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근육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23초

거리 기반 퍼지 ART를 이용한 복부 초음파 영상에서의 충수 추출 (Appendix Extraction of Abdomen Ultrasonographic Images Using Distance-based Fuzzy ART)

  • 최성수;배준호;양지현;박승익;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4-9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복부 초음파 영상에서 Ends_in Search Stretching 기법을 적용하여 명암 대비를 강조한 후, 이진화, 영역 레이블링 기법, 잡음 제거를 통해 근막을 추출하고, 근막 영역의 하단 경계선을 기준으로 Cubic Spline 보간법을 적용하여 복부 근육의 근막 하단 영역을 추출한다. 복부 초음파 영상에서 추출된 근막 하단 영역을 이용하여 근막 영역을 제거한 후, 거리 기반 퍼지 AR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충수 후보 영역을 추출한 다. 추출된 충수 후보 영역에 침식 연산과 영역 레이블링 기법을 적용하여 충수를 추출한다. 제안된 방법을 복부 초음파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의 충수 추출 방법보다 객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충수와 소장의 명암도 차이를 구별할 수 있어 충수 영역이 이전의 방법 보다 비교적 정확히 추출되는 것을 영상의학과 관련 전문의를 통해 확인하였다.

  • PDF

한우 등심부위 근육 내 조지방함량에 따른 inducible cAMP early repressor (ICER) 유전자발현 분석 (Gene Expression Analysis of Inducible cAMP Early Repressor (ICER) Gene in Longissimus dorsi of High- and Low Marbled Hanwoo Steers)

  • 이승환;김남국;김성곤;조용민;윤두학;오성종;임석기;박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8호
    • /
    • pp.1090-1095
    • /
    • 2008
  • 근내지방 축적이 왕성하게 진행되는 12개월 및 27개월령 사이에 유전자발현이 증가하는 inducible cAMP early repressor (ICER) 유전자의 클로닝 및 유전자발현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한우조직별, 근육 내 조지방 함량에 따라 마블링 high- 및 low 한우 각 4두와 3두씩을 공시하였다. ddRT-PCR 분석을 통하여 증폭된 300 bp PCR 산물 및 EST 서열을 중심으로 1.5 kb 한우 ICER cDNA를 염기서열 분석하였으며, 조직별 유전자발현분석결과, 식이지방이 흡수되는 소장 조직에서 ICER 유전자의 발현량이 가장 높았다. 아울러, 같은 근육타입인 등심 및 우둔조직 사이에서 ICER 유전자발현은 등심조직에서 2.5배 많이 발현하였다. 한우 마블링 high, low 두 그룹 간 유전자발현 분석 결과, high 그룹에서 ICER 유전자발현이 4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ICER 유전자는 가축의 마블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유전자임이 사료된다.

자세에 따른 복식호흡 운동이 20대 성인의 자세근육 활성도 및 호흡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stural abdominal breathing exercise on posture muscle activity and respiratory function in adults in their 20s)

  • 이준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341-34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4주간 20대 성인에게 앉은자세와 누운자세에 따른 복식호흡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호흡기능과 배근육의 근활성도를 비교하여 어떤 자세에서의 운동이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립자세에서는 호흡운동 후 일초량이 가장 큰 수치를 보였고 누운자세에서는 호흡운동 전 일초량과 1초간노력성날숨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두자세의 복식호흡운동 전후 일초량과 날숨량 분산분석결과 운동전일초량, 운동후일초량, 운동전1초간날숨량, 운동후1초간날숨량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두 자세에서 복식호흡 전후 차이를 알 수 있었다. 기립자세, 누운자세에서 운동전에는 왼쪽 복직근, 운동후에는 오른쪽 복직근이 가장 높은 근활성도를 보였다. 두 자세 운동의 반복측정한 분산분석 결과 운동 전과 후의 양쪽 복직근과 외복사근은 근활성도 모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기립자세에서 운동 전과 후에 왼쪽 외복사근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운동전과 후 FEV1/FVC와 노력성 호기량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운동 전과 후 왼쪽 외복사근이 누운자세에서 가장 높은 근활성도를 보였고 노력성 호기량은 가장 낮은 근활성도를 보였다. 운동 전과 후 호흡량 및 근활성도의 반복측정된 분산분석 결과에서 오른쪽 복직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를 통해 앉은 자세와 비스듬히 누운자세 두가지 자세에서 복식호흡 운동을 적용 하였을 때 호흡기능과 배근육의 근활성도 전,후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두가지 자세에서의 운동 전,후 호흡과 근활성도 평가가 필요하고 평가에 따라서 어떤 자세에서의 운동이 더 효과적인지 알 수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좀 더 세분화되고 정확한 호흡기능과 근활성도를 알아보는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에게 장기간의 중재를 통해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숙성온도와 기간이 한우 거세우 배최장근의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geing Temperature and Time on the Meat Quality of Longissimus Muscle from Hanwoo Steer)

