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설물 분석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韓國)의 가축(家畜) 배설물(排泄物) 콤포스트화(化) 작업(作業) 개선(改善)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nimal Waste Composting Operations in Korea)

  • 홍지형;마츠다 주조;이케우치 요시노리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9권1호
    • /
    • pp.62-70
    • /
    • 1984
  • 가축배설물(家畜排泄物)의 콤포스트화(化) 작업(作業)의 공학적(工學的)인 국면(局面)은 축산(畜産) 경영(經營)의 축산물(畜産物) 생산성(生産性), 에너지 보전(保全), 공해방지(公害防止)와 분뇨처리(糞尿處理)의 노력(勞力) 절약(節約)에 긴밀(緊密)한 관계(關係)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있어서 축산업(畜産業)의 사양(飼養) 규모(規模)와 두수(頭數)는 매년(每年) 증가(增加)하고 있는 경향(傾向)인바 전통적(傳統的)인 가축(家畜) 배설물(排泄物) 처리(處理) 및 재이용(再利用) 과정(科程)에서 발생(發生)되는 문제점(問題點)에 대(對)한 연구(硏究) 자료(資料)가 없고 특(特)히 콤포스트화(化) 작업(作業)이 원시적(原始的)이므로 개선(改善) 확립(確立)이 절실(切實)히 요구(要求)되는 실정(實定)이다. 본(本) 연구(硏究)의 목적(目的)은 가축(家畜) 분뇨(糞尿)의 콤포스트화(化) 작업(作業) 과정(科程)에서 공학적(工學的)인 제(諸) 문제점(問題點)을 조사(調査) 분석(分析)하여 현상(現狀)을 평가(評價)하고 개선(改善) 방안(方案)을 모색(摸索)하기 위한 기본자료(基本資料)를 제공(提供)하고져 수행(遂行)하였다. 이에 관한 조사(調査)와 분석(分析)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축산농가(畜産農家)의 가축(家畜) 배설물(排泄物) 처분(處分) 방법(方法)은 대부분(大部分)이 자연건조(自然乾燥), 퇴적(堆積), 혐기적(嫌氣的)인 고형(固形) 또는 액상(液狀) 퇴비화(堆肥化)에 의하여 실시(實施)되고 있었으며 가축분뇨(家畜糞尿)로 인(因)한 공해(公害)는 심각(深刻)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호기성(好氣性) 야적(野積) 콤포스트의 통기작업(通氣作業)은 트랙터에 부착(附着)되어진 전후(前後) 작동식(作動式) 로우더가 바람직하다. 3. 농축산(農畜産) 폐기물(廢棄物)의 콤포스트화(化) 작업(作業)은 축산농가(畜産農家)를 중심(中心)으로 한 콤포스트 센타에서 전체 농가(農家)가 지방(地方) 증진(增進)과 오염(汚染) 방지(防止)를 하기 위해 참여(參與)하여 완전(完全) 공동(共同) 이용(利用) 체계에 따라 일관성(一貫性)있게 수행(遂行)되어야 한다. 4. 호기성(好氣性) 야적(野積) 콤포스트 작업(作業)은 다른 방법(方法)에 비하여 운영비(運營費)가 적게 들어 영세적(零細的)인 축산업(畜産業)의 경우(境遇)에 가장 적당(適當)하고 공해(公害)를 방지(防止)함으로서 한국(韓國) 축산농가(畜産農家)의 콤포스트화(化) 시설(施設)로 전망(展望)이 밝다고 판단(判斷)된다.

  • PDF

강원도 홍천강 유역에 서식하는 수달의 식이물 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Food Items of River Otter Residing in the Hongchon Stream)

  • 이상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91-596
    • /
    • 2012
  • 홍천강 유역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청정지역으로 수생태계의 대표적인 수달이 서식하는 지역이다. 이들 지역에서 서식하는 수달의 서식지분석을 위해 식이물 연구가 수행되었다. 총 478개의 흔적 및 배설물이 사용되었으며, 수달의 식이물 분석 결과 80.5%가 어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류 중 이 지역에서 가장 우점하는 갈겨니(Zacco temminckii)의 식이물이 확인되었으며, 양서류 및 조류가 섭식된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적으로는 여름철 식이물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먹이자원이 여름철에 풍부한 것으로 보인다. 군업천과 내촌천의 식이물 구성 및 빈도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현재 이 지역은 홍천-양양간 고속도로 건설이 진행되는 지역으로 수달 식이물 분석을 통한 인공서식지, 관리방안 도출 등이 수행되어야 한다.

