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당률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ividend tax rate, dividend policy, ownership structure, and stock valuation (배당소득세율, 배당정책, 소유구조와 주식가치평가)

  • Ryu, Sung-Yong;Sung-Yeol Ann
    • Th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 /
    • v.7 no.1
    • /
    • pp.1-22
    • /
    • 2004
  • This study examine the effects of changes in the dividend income tax rates, the corporate dividend policy, and the ownership structure on the stock valuation. The empirical findings indicate that : (1)firm's ownership structure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ock return ; (2) the interaction of firm's ownership structure and the dividend polic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ock return ; (3) the interaction of the changes in the dividend income tax rates and dividend policy is correlated with stock return ; (4) the interaction of the changes in the dividend income tax rates and firm's ownership structure is correlated with stock return ; (5) the interaction of the increases in the dividend income tax rates, firm's ownership structure, and the dividend polic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ock return. This suggests that non-taxing of capital gains provide tax shelters to individual investors and investors prefer non-taxing income to dividend income.

  • PDF

주식배당의 공시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Woo, Chun-Sik;Sin, Yong-Gy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3 no.1
    • /
    • pp.115-136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주식배당 예고제도가 도입된 1990년부터 1994년까지의 기간동안에 주식배당 지급을 공시한 기업 중에서 표본의 선정기준에 따라 295건의 표본을 선정하여 주식배당의 공시효과를 실증 분석하는 한편 주식배당의 공시효과를 설명하는 제 가설 중에서 유보이익가설과 주의환기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전체표본(259건)을 대상으로 공시일 전후의 비정상수익률을 분석한 검증결과에 의하면 공시기간(0일, +1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0.847%의 비정상수익률이 관찰되어 주식배당 공시가 주주들의 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정(+)의 주식배당 효과를 설명하는 하나의 가설로서 유보이익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체 표본을 EPS의 증감 및 주식배당률의 크기에 따라 하위표본으로 분류하여 공시기간의 비정상수익률을 검토한 결과 충분하지는 않지만 유보이익가설을 지지하는 실증적 증거를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로 또 다른 하나의 가설로서 주의환기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표본을 상대적 평균 PER의 크기 및 자본금의 크기에 따라 분류한 모든 하위표본에서 일관되게 주의환기가설을 지지하는 실증적 증거를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 of Foreign Investment on Dividend Yield Ratio of KOSDAQ Firms (벤처.중소기업의 외국인지분이 배당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Chung, Won Sub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9 no.5
    • /
    • pp.129-139
    • /
    • 2014
  • This study supplements the limitation as much as possible that existing literatures have, and, on the target of new registered businesses to KOSDAQ, this study presents answers to the worries raised earlier by recovering problems on causal relationship direction between foreigner investment and dividend level and by analyzing them with dividend level as an independent variable. First, with the whole samples used, dividend income rate didn't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foreigners' investments. It is similar to study result of the existing literature. A panel analysis, on the target of sample businesses that paid dividends before foreigners' investments originated, showed that foreigners' investments didn'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ividend rate. It means that foreigner investors don't have an effect on dividend level. But, a panel analysis of samples shows that foreigner investments have a significant thesis relationship with dividend level variable, that is dividend return rate, except the businesses which paid dividend before foreigners' investments originated. It means that in case foreign investors' preference is controlled, in the businesses which pay dividends, foreign inves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ividend level to native KOSDAQ. Especially, this study result is very significant, for it shows that dividend return rate, insignificant in existing studies, was significant when foreigners' preferences to the businesses which pay dividends was controlled. It means that the more foreigners' shares increase, the more relative importance of dividend out of all profits increases, compared with all of the amounts at the time, and that foreign investors stick to short-term profit and induce big dividend.

