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기가스 배출

Search Result 51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urrent technologies for abatement of pollutants emitted from diesel vehicle (디젤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기술)

  • 김상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5 no.3
    • /
    • pp.19-31
    • /
    • 1993
  • 디젤자동차는 가솔린 자동차에 비하여 연료소비효율(fuel economy)이 20-30% 정도 높고 고출력을 낼수 있어 이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디젤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수많은 화학물질중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입자상물질, NOx 및 SO$_{2}$를 제거하는 기술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러한 오염물질의 저감을 위하여는 배기가스 재순환, 분사시기의 조절, 인터쿨링 같은 연소기술의 개선과 유황분이 적고, 방향족화합물의 함량이 적은 청정연료를 사용하여 어느 수준까지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1. 디젤자동차 배출허용기준. 2. 배기가스 정화기술. 2.1 트랩기술(trap technology). 2.2 재생기술(regeneration technology). 2.3 제어 및 센서기술(control and sensor technology)

  • PDF

Control of High-Pressure Exhaust Gas Flows Using Shock-Wave Confinement (충격파 감금법을 이용한 고압배기가스 유동의 제어)

  • ;;K.Matsu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8.04a
    • /
    • pp.19-19
    • /
    • 1998
  • 최근 화학, 연소, 동력, 제철 등의 각종 플랜트에서 조업압력이 고압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에 수반하여 배관계를 통하는 고압가스 유동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배관계를 통하는 고압가스의 유동에 있어서 유량의 적절한 제어, 유동에 의하여 야기되는 배관계의 소음·진동, 그리고 배기가스의 적절한 처리법 등은 공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문제로 알려져 왔다. 일반적으로 정상운전을 하는 플랜트에서 고압 배기가스의 문제는 배기가스 Expander에 의하여 에너지를 회수하는 방법이 생각될 수 있으나, 실제 공업현장에서는 배기가스를 안전하고, 또 소음·진동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적절하게 처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기술적 과제로 남아 있다. 일반적으로 배기가스의 압력이 임계압력(critical pressure) 이상으로 되는 경우(실제 대부분의 플랜트에서 배기가스의 압력은 임계압력보다 매우 높다), 배관계 내부에서 충격파(shock-wave)가 발생하여 난류와동 혹은 난류경계층과 간섭하게 됨으로써 강력한 공기역학적 소음이나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소음·진동에 대한 대책으로는 현재 가스배출부에 감압밸브를 직렬로 설치하거나, 유로에 다공판(porous plates)들을 삽입하여 감압과정을 공간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충격파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주로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배기가스 유동에 대한 유량의 제어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 PDF

Estimation of Ship Emissions and Environmental Costs : focusing on Port of Busan (선박 배기가스 배출량 및 환경비용 산출에 관한 연구 : 부산항을 중심으로)

  • Lee, Min-woo;Lee, Hyang-sook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2 no.4
    • /
    • pp.15-28
    • /
    • 2016
  • Port of Busan is Korea's largest trading port processing over 18,000 TEU a year. This rapid growth causes air pollution problems in Busan. Ship emissions are significant air pollution sources and port area is relatively close to the business district, therefore it may have serious effects to the health of local people and environment. In this study, ship emissions are estimated, especially on hotelling large vessels. As a result, Port of Busan has 50,686, 48,842 ship calls and 2,343,037 and 2,297,118 tons of ship emissions in 2011 and 2012 respectively. Also, the environmental cost in Port of Busan is approximately 1.2 trillion won per year.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ship emissions regulation, hence, it is expected to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in setting up ship emission management system.

An inventory analysis on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bulk carrier and oil tanker (벌크선박과 유조선의 온실 가스 배출 인벤토리 분석)

  • Im, Nam-Kyun;Yi, Sung-Ryo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4 no.3
    • /
    • pp.189-194
    • /
    • 2010
  • As the seriousness of the global environment is gaining our attention recently, studies on application of LCA(Life Cycle Assessment) to ship are being carried out dynamically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LCA to ships and was focused on the inventory analysis on global warming gas from merchant cargo ships. Two merchant cargo ships were adopted as ship models. Actual voyage data of at last several years was used to analysis the ship's exhaust gas inventory. The analysis shows how many weight of global warming gas being exhausted to transport 1 ton of each cargo per 1 nautical mile.