GIS를 이용한 경북 봉화군 운곡천 수달의 서식지 분석 (Analysis about Habitat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L. by Using GIS in the River Ungok of North-Kyongsang Province)

  • 정종철;조영석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 /
    • pp.175-179
    • /
    • 2005
  • 본 연구는 2002년 10월부터 2003년 9월까지 경상북도 봉화군 운곡천을 대상으로 수달의 배설물 및 배설지 등의 흔적조사를 통해 얻은 GPS좌표를 중심으로 하여 수치지도 및 현장조사에서 얻은 정보를 Arc/view를 이용해 수달의 최적 서식지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수달의 서식지 이용에는 먹이자원인 어류의 종다양도와 풍부도가 깊은 연관을 맺고 있으며 식생 등의 서식환경이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밀집된 주거지 등 인간의 간섭은 수달의 서식지 이용에 교란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수달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적합 서식지를 선정하기 위해 GIS기법의 활용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PDF

북한강수계 수달(Lutra lutra)의 서식실태 및 보호방안 (The Current Situation of Otter (Lutra lutra) Inhabitation and Conservation Measures in the Bukhan River)

  • 강정훈;남택우;권경자;정상용;손장익;이승훈;박영미;한성용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2호
    • /
    • pp.46-57
    • /
    • 2011
  • 본 연구는 수달의 서식실태와 보존 및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2009년 4월부터 10월 까지 북한강수계를 대상으로 분포, 식이습성, 위협요인 등에 대해 조사를 진행하였다. 분포는 크게 댐호수와 하천구간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고, 댐호수에 39개소의 수달 배설물 지점이 발견되었으며, 하천상류에는 48개소, 하천하류에는 22개소의 수달 배설물 지점을 발견하여 하천상류에서 많은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습성을 알아보기 위해 현장조사에서 수집된 배설물을 이용하여 출현빈도와 출현부피를 분석한 결과 어류가 가장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고(36.99%), 그 다음이 양서류(17.22%), 곤충(15.85%) 순으로 나타났다. 수달 배설물에서 출현된 먹이종의 지역 간 분류군별 출현부피는 댐호수 구간에서는 어류가 높았고, 하천 구간에서는 양서류와 곤충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그러나 댐호수 구간의 출현부피는 하천 구간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ANOVA, F = 3.99, p < 0.05). 북한강수계의 수달서식에 위협이 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무분별하게 설치되는 정치어망과 버려진 폐그물로, 체계적인 관리와 수달의 익사방지를 위한 수달보호격자의 설치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수달(Lutra lutra)의 서식지 출현빈도와 하천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requency of Appearance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River Habitat for Otter (Lutra lutra))

  • 박의정;김대영;진영훈;김철;이두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63-1069
    • /
    • 2007
  • 우리나라의 하천환경은 1990년대 이전의 산업화와 인구증가를 수반한 고도성장기를 거치면서 이수성 및 치수성만을 강조하며 개수되고 관리되었다. 그 결과 하천은 획일적인 단면과 저수로 및 제방이 콘크리트화되면서 하천의 자정능력은 감소되었고, 하천을 중심으로 생활하는 동물들의 서식처 기능을 상실해 하천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하천공사에 자연형 하천공법이 도입되기 시작하여 자연형 하천공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생태환경의 관점보다는 조경 및 경관적, 그리고 위락적인 관점에서 공원화에 주안점을 두고 있어 하천의 생태적 특성의 반영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듣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의 하천공법이 자연적 기능들 중 생물서식처 기능을 보다 깊이 다루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고려하여, 먹이사슬의 최상위에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천환경의 건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수환경의 지표종이라 불리는 수달(Lutra lutra)을 대상으로 배설물에 의한 출현빈도와 하천환경 요인들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수달 서식지 복원을 위한 하천정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수달이 서식하고 있는 섬진강 지류인 서시천을 연구 대상지점으로 하여 5개 구간을 선정하였으며, 각 구간에 대한 계절별 수달의 배설물 분포를 조사하여 출현빈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먹이, 지형, 식생, 기상인자를 포함한 하천환경 요인들에 대한 자료를 각 계절별로 구축하였으며, 이를 수달의 출현빈도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데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 기술적으로는 멸종위기종의 복원, 사회경제적으로는 하천정비사업의 방향제시 등의 기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분석된 인자들은 수달 서식지를 위한 하천정비의 기초자료에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따른 유량측정망을 구축하는 것이다.의 의사결정 지원 도구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한 일련의 과정, 즉 자료의 조사 및 취득에서부터 물순환 해석 모형을 이용한 정량적 현황파악, 물순환 개선 기법 및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주요 착안점 및 실무에서의 기술적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보다 세밀한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적용이 활발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WEP, SHER, SWMM)의 적용사례를 통하여 국내 도시하천의 물순환 해석에 활용함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적용절차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다.호강유역의 급격한 수질개선을 알 수 있다.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

