 배아를 선별하여 이식하였고, 이식을 한 후에 남은 9개의 포배기 배아들은 artificial shrinkage의 과정을 마친 후에 초급속 냉동 방법을 이용하여 동결보존 하였다. 그 중, 4개의 포배기 배아들을 융해한 후 이식을 하지 않고 다시 재냉동을 하여 보관하였고 이 후 재냉동 되었던 4개의 포배기 배아들을 다시 융해 하여 이식을 한 결과 임신이 되어 건강한 남아를 분만하였다. 이로써 미성숙 난자로부터 얻은 포배기 배아가 두 번의 냉동과 융해의 과정을 통해 크게 손상을 입지 않고 생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융해이식 후 남은 잉여의 포배기 배아를 다시 냉동 보관하여 다음 주기에 이용함으로써 축적된 임신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reimplantation Embryonic Envelope in the Rat (흰쥐 초기발생에서 배아막의 미세구조적 특징)

  • 홍순갑;이준영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 /
    • v.2 no.2
    • /
    • pp.157-163
    • /
    • 1998
  • Preimplantation embryos of the rat was examined by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cortical granule envelope (CGE), blastomere surface, and zona pellucida (ZP) of embryo after cortical reaction. The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CGE of embryos were observed with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fluorescence microscope. In the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 of embryo surface, surface microvilli were shortened and the CGE-like structure existed above microvilli in eight-cell embryo. Rough spongy surface and decreased network numbers were key characters of embryonic ZP compared to unfertilized oocyte. The CGE formed by cortical reaction existed in perivitelline space during embryo development but it was thin and locally distributed ill contrast to fertilized oocyte.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cortical reaction forms cortical granule envelope in perivitelline space and causes not only zona hardening, but also ultrastructural changes in ZP and cell membrane of preimplantation embryos.

  • PDF

소 배아의 Karyotyping과 Blastomere-PCR의 성별 분석의 비교

  • 장석민;신영민;이종호;박중훈;임경순;박창식;진동일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4.06a
    • /
    • pp.292-292
    • /
    • 2004
  • 배아의 성별 판별을 위해 할구를 biopsy하여 핵상에서 정밀 분석을 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8-에서 16-세포기 배아의 할구를 배아 성결정의 대표물로 사용하여 IVF소 배아를 분석 평가하였다. 55개의 배아를 PCT후 biopsy하여 분석하였다. PCR에 의한 성판별에서 biopsy한 single blastomere와 blastocyst의 성판별의 일치하는 비율은 80%인 것으로 나타났다. IVF 수정란을 염색체 상태에서 평가하기 위해 8- 16- 세포기의 할구를 Karyotyping 하였다. 할구의 Karyotyping을 위해 metaphase 상태에서 vinblastine sulfate에 계속적으로 노출시켜 metaphse Ⅱ 상태를 유도하였다. (중략)

  • PDF

Isolation and Culture of Human Embryonic Stem-like Cells from Abnormal Blastocysts (비정상 포배기 배아에서 인간 배아줄기 유사 세포의 분리 및 배양에 관한 연구)

  • Lim, Chun-Kyu;Sung, Ji-Hye;Park, Jong-Hyuk;Kim, Sun-Jong;Yoon, Hyun-Soo;Koong, Mi-Kyoung;Jun, Jin-Hy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0 no.4
    • /
    • pp.293-298
    • /
    • 2003
  • 목 적: 인간의 배아줄기세포는 전분화능과 영속성을 가지고 있어 발생 및 분화에 관련된 기초 연구 뿐 만 아니라 재생의학, 약물검색 등에서도 매우 유용한 재료로 이용될 수 있다.본 연구에서는 유전체의 변형이 배아줄기세포주의 확립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비정상적인 포배기 배아에서 내세포괴를 분리하여 배양하였다. 연구 방법: 인간의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 공여 받은1개 또는3개의 전핵이 관찰되는 비정상 수정란 (n=20)과 착상전 유전진단에서 이수성이 확인된 배아 (n=27)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인 immunosurgery 방법으로 영양배엽세포들을 제거하고 내세포괴를 분리한 후 PMEF 혹은 STO feeder 세포위에서 배양하였다. 배아줄기세포의 배양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해서 이미 확립된 Miz-hES1 cell line을 동시에 같은 조건 하에서 계대배양하였다. 결 과: 비정상 수정란에서 발생된 포배기 배아에서 분리한 1개의 내세포괴가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한 colony를 형성하였으나, 계대배양에는 실패하였다. 이수성 배아에서 발생된 포배기 배아의 내세포괴 배양에서는 두개의 colony가 계대배양 중에 영양배엽세포의 형태로 분화되어 미분화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였다. 동일한 시기와 조건 하에서 계대배양된 Miz-hES1 cell line이 미분화상태로 유지됨을 karyotyping (46, XY)과 immunophenotyping (positive in SSEA-3 and -4)으로 확인하였다. 결 론: 본 연구의 결과에서 비정상 수정란과 이수성 배아에서 발생된 포배기 배아에서 유래한 내세포괴는 배아줄기세포주 확립 및 미분화 상태 유지 능력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인간의 배아줄기세포주를 확립하는데 있어 배아의 정상여부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Dose-Dependent Inhibitory Effect of Nitric Oxide on Embryo Development (Nitric Oxide의 농도 의존적인 배발생 억제 효과)