자동차 배기가스와 대기오염

  • Lee, Yeong-Ju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7 s.281
    • /
    • pp.66-75
    • /
    • 2002
  • 과거 10년전만해도 산업, 난방, 발전 등이 대기오염의 주된 원인이었으나 자동차의 증가로 말미암아 최근에는 자동차의 배기가스 즉 질산화물질(NOx),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총먼지(TSP : Total Solid Particlate), 아황산가스(SO2) 등이 대기를 오염시키는 주요 물질이 되었다. 인구의 증가, 산업의 발달, 경제수준의 향상은 자동차 증가를 촉진시키는데 촉매제 역할을 해왔으며 대도시에서의 자동차에 의한 오염물질 배출량은 앞으로도 차량의 증가와 더불어 가속화할 전망이다.

  • PDF

Study of the $SO_2$ combustion gases occurring from a livestock waste biogas power system (축산바이오가스발전시스템 가동 시 발생되는 연소 배기가스 중 $SO_2$에 관한 연구)

  • Choi, Jaejoon;Jung, Daehun;Park, Byungsik;Park, Jinsung;Huh, Changs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173.2-173.2
    • /
    • 2011
  • 대체 에너지 자원 중 폐기물의 소화 가스를 이용한 바이오가스 발전은 이산화탄소에 비해 온실효과 영향력에 21배에 해당하는 메탄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환경부하를 저감시키고 에너지를 생산한다. 바이오가스에 포함된 $H_2S$는 연소 후 $SO_2$형태로 발생되는데 $SO_2$는 수분과 반응을 하게 되면 $H_2SO_4$등의 강한 산성을 띄는 물질로 생성되어 배관 및 발전기에 손상을 주고 저온부식현상을 유발하게 하며, 동물이나 인체에 노출되면 기관지 수축현상이 일어나 호흡기에 영향을 주는 질식성을 띄는 가스이다. 축산바이오가스에 포함된 $H_2S$의 함유량과 가스엔진의 연소 시 배출되는 $SO_2$ 배기가스 성분의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해 60-65%의 $CH_4$와 30-35%의 $CO_2$ 성분의 바이오가스를 50kW급 발전기에서 사용하였고 연소 후 배출되는 가스 성분을 분석하였다.

  • PDF

The research about the improvement of pollutional material elimination efficiency in the waste gas automobile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characteristics (유전체장벽방전(Dielectric Barrier Discharge) 특성을 이용한 자동차 배기가스에서 공해물질 제거 효율 개선에 관한 연구)

  • Shin, S.K.;Shim, J.W.;HwangBo, S.;Kwon, W.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c
    • /
    • pp.1682-1684
    • /
    • 2002
  • 현재 국내에서 많이 연구 개발되고 있는 펼스코로나 방식은 자동차와 같은 소규모 오염 배출 원에 적용하기엔 경제적.기술적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3원 촉매법과 같은 화학촉매환원법은 사용조건이 엄격하고 일부 오염물질의 저감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합적인 공해물질 저감대책으로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자동차와 같은 소규모 오염배출원에 있어서 다양한 배기오염물질의 동시처리가 가능한 경제적이고 종합적인 공해물질 저감방법의 제시는 매우 중요한 당면 과제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현재 본 연구팀이 보유한 전기재료 및 방전분석 기술을 바탕으로 최근 국외에서 자동차 배기가스에서 공해물질의 배출억제 방안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유전체방벽방전 방식에 대해 체계적 실험 분석 등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공해물질 제거방법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선박 디젤엔진용 스크러버 시스템의 파일롯 실험 연구