  • 김진형;조수현;성필남;하경희;김학균;박범영;이종문;김동훈;안종남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1-178
    • /
    • 2007
  • 본 연구는 숙성온도와 숙성기간이 한우 거세우 배최장근의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숙성온도를 0, $4^{\circ}C$로 하여 2, 7, 14, 21, 28, 49일 동안 숙성하면서 한우 거세우 배최장근의 pH, 전단력, MFI, 가열 및 육즙감량, 전자현미경 관찰, 관능검사 및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pH는 숙성온도가 $0^{\circ}C$일 때 숙성 21일까지, 숙성온도가 $4^{\circ}C$일 때 숙성 14일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였다(p<0.05). 전단력 값은 숙성 14일부터 28일까지 $4^{\circ}C$에서 숙성한 배최장근이 $4^{\circ}C$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연도가 향상되었다(p<0.05). MFI의 경우 $4^{\circ}C$에서 숙성한 배최장근 보다 $0^{\circ}C$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고,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0^{\circ}C$에서 숙성한 배최장근의 가열 및 육즙감량이 $4^{\circ}C$보다 적은 경향이었고,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관능검사에서 연도와 다즙성은 $0^{\circ}C$에서 숙성한 배최장근이 $4^{\circ}C$ 보다 좋은 평가를 보였고, 숙성기간이 경과하면서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얻었다(p<0.05). 전자현미경에 의한 미세구조 변화는 $4^{\circ}C$에서 숙성한 배최장근이 $0^{\circ}C$보다 1주일 빠르게 Z-disk의 붕괴가 확실하게 관찰되었고, 숙성기간이 경과하면서 Z-disk의 붕괴정도가 많아졌다. 아미노산 함량 변화는 $4^{\circ}C$에서 숙성한 배최장근이 $0^{\circ}C$보다 높은 경향이었고, 숙성기간이 경과하면서 각 아미노산 조성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한우 거세우 등심의 최적 숙성 조건은 $0^{\circ}C$에서는 14일간, $4^{\circ}C$에서는 7일간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숙성기술의 산업적 적용을 위하여 한우의 부위 및 근육별 적정 숙성기간 설정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반신 마비환자의 FES 독립보행을 위한 근육 강화 프로그램 (FES Exercise Program for Independent Paraplegic Walking)

  • 강선화;강곤;최현주;김종문;정순열;정진상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9-8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엑서사이즈 프로그램이 FES를 이용한 하반신 마비환자의 일어서기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으며, 또한 주요 다리근육들의 전기자극에 대한 수축특성과 피로특성에 주안점을 두었다. 정상인 10명과 완전 하반신 마비환자 4명의 대퇴사두근에 연속적 혹은 간헐적으로 전기자극을 가하였고, 자극주파수는 20Hz와 80Hz로 하였다. 또 근육의 길이에 따른 피로현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무릎의 각도를 90$^{\circ}$와 150$^{\circ}$로 각각 고정한 뒤 무릎신근 토크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남자 하반신 마비환자의 대퇴사두근과 장딴지근에 지난 2년간 FES엑서사이즈를 시행하였다. 무릎신근의 근력이 체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되었을 때 FES 일어서기를 시작하였으며, 자세교환 연습을 거친 뒤 평행봉 혹은 워커를 잡고 정전압 자극기와 표면전극을 사용한 4 또는 6채널 자극으로 보행하도록 하였다. 마비된 근육은 정상인과는 반대로 최적길이 부근에서 상대적으로 급격한 피로를 나타내었고, 저주와 자극과 간헐 자극이 피로를 지연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에 참가한 환자는 FES 엑서사이즈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근력이 초기의 10배 정도로 증가하였고, 피로지수는 초기의 절반 정도로 감소하였으며, 엑서사이즈 횟수를 매주 6일에서 7일로 바꾼 후 근력이 눈에 띄게 향상되었다. 환자 자신의 잔존능력도 향상되어 양쪽 무릎을 10cm정도 들어올릴 수 있게 됨으로써 보행시 스윙 단계에서 이 능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었다. 현재 환자는 워커를 잡고 스스로 자극기의 스위치를 조작하면서 4채널 자극에 의하여 10m/min의 속도로 최대 약 2분 40초의 보행이 가능하다.

