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소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31초

금(金) 광산(鑛山) 폐광미(廢鑛尾)로부터 회수(回收)된 금속광물(金屬鑛物) 부산물(副産物) 중의 금속성분(金屬成分) 분리(分離), 제거연구(除去硏究) (Removal and Separation of Metallic Constituents from the By-product Recovered from Gold Mine Tailings)

  • 윤기병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9권3호
    • /
    • pp.9-15
    • /
    • 2010
  • 국내 금 광산 폐광미로부터 비금속광물을 분리, 선별하는 공정 중에서 황비철광, 방연광 등이 혼합된 금속광물이 부산물로 회수되며, 이 부산물에는 Au, Pb, As, Fe 성분들이 매우 높게 농축되어진다. 이 부산물로부터 Au의 효율적 회수를 위해서는 우선 금 제련공정에 해로운 거동을 나타내는 금속성분들을 분리,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 광산 폐광미로부터 회수된 금속광물 부산물로부터 Pb, As, Fe등을 제거, 분리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Pb는 알칼리 가압산화침출에 의하여 $120^{\circ}C$, 2M NaOH, 100psi $Po_2$, 250r.p.m., 4 wt.% 고체, 30 min. 침출조건에서 3% 이하 까지 제거시킬 수 있었으며, 침출잔사를 배소 및 자력선별처리하여 As 0.2% 이하, Fe 3% 이하 및 8,000 ppm 이상의 Au 함량을 갖는 비자성산물을 얻을 수 있었다.

말쥐치 가공중 향기성분에 관하여 (Flavor Components in the Filefish Processing)

  • 이종호;최병대;이강호;이근태;김태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21-128
    • /
    • 1989
  • 쥐치의 향기성분을 동정하기 위하여 Likerson형의 연속증류추출 및 탄산가스추출법을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중성획분에서 55 성분, pherol 성획분에서 4 성분, 염기성획분에서 13 성분 및 산성획분에서 10 성분이 분리$\cdot$동정되었고 중성획분에서는 가열$\cdot$배소 후 propanol, butanol, octanol, dodecanol등의 alcohol류 그리고 pentanal, hexanal, 2-methyl-1-propanal, heptenal등의 aldehyde의 함량이 크게 증가하여 flavor 형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분리 $\cdot$동정된 phenol 류는 분자량(m/e) $100\-160$ 정도로 나타났으며, 염기성획분에서는 2-methylpyrazine, 2,5-di-methylpyrasine, 2-ethyl-3,5-dimethylpyrazine 등 과 2-methylpyridine등이 동정되었다. 이들과 함께 중성획분에서 동정된 furan류가 가열온도의 증가와 함께 그 함량이 증가하였다. 산성획분에서는 배소시료 구분에서 isocaproic acid 및 caproic acid의 함량이 많았다.

  • PDF

휘수연석(輝水鉛石)의 배소(焙燒) 중 발생한 분경(粉慶)으로부터 NaOH에 의한 Rhenium과 Molybdenum의 침출(浸出) (Leaching behavior of rhenium and molybdenum from molybdenite roasting dust in NaOH solutions)

  • 김영욱;강진구;손정수;조봉규;신선명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5호
    • /
    • pp.37-43
    • /
    • 2009
  • 휘수연석으로부터 몰리브덴을 생산하는 과정 중 부산물로서 산출되는 레늄은 고강도, 고효을 부품을 만들기 위한 원료로 사용되며, 최근 첨단 산업에서 레늄의 수요가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휘수연석 정광을 배소할 때 발생된 분진을 대상으로, NaOH 농도, 침출온도, 반응시간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레늄 및 몰리브덴의 침출거동을 조사하였다. NaOH $4\;mol{\cdot}L^{-1}$, 고액비 $100\;g{\cdot}L^{-1}$, 온도 $80^{\circ}C$, 교반속도 250 rpm, 반응시간 2시간의 침출조건에서 레늄 및 몰리브덴의 침출율은 각각 86.1%, 88.6%였다.