  • PDF

현금배당락조치 폐지 이후 배당락일의 주가행태

  • Kim, Seong-Mi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9 no.1
    • /
    • pp.189-219
    • /
    • 2003
  • 본 연구는 한국증권거래소의 현금배당락조치 폐지 이전과 1998년 7월 현금배당락 조치 폐지 이후의 표본을 이용하여 인위적인 거래소의 배당락조치 변경이 배당락일의 주가행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현금배당락조치 폐지 이후 거래소 배당락기준가격의 오차는 예상대로 더욱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두 기간 모두 배당락일의 주가가 금기예상실효배당금과 거래소가 배당락조치를 위해 인위적으로 산정한 배당금과의 차이인 거래소 배당락기준가격의 오차를 반영할 수 없었다. 또한, 김성민(1997)과 일관되게 단기차익 거래의 유용성은 표본그룹에 관계없이 금기예상실효배당금에 대한 정보소유자가 연말 폐장일에 배당부종가로 구입하여 배당락일인 연초 개장일에 배당락 종가로 매도하는 것이 배당락 시가로 매도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차익거래를 통한 보유기간 세후 수익률은 현금배당락조치 폐지 이전인 1997년(4.7%)에 비해 현금배당락조치 폐지 이후 현금배당락을 시키지 않은 $1998{\sim}1999$년(8.9%) 기간에 더 증가하였다. 단기차익을 위한 차익거래가 실질적으로 이루어 졌는지 연초 배당락일 주변의 초과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1997{\sim}1998$ 회계년도의 배당락일에는 유의적인 양(+)의 초과거래량이 발생하였지만 1999 회계년도의 배당락일에는 유의적인 음(-)의 초과거래량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결론을 내릴 수 없었다. 본 연구는 금기예상현금배당에 대한 완전예측을 가정함으로써 배당락일의 주가하락과 주주총회에서 실현될 주당배당금의 괴리는 차익을 제공할 수 있으나 무위험 차익거래 기회가 아님을 밝혀 둔다.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사한 모든 일중 및 1일(overnight) 투자수익률에서 옵션 거래량의 상대적 비율에 의거한 투자전략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투자수익률의 차이를 가져왔다.e 측정치에 의해 평가했을 때, 회사채가 주식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Treynor 측정치에 의한 평가를 했을 때는 정기예금이 가장 우수했다. 그리고 Jensen 측정치에 따라 투자대상을 평가했을 때는 회사채와 국채가 주식보다 앞섰다. 마지막으로, 종합적인 평가를 했을 때는 회사채가 주식보다 우수했고 정기예금은 주식과 동일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유의성은 없었다.의 선도효과가 지배적임을 발견하였다.적 일정하게 하는 소비행동을 목표로 삼고 소비와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리고 있음이 실증분석을 통하여 밝혀졌다. 투자자들은 무위험 자산과 위험성 자산을 동시에 고려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투자활동을 행동에 옮기고 있다.서, Loser포트폴리오를 매수보유하는 반전거래전략이 Winner포트폴리오를 매수보유하는 계속거래전략보다 적합한 전략임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Loser포트폴리오와 Winner포트폴리오를 각각 투자대상종목으로써 매수보유한 반전거래전략과 계속거래 전략에 대한 유용성을 비교검증한 Loser포트폴리오와 Winner포트폴리오 각각의 1개월 평균초과수익률에 의하면, 반전거래전략의 Loser포트폴리오가 계속거래전략의 Winner포트폴리오보다 약 5배정도의 높은 1개월 평균초과수익률을 실현하였고, 반전거래전략의 유용성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하여 장단기의 투자기간을 설정할 경우에 6개월에서 36개월로 이동함에 따라 6개월부터 24개월까지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 PDF

Foreign Stock Investment and Firms's Dividend Policy in Korea (외국인 투자자가 국내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의 배당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다양한 계량경제모형의 적용)

  • Kim, Young-Hwan;Jung, Sung-Chang;Chun, Sun-Eae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6 no.1
    • /
    • pp.1-29
    • /
    • 2009
  • As foreign investors' share holdings in Korean firms have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1998 following the financial deregulation on the limit of foreign stock investment, the concern over the negative impacts the foreign investors would bring on the firms' financial policy has been growing too. Foreign investors were perceived to require the firms of excessive payments of cash dividends sometimes with threat of hostile takeover trials detering the firm from investing its cash flow in the physical facilities and RandD eroding their potential growth capabilities. We examine the impact of foreign investment on the firms' dividend policy using 234 listed firms' panel data over the sample periods of 1998 to 2005 employing various panel regression methodology. Foreign shareholders are found not to be related or even negatively related to the payout ratio(dividend/net income), but posi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ratio of cash dividends to book of asset, negatively to the dividend yields. Considering the payout ratio is the most appropriate measure for the dividend payment, we can not support the arguments that the foreign investors' holdings have induced the excessive dividend level in Korean firms.

  • PDF

Information Contents of Dividend and Ex-dividend Day Stock Returns (현금배당 사전공시기업의 정보효과 및 배당락일의 주식수익률)

  • Kim, Sung-Min;Kim, Ji-E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1 no.1
    • /
    • pp.1-32
    • /
    • 2004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tock price and the volume behavior on the ex-dividend day using the December fiscal year firms listed on the Korea Stock Exchange from 1998 to 2000. Using the samples of voluntarily preannounced dividend-raying firms prior to the end of fiscal you, this study corrects the major limitations on previous studies -Kim, S. (1997) and Kim, S. (2003)- which were based on the perfect foresight assumption for firms' upcoming dividends. Also, this paper examines the information content of dividend more properly, since the preannounced date for the upcoming dividend payment is employed for the first time as the event dat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announcement effects of cash and/or stock dividend is significant around the event date. The ex-dividend day stock returns are negative as expected for the samples of voluntarily preannounced cash dividend-paying firms.