  • PDF

하지 절단자를 위한 다축 회전이 가능한 인공발의 개발 (Development of Multi-rotational Prosthetic Foot for Lower Limb Amputee)

  • 신현준;박진국;조현석;류제청;김신기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305-313
    • /
    • 2016
  • 두 발을 번갈아 옮기며 몸을 앞으로 움직이는 단순한 동작의 반복으로 보이는 보행이란 과정은 실제 인체 내의 대부분의 근육 및 인대, 뼈가 연관되어 이루어지는 복잡한 행동이다. 신체 일부가 소실된 하퇴 절단자의 경우 생체조직이 온전히 보전되어 있는 일반인과는 달리 남은 생체 부위와 의지의 공학적인 성능에만 의존해 보행을 해야 한다는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하퇴절단자를 위한 하퇴의지는 우선 환자가 기본적인 보행이 가능케 함과 동시에 최대한 복잡한 지면 상태에 적응할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야 한다. 원활한 보행을 위해서는 배/저굴 방향의 발목의 회전이 매우 중요하고 고르지 못한 지면 상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내/외전 방향의 족부의 회전 기능이 요구된다. 최근 생체역학적인 연구를 접목한 다양한 하퇴의지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고가의 고성능 하퇴의지의 경우 주로 활동성이 높은 하지절단 환자들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퇴의지 착용자의 대다수인 활동성이 낮은 K2 레벨의 환자들을 위한 하퇴의지를 개발했다. 기본적인 보행 능력 향상을 위해서 배/저굴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한 유압식 발목을 개발했고, 이를 통해서 배/저굴 방향으로 각각 $2.5^{\circ}$$4^{\circ}$의 회전이 가능함을 확인했다. 또한 수동 조절이 가능한 유압 노즐을 탑재해 환자 개개인에 적합한 발목 회전 저항력을 설정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내/외전 방향으로의 족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중고무 방식의 중간재를 삽입해 각각 $3.6^{\circ}$$4.1^{\circ}$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측경사나 작은 장애물들을 극복할 수 있도록 제작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하퇴의지는 K2 레벨의 하퇴절단자들이 일상생활 중에 겪게 되는 다양한 지면 환경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해산어의 부분동결에 의한 $Ca^{2+}-,\;Mg^{2+}-dependent$ Adenosine Triphosphatase 활성 및 근섬유의 미세구조의 변화 -I. 저온저장에 의한 방어 근원섬유 단백질의 변성- (Changes in the $Ca^{2+}-,\;Mg^{2+}-dependent$ Adenosine Triphosphatase Activity and Ultrastructure of Marine Fishes by Partial Freezing -I. Denaturation of Yellowtail Myofibrillar ATPase During Cold Storage-)

  • 최경호;박찬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3-130
    • /
    • 1989
  • 방어로부터 추출한 근원섬유 현탁액을 $0^{\circ}C$(빙장), $-3.5^{\circ}C$(PF저장), $-20^{\circ}C$(동결저장)에 저장하면서 Ca-과 Mg-ATPase활성을 측정하여 근육단백질의 변성을 조사하였으며 일부는 생선을 각 온도에 일정기간 저장한 후 근원섬유를 추출하여 단백질 변성정도를 비교한 결과 추출한 근원섬유를 저장하였을 때 빙장 및 PF저장한 시료의 ATPase활성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동결 저장한 시료에서는 현저히 낮았다. 생선을 각 온도에 1주일간 저장한 후 추출한 근원섬유의 소활성은 근원섬유를 미리 추출하여 같은 기간동안 저장한 경우에 비하여 빙장과 PF저장에서는 1.2-1.8배, 동결저장에서는 2.5-3배 정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근원섬유를 각 온도에 저장하였을 때의 변성속도는 Ca-의 경우가 Mg-ATPase에 비 해 2-3배 빨랐으나 생선으로 저장한 경우에는 Ca-과 Mg-ATPase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

미성숙 흰쥐에 있어서 과잉배란 난자의 체외수정 및 수정란의 배양에 관한 연구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Culture in Immature Rats induced to Superovulate)