반토혈암으로부터 $\alpha-Al_2O_3$제조에 관한 연구 (Manufacture of $\alpha-Al_2O_3$ from aluminous Shale)

  • 한오형;마동철;최경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권3호
    • /
    • pp.21-26
    • /
    • 1994
  • 국내에서 산출되고 있는 반토혈암으로부터 고순도 $\alpha-Al_2O_3$를 얻기 위하여 황산암모늄을 사용한 염배소와 황산을 이용한 추출 그리고 하소 실험을 하였다. 황산의 농도, 반응시간, 온도 등이 알루미나 추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반응산물은 X-ray, DTA-TG, 화학분석, SEM 등으로 분석하였다. 추출조건은 전처리 조건으로 황산암모늄의 농도가 0.6M, 배소온도가 $650^{\circ}C$였으며, 황산추출은 황산농도 10%로 240분간 추출할 경우 96%의 수율을 나타내었다. 생성된 $Al_2O_3$ 분말을 X-ray 분석한 결과 $\alpha-Al_2O_3$였으며 그 순도는 99.23%였다.

  • PDF

페로망간제조 분진에서 질산과 활성탄에 의한 망간의 침출 (The Extraction of Manganese from the Medium-Low Carbon Ferromanganese dust with Nitric acid and Charcoal)

  • 이계승;김형석;송영준;신강호;김윤채;조동성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9권4호
    • /
    • pp.44-49
    • /
    • 2000
  • 중저타소페로망간을 제조하는 AOD공정의 bag filter에 포집된 분진은 약 63%의 Mn을 함유하며, XRD로 분석된 결정체는 Mn$_{3}O_{4}$이지만, 질산으로 Mn을 침출하면 MnO$_{2}$가 잔류되기 때문에 67%이하의 침출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활성탄으로 환원배소한 후에 침출하는 방법과 침출시에 활성탄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침출율을 높이고자 하였따. 70$^{\circ}C$, 0.5N HNO$_{3}$ pilp density 7 g/l 의 액에 분진된 10%이상으로 활성탄을 첨가하면 90%이상의 Mn이 침출되었고, 5%의 활성탄을 혼합하여 750$^{\circ}C$에서 배소한 분진은 상온에서 6N HNO$_{3}$에 150 g/l을 첨가하였을 때에 99%이상의 Mn이 침출되었다.

  • PDF

알루미늄드로스를 재활용한 캐스타블내화물 제조 (Preparation of Castable Refractories by Recycling of Aluminum Dross)

  • 박형규;이후인;이진영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2권3호
    • /
    • pp.46-53
    • /
    • 2003
  • 알루미늄드로스의 재활용은 알루미늄 재생지금 제조시에 요구되는 중요한 사항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재생 알루미늄업체에서 발생된 알루미늄드로스를 처리하여 알루미나질 내화물 원료로 재활용하고자 하였다. 드로스 시료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고, 1 mm보다 작은 크기의 드로스를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침출하여 드로스 중의 잔류 알루미늄을 용액 중으로 분리 추출하고, 침출용액에서 석출반응에 의하여 수산화알루미늄을 회수하였다. 드로스 중의 금속알루미늄을 회수한 후 발생된 침출잔사는 수세, 건조, 배소와 같은 일련의 처리를 하여 드로스 중의 잔류 금속성분을 산화물 형태로 변환시켰다. 배소 처리한 드로스 잔사를 골재 및 점결제와 배합하여 알루미나질 캐스타블내화물을 만들고, 굽힘강도와 압축강도를 시험한 결과 KS 기준치인 굽힘강도 $25\;kg/\textrm{m}^2$ 이상, 압축강도 $80\;kg/\textrm{cm}^2$ 이상을 만족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알루미늄드로스를 효율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한가지 방안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리튬이온전지 재활용공정 효율 향상을 위한 공정개선 연구동향 (The Enhancement of Recycling Processes Efficiency of Lithium Ion Batteries; A Review)

  • 유경근;허원화;김범중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3권2호
    • /
    • pp.24-36
    • /
    • 2024
  • 리튬이온전지 재활용 공정은 직접 재활용, 습식제련공정, 건식제련공정으로 분류되어 왔으며, 습식제련공정 기반 상용공정은 해체, 파분쇄, 열처리, 선별 등으로 구성된 전처리 공정으로 블랙매스를 생산하고 습식제련공정으로 각 금속을 회수한다. 개발 중인 모든 리튬이온전지 재활용공정은 전구체 원료 제조를 위해 전처리공정 후 침출 등의 습식제련공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재활용공정의 전처리공정에 따른 분류법을 제시하였다. 현재 개발 중인 주요 공정은 황산염배소, 탄소열환원, 합금제조 등이며, 전처리공정에서 미이용 부산물의 활용이 가능할 경우 리튬이온전지 재활용 공정의 경제성 향상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김의 가공 및 저장중의 품질변화 3. 배소 및 저장중의 색소, Trypsin 저해물질(TIS) 및 Dietary Fiber의 변화 (Quality Changes of Dried Laver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3. Changes in Pigments, Trypsin Indigestible Substrates(TIS) and Dietary Fiber Content during Roasting and Storage)