  • Lee, Seong-Yeong;Park, Jae-Hyeon;Park, Chan-Do;Yang, Hui-Seong;Go, Jun-Ho;Song, Seok-Yong;Lee, Jae-U;Ryu, Seung-Ho;An, Gwang-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0a
    • /
    • pp.44-44
    • /
    • 2011
  • 디젤 엔진 배기가스 중의 황산화물(SOx)은 산성비의 원인이 될 뿐 아니라 인체에 대해서도 상당히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하는 성분으로 지금까지는 다른 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 (NOx),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등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덜 주목을 받아왔다. 국제적인 황산화물 배출규제의 경우, '황산화물 배출규제지역' (SECA : SOx Emission Control Area)에 대해 엄격한 배출규제가 시행되고 있는데, 대부분 황함량을 1.5%이하의 연료를 사용하거나, 후처리 설비를 설치해서 배기가스 중의 황산화물을 6.0g/kWh 이하로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화되고 있는 디젤엔진 배기가스 중의 황산화물과 입자상 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설비로서, 높은 경제성 및 신뢰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선정 가능성이 가장 높은 스크러버 시스템에 대해 독자모델 설계를 수행하였으며 파일롯 설비를 활용한 실제 디젤엔진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운전조건에 따른 제거효율, 발생되는 처리수의 성분, 그리고 디젤엔진 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압력손실 등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실제 선박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Emission Characteristics of Mercury and Heavy Metals from Coal and Waste Fuels (석탄과 폐기물 연료의 수은 및 중금속 배출 특성)

  • Ahmad, Tanveer;Park, Min;Keel, Sangin;Yun, Jinhan;Park, Jeong Min;Lee, Sang-Sup.
    • Resources Recycling
    • /
    • v.26 no.2
    • /
    • pp.33-38
    • /
    • 2017
  • Waste can be utilized as secondary or alternative fuel. Solid recovered fuel (SRF) and dried sewage sludge were combusted to investigate heavy metal emissions from their combusiton in this study. Content of copper (Cu), chromium (Cr), cadmium (Cd), nickel (Ni), zinc (Zn), lead (Pb), arsenic (As) and mercury (Hg) of coal, SRF and dried sewage sludge were determined, respectively. Concentrations of these heavy metals in the combustion flue gas were also determined. As a result, emissions of gas-phase Cu, Cr, Cd, Ni, Zn, Pb and As compounds were found to be little. However, a significant amount of gas-phase Hg was emitted from combustion of coal, SRF and dried sewage sludge. While SRF showed a high mercury oxidation percentage in its combustion flue gas, dried sewage sludge showed a high level of gaseous mercury emission.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xhaust Emissions in accordance with the Intake Manifold and Fuel Injector Maintenance of the Electronic Control Diesel Engine (전자제어 디젤엔진의 흡기 다기관 및 연료분사장치 정비에 따른 매연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 Kang, Hyun-Jun;Kim, Tae-J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9
    • /
    • pp.196-205
    • /
    • 2016
  • The exhaust gas discharged by cars not only threatens the health of the human body, but also contributes to global warming, due to the resulting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s of ozone, fine dust and carbon dioxide. Therefore, the government has steadily implemented careful inspection systems for exhaust emissions, in order to efficiently regulate the exhaust gas of cars. Studies on reducing the exhaust emissions of automobiles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ones designed to reduce the generation of HC, NOx, and $CO_2$ in the exhaust emission of vehicles. However,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studies on the reduction of the exhaust emission for old diesel vehicles. To develop careful inspection systems for the exhaust emissions of old diesel vehicles, studies on the reduction of the exhaust emissions and improvement of power are necessary by cleaning the carbon sediment in both the intake manifold and injector.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and compared the amounts of gas emitted when simultaneously cleaning or not cleaning the intake manifold and injector of diesel automobiles with mileages over 80,000 km and operating periods over 5 year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in the case where the intake manifold and injector were simultaneously cleaned, there was a decline of 75.2% in the gas emission compared to the cases where only the manifold or injector is cleaned. Also, it was found that simultaneously cleansing the intake manifold and injector enabled the exhaust standard to be satisfied for less than 30% within 8.5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