  • Park, Sea-Hee;Joo, Bo-Sun;Moon, Hwa-Sook;Kim, Yoon-Yeon;Cho, Jae-Dong;Kang, Ho-Sung;Kim, Han-D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26 no.2
    • /
    • pp.203-211
    • /
    • 1999
  • 목적: 일산화질소 (nitric oxide; NO)는 생식계를 비롯한 여러 생체내 기관에서 다양하고도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복강액은 난관내강과 연결되어 복강액 내의 세포 성분의 변화는 난관의 미세환경을 변화시켜 수정과 초기 배아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배아 발생에 있어서 일산화질소의 역할을 이해하고 복강액 내의 NO농도 변화가 배아 발생에 미치는 역할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과배란시킨 1세대 잡종 암컷 생쥐 (C57BL${\times}$CBA/Ca)로부터 1세포기 배아를 얻어 10% synthetic serum substitute가 첨가된 modified human tubal fluid 배양액에서 4일 동안 체외배양하였다(대조군). 실험을 위해 이러한 배양조건에 sodium nitroprusside (SNP)를 $0{\sim}1mM$의 다양한 농도로 배양초기부터 첨가하거나, $200{\mu}M$ SNP를 2-, 4-, 8-세포기의 각기 다른 배아시기에 첨가하였으며, 복강경수술을 받는 42명의 여성으로부터 채취한 복강액을 SSS대신 단백질원으로 사용하여 포배아까지의 배아 발달율을 관찰하였으며, 복강액 내의 NO농도를 Griess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배아의 apoptotic body는 H33342 염색법으로 조사하였으며 배아 발달율은 3회 이상 반복 실험한 결과의 mean${\pm}$SEM으로 나타내었다. 결과: SNP는 농도에 의존적으로 배발생을 억제하였으나 배아 단계에 대한 특이성은 관찰할 수 없었으며, 특히 $100{\mu}M$ 이상의 고농도의 SNP는 2-세포기 단계에서 배아 발생을 정지시켰다. 또한 단백질원으로 복강액 이용시 배 발생율은 복강액 내의 NO 농도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2.5{\mu}M$이상의 NO를 함유한 복강액에서 배양한 배아의 발생율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cGMP analogue인 8-bromo-cGMP를 배양액에 첨가시 배아 발생에는 변화가 없었으며, SNP에 의해 배발생이 정지된 2-세포기 배아에서 apoptotic body를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보아 NO는 고농도에서 배아 발생을 저해하며, 복강액 내의 NO와 같은 성분의 변화는 배아 발생에 유해한 효과를 유발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NO의 배아 발생 억제효과는 cGMP로 중재되는 경로나 apoptosis유발과는 관계가 없는 것 같다.

  • PDF

The EST Study of the Peri-implanting Porcine Embryos (Peri-implanting 단계의 돼지배아 EST 연구)

  • Kwak, In-Seok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9 no.5
    • /
    • pp.587-592
    • /
    • 2009
  • A dramatic morphological change of embryos occurs at peri-implantation. Maternal and embryonic cross-talk during this period, initiated by signals from embryo(s), provides signals for maternal recognition of pregnancy and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the pregnancy. However, the cellular, biochemical and genetic processes that direct embryo remodeling in mammalian species are not well studied or understood. In order to identify potential genes responsible for morphological change and cross-talk between embryo and uterus, an initial EST analysis was performed. A catalog of expressed genes (Transcriptome) from the d12 peri-implanting porcine embryos was constructed. Six clones were chosen from the initial ESTs for elucidation of their expression patterns during embryogenesis in early pregnancy. A number of these genes demonstrated unique expression profiles in a tissue, cell-type, and temporal fashion, indicating dynamic regulation of embryonic and endometrial gene expressions at different stages of pregnancy. Cross-talk between the embryo and endometrium of the pregnant uterus has provided a suitable micro-environment for the embryo's rapid and dramatic morphological changing process at the peri-implantation stage.

Expression of DNA Methyltransferase Transcripts in The Oocytes and Preimplantation Embryos in Mouse (생쥐 난자와 착상전 초기배아에서 DNA 메틸전이효소 전사물의 발현)

  • 김종월;이양한;강승호;한성원;전일경;김성례;김문규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 /
    • v.2 no.2
    • /
    • pp.197-203
    • /
    • 1998
  • DNA methylation seems to play an important regulatory role in gene expression and cell differentiation during postimplantation embryonic development. However, the significance of DNA methylation which is maintained by the DNA MTase during preimplantation embryonic development, is not fully understood. In order to study the role of DNA methylation in the preimplantation embryos, the expression of DNA MTase transcripts was monitored in the oocytes and preimplantation embryos. The mRNA of DNA MTase was detected in the oocytes and pleimplantation embryos. The relative mRNA levels of DNA MTase were high from the stages of GV-oocytes and pronuclear embryos, and thereafter decreased gradually. By the treatment of $\alpha$-amanitin,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nscripts presented in pronuclear embryos was derived from the maternal genome. The presence of transcripts of DNA MTase in the oocytes and pronuclear embryos suggests that the maintenance of DNA methylation may be necessary and seem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gene expression and cell differentiation during preimplantation embryonic develop-ment in mou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