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il micromorphological study of Sirye series

시례통에 대한 토양미세형태학적 연구

  • Shin, Jae Sung (Institute of Plant Environment Office of Rural Development) ;
  • Shin, Yong Hwa (Institute of Plant Environment Office of Rural Development)
  • 신제성 (농촌진흥청 식물환경연구소) ;
  • 신용화 (농촌진흥청 식물환경연구소)
  • Published : 1971.04.30

Abstract

This paper has been made for the soil micro-morphological study of Sirye seri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By high biological activity, soil materials are mixed. Pedotubules and Fecal pellets pedological features are formed by this activity. 2. There are no strong illuviation cutans. The formation of dirty cutans (new cutans) are due to sedimentation in furrow. 3. The relatively thick crystallization of goethite in plane voids are formed. 4. The lower parts of this soils are influenced by hydromorphology. 5. B3 horizon may be buried A horizon, containing the fragments of upper horizons.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저구능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혈암의 잔적풍화물을 모재로한 적황색토에 속하는 시례통에 대하여 그의 생성학적 특성을 토양의 미세형태학적 입장에서 구명하고저 실시하였다. 이 토양의 미세형태에 대한 분석은 편광현미경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미생물의 활동에 의한 토양구성분의 이동현상이 생물의 생활권인 표토에서 일어나고 있었다. 그리고 생물의 활동에 의하여 형성된 Tube에 그의 배설물이 충진되여 있고(Pedotubules) 또 이 Tube가 파괴되여 Tube 내에 있던 생물의 배설물이 토양구성분과 섞여져있는(Fecal Pellets) 현상을 볼수 있었다. 2. 점토함량이 많은 토양이었으나 특징적인 점토피막현상(Strong illuviation ferriargillan)은 없었다. 그러나 기히 형성되었던 점토피막이 조각조각파괴(Papules)되여 있는 것으로 미루어 생성연대가 오래된 토양으로 추정된다. 3. Goethite의 형성을 볼수 있었다. 이는 점토피막(Goethan)의 결정화(結晶化)의 결과로서 토양발달 최종단계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4. 심토하부에 있어서는 Plasma의 색이 변화되여 있다. 이는 토양중 물의 이동에 기인된 것이라고 본다. 5. $B_3$ 층에 있어서 Plasma의 특성은 A층과 같았으며 미약한 토양미생물 활동현상(Fecal Pellets)을 볼수 있었다. 이는 과거 현대 A층 이였던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