  • PDF

The Effect of International Diversification on Dividend Payout ratio and Dividend Yield Rate (국제적 다각화가 배당성향 및 배당수익률에 미치는 효과 분석)

  • Choi, Yu-Jeong;Lim, Jae-Hwa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2
    • /
    • pp.187-197
    • /
    • 2020
  • In this study, how international diversification of domestic companies increases corporate profits and increases the dividend income of paid-in capital investors, who provided the basis for corporate business activities in the process of distributing profits. I tried to find out if it had an effect.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fixed-effect model for companies with settlements at the end of December listed on the domestic securities market from 2011 to 2018.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national diversification of individual companies, the higher the company's dividend payout ratio and dividend yield. This means that companies can steadily expand corporate profits and dividend yield of shareholders by securing new overseas markets through international diversification, it can be seen that a company's international diversification strategy can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corporate value by increasing the company's dividend payout ratio by increasing dividendable profit.

우리나라 상장기업(上場企業)의 상장(上場) 성과(成果) 분석(分析) : 상장(上場)후 5년간 소유구조(所有構造)와 재무적(財務的) 특성(特性) 및 영업실적(營業實績) 변화(變化) 분석(分析)을 중심(中心)으로

  • Yun, Pyeong-Sik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4 no.1
    • /
    • pp.93-122
    • /
    • 1998
  • 본 연구는 1988년부터 1990년까지 공개한 249개 제조업을 대상으로 기업공개를 전후하여 사기업이 공개기업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즉, 공개 전후의 재무적 특성, 영업성과, 소유구조, 배당정책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상장 후 장기주가행태를 살펴보고 영업성과와의 관련성도 분석하였다. 249개 공개기업 중 상장 3년 후에는 오직 71%의 기업만이 정상적인 영업을 할 정도로 영업성과는 악화되었다. 상장년도의 총자산영업이익률과 자기자본순이익률은 기업공개와 함께 급감하며 이후에도 계속 하락하였다. 부채비율은 상장년도에 크게 감소하나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5년 후에는 상장 1년 전의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대주주 1인 지분율은 공개 이후 점진적으로 하락하며 지분을 변화는 상장직전의 지분을, 신주모집비율, 자본금 증가와 부의 관계를 갖는다. 공개 전에 배당성향은 매우 낮고 현금배당을 지급한 기업수가 작으나, 상장 이후에는 배당성향이 증가하고 차등배당을 실시하는 기업의 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공개 전에 대주주에게 과도한 배당금을 지급한다는 증거는 없었다. 상장 후 60개월의 누적평균초과수익률은 -15%이며, 산업별로 큰 차이가 나타난다. 기간별 누적초과수익률은 기간별 영업성과의 변화와 정의 유의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Effects of the Previous Corporate Internal Reservation on the Current Dividend Rate - Using LEV as a moderating variable & Verification through DRF & GBM model (법인의 전기 사내유보가 당기 배당률에 미치는 영향 부채비율의 조절변수 효과 및 DRF & GBM 모델을 통한 검증)

  • Yoo, Joon-Soo;Jeong, Jae-Yeo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10
    • /
    • pp.215-223
    • /
    • 2017
  • This article has tried to analyse the effect of the corporate earning return tax empirically through analysis on the impact of previous internal reservation on the dividends rate of the current year. In addition to this, this article has tried to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policies with leverage ratio as a moderating variable. Moreover, DRF and GBM model were used to see the effect again. As a result of the actual proof analysis, OCF, ROE, FOR have a significance level of 99% in model1, model2, model3. However, ADV and MSE has appeared not to be meaningful in all models. In the result of DRF and GBM model for convergence was higher than GBM in depth and leaves. However, when it comes to a model explaining capability, GBM high than DRF. The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to examine the effect of government policy by time series analysis in the period of enforcement of the reflux tax, from 2015 to 2017.

재무정책과 기업부실예측

  • Park, Jeong-Y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6 no.1
    • /
    • pp.93-117
    • /
    • 2000
  • 본 논문의 목적은 1991년부터 1996년까지 부실이 된 상장기업 41개사와 이에 대응하는 118개 건전기업의 표본을 가지고 주요 재무정책변수를 이용하여 로짓분석에 의한 기업부실예측모형을 구축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와는 달리 이론적으로 타당하고 재무경영자의 관심대상인 투자정책변수, 자본조달정책변수 및 배당정책변수를 가장 잘 반영한다고 판단되는 12개의 재무비율을 사전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12개의 재무비율에 대해 부실기업과 건전기업을 가장 잘 판별할 수 있는 재무비율을 선정하기 위하여 프로파일 분석과 두 표본 t검정을 하였다. 그 결과 투자정책, 자본조달정책, 그리고 배당정책을 대표하는 변수로 자기자본순이익률, 총자본부채비율 및 배당율이 각각 채택되었다. 그리고 현금흐름변수를 추가하였다. 이 네 변수를 이용하여 로짓분석을 실행하였다. 먼저 부실 1년전부터 부실 5년전까지 각 연도별로 부실예측모형을 추정하였다. 부실 1년전의 추정모형에 의하면 총자본부채비율을 제외한 모든 계수의 부호는 (-)로 모두 기대했던 대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부실 4-5년 전에는 자기자본순이익률과 총자본부채비율이 기업부실에 유의한 영향을 주나 부실전 3년간은 현금흐름과 배당률의 크기가 부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실예측모형을 기업의 재무정책적인 관점에서 추정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