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경농도

Search Result 51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Comments on Air Pollutant Levels at Background Sites in Korea (우리 나라 배경 농도 측정소의 측정결과 검토)

  • 김용표;김현진;이승복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15 no.4
    • /
    • pp.505-512
    • /
    • 1999
  • 우리 나라의 배경농도 측정소에서 1996년과 1997에 측정한 대기오염물질 농도 경향을 살피고, 결과의 타당성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배경농도 측정소의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는 오존을 제외하고는 도심지역의 농도에 비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황산가스와 일산화탄소의 경우에는 일반용 측정기기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실제 농도보다 매우 높게 관측결과를 낼 수도 있음을 확인 하였다. 또한 예년 경향과 다르거나, 비정상적인 경향을 보여 측정결과의 신뢰성이 낮은 측정 결과도 일부 파악되었다. 우리 나라 배경농도도 측정소의 설치, 운영목적이 배경농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이동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를 생산하는데 있는 만큼, 배경농도 측정요인 저농도 측정기기의 이용과 함께, 좀더 적극적인 기기의 유지, 관리가 필요하다.

  • PDF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ants Concentration at Rural Area in Korea (국내 시골지역의 대기오염 물질 농도 특성)

  • 박민석;백점인;이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239-240
    • /
    • 2002
  • 산업화 및 차량 증가 등에 의해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역의 대기오염 농도는 지난 세기 동안 꾸준히 증가하여 왔다 특정 지역에서 나타나는 대기오염 농도는 특정 배출원에 기인한 인위적 오염 농도와 그 지역의 자연 배출원 등에 의한 배경농도의 합으로 결정되므로 해당지역의 오염 영향의 평가나 대기질 관리 대책을 수립함에 있어 배경농도에 관한 정보를 얻는 것은 중요하다. (중략)

  • PDF

Real-time monitoring of radon background level at Gosan site, Jeju Island (제주도 고산지역의 라돈 배경농도 실시간 모니터링)

  • Kang, Chang-Hee;Kim, Won-Hyung;Hu, Chul-Goo;Kang, Dong-Hun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5 no.1
    • /
    • pp.7-13
    • /
    • 2012
  • The real-time monitoring of radon ($^{222}Rn$) concentrations has been carried out to evaluate the background concentration level of atmospheric radon in Gosan site, Jeju Island. The mean concentration of radon for the recent 10 years was 2831 $mBq/m^3$ (0.077 pCi/L), which was 19.5 time lower than that of indoor radon in Korea. The seasonal concentrations were 2657, 2071, 3249, 3384 $mBq/m^3$ respectively for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seasons. In monthly comparison, the radon concentrations were high in October and low in July. The hourly concentrations have increased during the nighttime, showing 3666 $mBq/m^3$ at 7 a.m., and decreased relatively during the daytime, showing 2755 $mBq/m^3$ at 2~3 p.m. From the back trajectory analysis, the radon concentrations showed higher values when the air mass was moved from the Asia continent to Jeju area, on the other hand, it showed low values when it was moved from the North Pacific Ocean.

Background Concentration and Contamination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Korean Coastal Sediments (한반도 연안 퇴적물의 중금속 배경농도 및 오염도 평가)

  • WOO, JUNSIK;LEE, HYOJIN;PARK, JONGKYU;PARK, KYOUNGKYU;CHO, DONGJIN;JANG, DONGJUN;PARK, SOJUNG;CHOI, MANSIK;YOO, JEONGKYU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4 no.1
    • /
    • pp.64-78
    • /
    • 2019
  • The background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Korean coastal sediments were estimated using heavy metal data for 495 sediments obtained from 'National Marine Ecosystem Survey (Coastal ecosystem) in 2016-2017' and the extent of contamination was assessed. Al, Cs, and Li are chosen as appropriate indicators for sediment grain siz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heavy metal and indicators concentrations, the lowest slope data were selected through the outlier removal and residual analysis, and the background concentrations were presented as a linear regression line between metal and indicator. Comparing the previous studies for the background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Korean coastal sediments, concentration levels were generally consistent but those for As and Cd were presented for the first time, and the background concentration using Li as the indicator was presented for the first time.

Estimation of Groundwater Quality and Background Level in Boseong Area, South Korea (보성지역 지하수의 배경 수질 및 오염 특성 분석)

  • Moon, Sang-Ho;Lee, Jinwon;Kim, Kangjoo;Ju, Jeong-woung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5 no.1
    • /
    • pp.29-43
    • /
    • 2022
  • The groundwater quality in Boseong area was characterized and their background concentrations were estimated based on the chemical data obtained from 200 groundwater samples collected during July 2019. Groundwater data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Group 1 with NO3- < 44.3 mg/L and Group 2 with NO3- ≥ 44.3 mg/L. Results of t-tests indicate that groundwaters in Group 2 are significantly higher in water temperature and Ca concentration and significantly lower in F, As, Pb and Zn concentrations. It was also revealed that groundwaters Group 2 are closely linked to low pH, alkalinity, NH4, NO2, F, As, Fe, Mn, Pb and Zn levels, and high EC and water temperature. Background concentrations were estimated using the the BRIDGE method. The results depicted the higher levels in NO3, NH4, PO4, As, Fe, Mn than the ones estimated by MOE and KECO (2018; 2019), which were prepared for the three catchment units in Boseo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elieved to have more reliability because more data were used.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PM_{10} & PM_{2.5}$ and it′s Components at Concentrations Ganghwa from 2000~2002 (2000~2002년 강화에서 입자상물질($PM_{10}, PM_{2.5}$)의 농도 및 성분 조성)