  • PDF

시례통에 대한 토양미세형태학적 연구 (Soil micromorphological study of Sirye series)

  • 신제성;신용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7-73
    • /
    • 1971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저구능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혈암의 잔적풍화물을 모재로한 적황색토에 속하는 시례통에 대하여 그의 생성학적 특성을 토양의 미세형태학적 입장에서 구명하고저 실시하였다. 이 토양의 미세형태에 대한 분석은 편광현미경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미생물의 활동에 의한 토양구성분의 이동현상이 생물의 생활권인 표토에서 일어나고 있었다. 그리고 생물의 활동에 의하여 형성된 Tube에 그의 배설물이 충진되여 있고(Pedotubules) 또 이 Tube가 파괴되여 Tube 내에 있던 생물의 배설물이 토양구성분과 섞여져있는(Fecal Pellets) 현상을 볼수 있었다. 2. 점토함량이 많은 토양이었으나 특징적인 점토피막현상(Strong illuviation ferriargillan)은 없었다. 그러나 기히 형성되었던 점토피막이 조각조각파괴(Papules)되여 있는 것으로 미루어 생성연대가 오래된 토양으로 추정된다. 3. Goethite의 형성을 볼수 있었다. 이는 점토피막(Goethan)의 결정화(結晶化)의 결과로서 토양발달 최종단계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4. 심토하부에 있어서는 Plasma의 색이 변화되여 있다. 이는 토양중 물의 이동에 기인된 것이라고 본다. 5. $B_3$ 층에 있어서 Plasma의 특성은 A층과 같았으며 미약한 토양미생물 활동현상(Fecal Pellets)을 볼수 있었다. 이는 과거 현대 A층 이였던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 PDF

국내 석회동굴(고씨동굴, 백룡동굴, 성류동굴)에 분포하는 박쥐 구아노의 광물학적 특성 (Mineralogy of Guano Distributed in the Limestone Cave in Korea (Gossi Cave, Baekrong Cave, and Sungryu Cave))

  • 공달용;이성주;전창표;김영규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31-141
    • /
    • 2012
  • 동굴 속에서 박쥐 배설물에 의하여 형성된 구아노에는 쇄설성 광물과 더불어 배설물 내의 성분과 주변 암석과의 반응 등을 통하여 생성된 다양한 황산염 및 인산염 광물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광물들의 연구는 광물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동굴 내 지구화학적 환경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인 세 석회동굴에서 구아노의 시료를 채취하여 이들에 대한 광물학적 특성과 화학 성분 비교를 통하여 동굴 내 구아노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광물 성분을 밝히고 이들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도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고씨동굴의 경우 채취된 시료에서 운모, 석영, 장석과 같은 쇄설성 광물과 더불어 많은 양의 석고가 함께 산출되었다. 석고의 양은 하부로 갈수록 증가하며 이것은 백룡동굴과 석류동굴과는 다른 특징이다. 백룡동굴의 시료는 쇄설성 광물로 카올리나이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양의 석고를 포함한다. 성류동굴 시료의 경우 쇄설성 광물의 성분은 고씨동굴과 같으나 석고 대신 바사나이트가 미량으로 관찰된다. 이러한 광물의 분포는 구아노 시료의 화학분석 결과와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고씨동굴에서는 많은 양의 박쥐 배설물로부터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거나 홍수가 자주 일어나는 환경에서 이차광물이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성류동굴의 경우는 비교적 건조한 환경에서 생성되는 바사나이트의 존재로 미루어 볼 때 다른 동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건조한 환경에서 생성되었음을 지시한다.