  • 이종호;박충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1-47
    • /
    • 1991
  • 미성숙 흰쥐에 있어서 과잉배란 유기시 PMSG용량이 체외수정에 의한 수정율과 수정란의 배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체외수정 및 배양용기로서 plastic mini-straw의 이용효과와 체외수정란의 이식성적을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미성숙 흰쥐(체중 65~80g)에게 PMSG를 4, 10, 16 혹은 40IU를 1회 근육주사한 후 72시간에 채란한 난자 중에서 난구세포괴를 가진 정상형태의 난자와 정소상체 미부에서 채취하여 예비배양한 정자로 체외수정시켰다. 체외수정율은 PMSG 용량이 증가될수록 감소하였는데, 즉 4IU에서는 70.8%였으나, 40IU에서는 45.0%로 유의적으로 (P<0.05)저하하였다. 그러나 다정자 수정발생율은 2.3~9.7%로서 PMSG 용량에 따른 유의적인 증가는 없었다. 이 결과는 과량의 PMSG의 투여로 배란된 난자 중에서 일부는 비록 난자가 형태학적으로는 난구세포괴를 가지는 정상적인 난자일지라도 체외수정율의 저하는 정상적인 배란시간보다 조기배란으로 난자의 노화로 인하여 수정에 적합하지 않음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plastic mini-straw를 고안하여 straw내에서 체외수정시킨 후 66~72시간까지 배양시험한 결과 2-16와 4-16세포기까지 발달된 배의 비율은 petri dish보다 다소 우수(P<0.05)하였으며, straw용기에서 체외수정된 2세포기의 52개의 배를 7마리의 위임신 흰쥐에게 이식시켰던 바 6개의 배를 이식 받은 한 마리의 수란쥐가 2마리의 새끼를 분만하였다.

  • PDF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뽕잎 추출물의 항당뇨 효과 (Anti-diabetic effect of mulberry leaf extract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 최지수;이설희;박영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91-19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발효식품으로부터 항당뇨 효능을 지닌 유산균을 분리하여 뽕잎 추출물을 발효하고, 제조된 유산균 발효 뽕잎 추출물의 항당뇨 효능을 평가하였다. 갓김치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plantarum SG-053은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이 96.8%로 가장 우수하고, 뽕잎을 발효하여 뽕잎에 존재하는 항당뇨 지표물질인 1-deoxynojirimycin (DNJ)의 함량을 2.2배 증가시키며 우수한 생육 활성을 나타내어 본 연구에서 뽕잎 추출액의 발효에 사용하였다. L. plantarum SG-053으로 발효한 뽕잎 추출물은 L6 근관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없었고, IRS-1, PI3K p85α, GLUT-4 유전자 발현을 각각 1.4, 2.2, 1.4배로 증가시켰으며, 세포의 2-deoxyglucose 흡수를 1 μM의 인슐린보다 높은 수준인 40.7% 증가시켜 인슐린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세포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구 당 부하 검사를 통해 유산균 발효 뽕잎 추출물이 포도당 섭취에 의해 증가한 혈당을 빠르게 감소시키고, α-glucosidase의 저해를 통해 maltose의 분해에 의한 혈당 증가를 억제하였다. 유산균 발효 뽕잎 추출물은 SD rat의 허벅지 골격근 조직의 PI3K p85α와 GLUT-4 유전자 발현을 각각 6.4, 2.1배 증가시켜 L6 근관세포에서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in vivo 근육 조직에서도 인슐린 신호전달경로의 활성화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L. plantarum SG-053이 뽕잎을 효과적으로 발효하여 DNJ의 함량을 증진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L. plantarum SG-053으로 발효한 뽕잎 추출물은 우수한 항당뇨 효능을 지니는 것을 세포 및 동물실험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톨트라주릴 합성유도체, N-(4-(4-Fluorophenoxy)-3-methylphenyl) acetamide 근육 주사에 따른 넙치의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 활성 검사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ollowing intramuscular injection of toltrazuril derivative N-(4-(4-Fluorophenoxy)-3-methylphenyl) acetamide)

  • 박상협;김정의;도정완;김아란;김이경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1-12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에서 N-(4-(4-Fluorophenoxy)-3-methylphenyl) acetamide 주사 투여에 따른 넙치 비장의 NK cell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20, 150, 200 mg/kg 용량으로 설정하고 3일에 1회, 30일 동안 총 10회의 주사를 투여하였다. 표적세포(Target cell)로는 쥐의 임파종 세포인 YAC-1 cell과 넙치의 HINAE cell을 사용하였고, 넙치 비장의 NK cell과의 공배양 시간은 4시간과 18시간을 선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YAC-1 cell을 사용하여 실험의 경우 4시간과 18시간 공배양 실험 모두 200 mg/kg 용량 구간의 실험군에서 가장 높은 세포독성을 대조군 대비 최대 3.06배 높은 세포독성을 보였다. HINAE cell을 사용한 실험의 경우 4시간 공배양한 실험에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YAC-1 cell과 마찬가지로 200 mg/kg 용량 구간의 실험군에서 가장 높은 세포 독성을 보여 대조군 대비 2.3배 높은 세포독성을 보였다. 추가적으로 넙치의 두신 조직에서 IL-12b의 발현량을 확인하였고, 세포독성 실험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고, 200 mg/kg 용량 구간의 실험군에서 가장 높은 발현량을 보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6.62배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N-(4-(4-Fluorophenoxy)-3-methylphenyl) acetamide가 넙치의 NK cell 활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