  • 김한식;여현구;한진석;선우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09-310
    • /
    • 2003
  • 입자상물질에 대한 연구는 광역적인 대기 오염정도의 평가 및 오염물질의 이동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므로 이와 같은 오염원의 크기에 대한 배경농도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입자상물질은 대기중에서 기류를 타고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오염농도 변화는 지역적인 영향을 받는 대도시 지역보다 오염원으로부터 격리된 청정지역에서의 측정이 필요하다(신혜정 등, 2002).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배경농도 측정지점 중 하나인 강화에서 2000년부터 2002년까지 측정한 입자상 물질의 농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중략)

  • PDF

Prediction of Ozone Concentration in Suwon by Empirical Kinetic Modeling Approach (EKMA를 이용한 수원시의 장래 오존농도 예측)

  • 서정배;장영기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368-370
    • /
    • 1999
  • 고농도의 오존 농도를 예측ㆍ평가하기 위해서는 대상지역의 기상조건과 풍상쪽(up wind)으로부터의 오존ㆍ오존전구물질(precursor)의 중ㆍ장거리이동, VOCs 및 NOx의 배경농도 및 배출량과 관련된 VOC/NOx의 농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대상지역의 VOCs/NOx의 농도 특성에 따라 차후 고농도의 오존 생성을 예방하기 위한 오존전구물질의 저감대책이 결정되어지므로 대상지역의 광화학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져야 한다.(중략)

  • PDF

Background Concentrations of Atmospheric Pollutants measured at Kosan during ACE-Asia Intensive Observation Period (IOP) (ACE-Asia 집중관측기간에 제주고산에서 측정한 대기오염물질의 배경농도 분포특성)

  • ;;;;Jianzhen Yu;Keith Bower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173-17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Asian Pacific Regional Aerosol Characterization Experiment(ACE-Asia) 집중관측 기간에 우리 나라의 배경대기 지역의 하나인 제주도 고산에서 측정한 가스상 오염물질과 입자상 오염물질의 농도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대기질 분석을 시행하였다. 제주 고산은 지리적인 요인과 정책적 요인에 의해서 인위적인 오염물의 배출원이 거의 없는 청정 지역으로 배경 대기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한반도와 중국 대륙, 일본으로부터의 오염물 장거리 이동을 관찰할 수 있는 적합한 장소이다(김용표 등, 1995). (중략)

  • PDF

CCA 방부 목재로 지은 통나무집 주변 토양의 중금속 오염도 평가

  • Park Eun-Ju;Song Byeong-Yeol;Gu Jin-Hui;Ryu Seung-Hye;Kim Dong-Jin;Kim Hui-Ga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234-237
    • /
    • 2006
  • 방부 목재는 일반 목재에 비해 사용 수명이 20-40년 정도 길기 때문에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부제는 chromate copper arsenate(CCA)이다 CCA 성분인 구리, 크롬 및 비소는 생태계 및 인체에 대한 위해성 때문에 많은 나라에서 처리 목재의 사용을 금지하거나 제한하고 있는 실정인 반면에, 국내에서의 사용은 늘어만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방부 목재를 사용하여 지은 3년 된 통나무집 한 곳과 8년 된 통나무집 두 곳에 인접한 토양시료를 채취, 분석하여 방부 목재 사용으로 인한 토양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건물에 인접한 지점부터 수평 방향으로 25cm 간격으로 100cm까지 5개의 표토 시료를 채취하였다. 또한 배경 농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건물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서 토양시료를 2개 채취하였다. 토양시료는 입도, 전기전도도, pH, 유기물 함량 등의 물리 화학적 성질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CCA성분은 microwave oven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분석하였다. 0cm에서 CCA성분은 배경 농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용출양은 3년 된 통나무집의 경우 크롬(67.2mg/kg)>구리(20.3mg/kg)>비소(4.14mg/kg)의 순으로 측정되었으며, 8년 된 통나무집의 경우 크롬(36.6mg/kg)>구리(21.3mg/kg)>비소(1.93mg/kg)의 순으로 측정되었다. 구리를 제외하고 크롬과 비소의 경우 3년 된 통나무집에서 많이 용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년 된 통나무집의 구리와 크롬은 100cm농도가 배경농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비소의 경우는 100cm농도가 배경농도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구리와 크롬이 100cm이상으로 이동을 한다는 것을 알려주며, 8년 된 통나무집의 경우는 크롬과 비소가 100cm이상으로 이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CCA로 처리된 방부목재에서는 CCA성분이 용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크롬과 비소의 경우는 초기에 많이 용출되고, 구리의 경우는 꾸준히 용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년 된 통나무집이 8년 된 통나무집보다. 용출양이 더 컸으며, 이는 CCA성분이 초기에 많이 용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zone Concentrations at Taeha between 1997 and 2000 (1997년~2002년 태하의 오존 농도 경향)

  • 김정화;김용표;박일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295-296
    • /
    • 2003
  • 1990년대 이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국내 $O_3$ 연구는 대부분 서울 지역에 국한되어 있다. 그러나 대도시의 $O_3$ 농도가 대도시 내에서의 생성 및 소멸에만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대기 운동과 관련된 수평 및 연직 수송에 의한 영향도 중요한 요소임이 많은 연구에서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청정 대기 상태에서 $O_3$의 배경 농도 특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서명석 등, 1995). 울릉도 태하는 우리나라의 배경 농도 지역으로 청정 대기 상태에서의 $O_3$ 농도 특성을 연구하기 좋은 지역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