  • 이강호;육지희;정인학;정우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80-288
    • /
    • 1990
  • 마른 김의 배소(焙燒) 및 배소김의 저장중에 일어나는 색소(chlorophyll a, carotenoid 및 biliprotein). Trypsin Tndigestible Substrate(TIS) 및 dietary fiber 등 성분들의 변화를 측정하고 색소단백, TIS 및 소화율과의 관계를 고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마른김을 $50,\;70,\;90,\;100,\;120^{\circ}C$ 에서 각각 1시간 가열처리하였을 때 chlorophyll a와 carotenoid는 비교적 안정하여 $120^{\circ}C$ 에서도 $85\%$이상의 잔존량을 보였다. 그러나 biliprotein은 매우 불안정하여 $70^{\circ}C$에서 $60\%$ $100\~120^{\circ}C$에서는 $20\~10\%$의 잔존량에 불과하였다. Chlorophyll a는 carotenoid보다 다소 안정하였고 biliprotein 색소중에서는 phycoerythrin보다 phycocyanin이 더 불안정하였다. 2. TIS는 열에 대하여 비교적 안정하였는데 $100^{\circ}C$ 이상에서 $10\%$감소하였고 소화율은 대조시료가 $80\%,\;100^{\circ}C$ 처리시료에서는 $85\%$로 증가하였다. TIS의 감소와 소화율의 증가는 색소 단백의 감소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3. 열처리중에 insoluble dietary fiber(IDF)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온도별 영향은 크지 않은 반면에 soluble dietary fiber(SDF)는 열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 배소김을 실온에서 20주간 저장하였을 때 chalorophyll a는 aw 0.65의 경우 약 $20\%$ aw 0.1에서는 $75\%$이상, carotenoid의 경우 aw 0.1일때 $40\%$, aw 0.65일 때 $2\%$ 정도와 잔존량을 보여 저장중 크게 감소하는 반면, biliprotein 색소는 안정하였다. 5. 저장중 TIS는 aw 0.65일 때 $15\%$ 정도가 감소하였고 같은 조건에서 소화율은 $92\%$로 증가하여 TIS와 소화율과의 관계를 나타내었고 SDF는 점차 증가하여 12주 경부터 상당한 변화를 보였다.

  • PDF

연마 Recycling 시간에 따른 콜로이드 실리카 슬러리의 안정성 및 연마속도 (Effect of Recycling Time on Stability of Colloidal Silica Slurry and Removal Rate in Silicon Wafer Polishing)

  • 최은석;배소익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98-102
    • /
    • 2007
  • The stability of slurry and removal rate during recycling of colloidal silica slurry was evaluated in silicon wafer polishing.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pH, and zeta potential were measured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of colloidal silica. Large particles appeared as recycling time increased while average size of slurry did not change. Large particles were identified by EDS(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 as foreign substances from pad or abraded silicon flakes during polishing. As the recycling time increased, pH of slurry decreased and removal rate of silicon reduced but zeta potential decreased inversely. Hence, it could be mentioned that decrease of removal rate is related to consumption of $OH^-$ ions during recycling.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he control of pH of slurry during polishing.

소성조건에 따른 Gravure Off-set 태양전지의 전기적 특성변화 (Electric property changes of Gravure Off-set solar cells according to firing conditions)

  • 김정모;김동주;배소익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1382-1383
    • /
    • 2011
  •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에서 전극 형성 공정은 Voc(Open-circuit voltage), Isc(Short-circuit current), Rser(Series resistance), Rshunt(Shunt resistance), FF(Fill factor) 특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paste와 선 공정에서의 조건에 따라 특성이 바뀌기 때문에 소성 공정을 최적화하기는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Gravure Off-set printing 방식을 이용하여 결정질 실리콘 기판 표면에 미세 전극 형성 공정을 하고 소성 조건 최적화를 위해 peak 온도와 ramp-up 속도를 변화시켜 각 조건별 특성을 비교하였다. Peak 온도가 커질수록, contact resistance의 감소에 따라 Rser가 줄어들었다. 본 연구를 통해 Voc는 619mV, FF는 77.9%로 측정되는 Gravure Off-set 태양전지에 최적화된 소성 공정 조건을 확보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