캄보디아 쁘로얍 지역과 랭뜰 지역 거주민의 먹는물 현황 (Status of Drinking Water in Pproyap and Langthle, Cambodia)

  • 김연권;김성필;채선하
    • 환경영향평가
    • /
    • 제25권5호
    • /
    • pp.357-368
    • /
    • 2016
  • 캄보디아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대표적인 저개발 국가이다. 수자원의 관점에서 캄보디아는 풍부한 수량을 갖고 있지만, 농촌지역에서는 안전하지 않은 식수와 처리되지 않은 분뇨에 의하여 공중 보건의 문제가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 지역에서의 물 원조 프로그램을 위한 신전략수립과 준비를 위해 현지조사, 검토 및 농촌지역에서의 물 오염현황분석, 그리고 해당지역의 물 순환을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지역은 푸르사트주에 있는 쁘로얍과 랭뜰을 조사 대상지로 정하였다. 연구대상 농촌지역의 사람들은 식수전용 웅덩이, 빗물 항아리, 관리되지 않은 우물물 등 지표수에 의존하고 있었다. 분석은 분원성 미생물(TTC)과 일반항목으로 크게 두 가지로 하였으며, 대상지역에서 채수한 시료들을 분석/평가하였다. TTC는 수인성 배설물 오염의 세균 지표인데 26개의 시료중 단 한개만이 WHO가 규정한 TTC 허용한계인 불검출/100 mL의 기준을 충족시켰다.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패류의 부영양수 유기물 제어능 연구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for Optimization of the Removal of Organic Matters in Eutrophic Waters by Korean Freshwater Bivalves)

  • 최환석;남귀숙;김민섭;신현재;박명환;황순진;김백호
    • 생태와환경
    • /
    • 제47권4호
    • /
    • pp.312-318
    • /
    • 2014
  • 부영양화 호소수에 대한 국내 서식 펄조개(A. woodiana)의 유기물 제어 실험 결과, 펄조개 30개체를 대상으로 패각 크기 4.3~15.5 cm (평균 9.54 cm)에 따른 유기물 여과율은 $0.08{\sim}0.86L\;g^{-1}\;h^{-1}$, 단위 건중량당 펄조개의 여과율은 $0.09L\;g^{-1}\;h^{-1}$를 나타내었다. 펄조개의 배설물 생산량 (PF)은 $0.00{\sim}11.10mg\;g^{-1}\;h^{-1}$, 단위 건 중량당 배설물 생산량은 $0.37mg\;g^{-1}\;h^{-1}$를 나타내었다. 또한, 클로로필-a와 부유물질 제거율(RA, %)은 느린 유속에서 82.1%, 71.0% 빠른 유속에서는 65.4%, 57.5%의 제거율을 나타냈고, 반응표면분석 결과, 패각 크기는 14.3~15.6 cm, 유속은 $22{\sim}30Lh^{-1}$ 구간에서 여과율 $6.21L\;mussel^{-1}\;d^{-1}$의 최적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배설물 생산능은 패각 크기는 14.3~16.3 cm, 유속은 $36{\sim}44Lh^{-1}$ 구간에서 배설물 생산이 $4.2mg\;g^{-1}\;d^{-1}$의 최적값을 나타내었다.

정치식 콤포스트화에서 첨가물의 공극율측정에 관한 연구 (Some Measurements of Pore Space for Bulking Agents Used in Static Pile Composting)

  • 홍지형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00-107
    • /
    • 1984
  • 농축산 배설물을 호기성 환기처리하여 토양에 환원이용을 목적으로 컴포스트(Compost)화 할 때에 공극률(Pore space)에 미치는 물리적인 자 성설의 상화관계를 공명하고져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여러가지 수준의 압축력에 따른 첨가 재료의 공극률 변화 과정 측정하고 이와 동시에 서로 다른 5종류의 재료별 입자 크기에 대하여 영수률, 용적 중량, 용적 밀도 및 입자 대소가 공극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세립자 재료의 용적 밀도는 세립자보다 더욱 크게 나타났다. 2. 염수률과 용적 중량이 증가하면 용적밀도는 커지나 공극률은 감소하였다. 3. 공극률은 영수률과 용적 중량보다 첨가재료의 입자크기와 대소분포에 더욱 커다란 영향을 받고 있었다. 4. 영수률이 55~65%이고, 용적중량이 0.25~0.38g/cm2이며 입자크기가 1.5~5cm인 범위내의 효율적인 콤포스트화에 있어서 공극률은 65~80%의 범위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