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형구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3초

논 생태계 서식 수서생물 채집 도구 개발: 유인제를 사용한 수중트랩 (The Development of a Sampling Instrument for Aquatic Organisms in Rice Paddy Fields: Submerged Funnel Traps with Attractants)

  • 윤성수;김명현;최순군;어진우;권순익;송영주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640-647
    • /
    • 2017
  • 생물다양성 측면에서 논 생태계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수서생물을 효율적으로 채집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논 생태계 내에서 수서생물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쉽게 채집하기 위해 두 가지 유인제(어분, 캐미라이트)를 활용한 수중트랩을 고안하였다. 고안된 트랩으로 채집된 수서생물의 유인제 선호도는 일반화선형혼합모형을 통해 분석되었다. 또한 선행연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방형구와 수중트랩으로 채집된 수서 무척추동물의 군집 조성을 비계량형다차원척도법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중트랩에 의해 채집된 65분류군의 수서생물 중 18분류군이 유인제에 의해 채집효율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18분류군 중왕우렁이, 수정또아리물달팽이, 애기물달팽이, 돌거머리, 패충류, 풍년새우, 꼬마줄물방개, 애기물방개, 깔따구류, 참개구리, 미꾸리류 등 12분류군은 어분을 선호하였고, 아시아실잠자리, 실잠자리류, 깃동잠자리, 방물벌레, 검정배물벌레, 애물땡땡이 등 6종은 캐미라이트를 선호하였다. 또한 수중트랩은 방형구법에 비해 생물다양성의 측정도구로서의 활용도는 낮지만 특정 분류군의 선택적인 채집에는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에서 간단하고 정량적인 방법으로 수서생물을 채집할 수 있도록 고안된 트랩은 장기적이고 광범위한 논 수서생물 생태 조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금낭화의 생육특성 및 자생지 식생조사 (Growth Characters and Vegetation Survey in Natural Habitat of Dicentra spectabilis (L.) Lem)

  • 허권;이채곤;장민영;조동하;유창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88-194
    • /
    • 2000
  • 금낭화의 적정 재배환경을 구명하기 위하여 금낭화의 자생지 식생 및 생육환경을 조사한 결과, 금낭화가 자생하고 있는 곳은 해발 630~690m의 북동사면 전석지 지역이었고, 경사도는 25$^{\circ}$~ 33$^{\circ}$ 범위이었다. 군락내 광도는 평균 14,0001ux 였으며, 생육초기에는 높았고 후기로 갈수록 광도는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방형구당 금낭화 개체수는 평균 30개체 였으며, 전체 방형구에서 출현한 종수는 52종이었다. 이들 중 목본식 물은 신갈나무, 생강나무, 난티 잎개암 나무, 층층나무, 초본식물은 산괴불주머니, 개별꽃, 맑은대쑥, 관중, 천남성, 대사초, 홀아비꽃대가 우점하였다. 금낭화 자생지의 평균 토양 수분은 약 32.6%이었고, 토양산도는 5.1~6.0 범위이었으며, 유기물 함량은 1.70~2.20%, 인산함량은 평균 14mg/kg이었다. 치환성 양이온 용량은 칼륨 0.55me/100g, 칼슘 15.2me/100g 그리고 마그네슘이 3.3me/100g이었고, 전기전도도는 0.50~0.76dS/m 범위였다. 생육기인 5월과 6월의 평균기온은 각각 14.2$^{\circ}C$와 19.4$^{\circ}C$이었다. 조사결과 금낭화는 차광조건이 요구되고, pH 5.5 정도의 수분이 충분히 유지 되는 토양조건과 평균 14$^{\circ}C$~19$^{\circ}C$ 정도의 기온에서 좋은 생육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천관산도립공원 식생보전을 위한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 (Analysis of Plants Social Network for Vegetation Conservation on Cheongwansan Provincial Park in Jeollanam-do)

  • 강지우;이상철;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92-402
    • /
    • 2023
  • 본 연구는 천관산도립공원의 식물사회 특성을 파악하고 지속가능한 식생관리와 도립공원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천관산도립공원을 대상으로 126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출현한 목본수종을 조사하였고 희소종을 제외한 종을 중심으로 종간결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Gephi 0.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소시오그램으로 작성하였으며, 인접한 노드 간 그룹을 나누어주는 모듈화 분석과 네트워크 중심성 및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조사된 방형구 내 출현빈도는 청미래덩굴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졸참나무, 사스레피나무, 때죽나무, 조릿대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희소종을 제외한 69종에 대해 종간결합분석을 실시하였고, 양성결합을 토대로 식물사회네트워크를 시각화하였다. 식물사회네트워크는 69개의 노드와 396개의 연결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수종이 평균 약 17.9종과 종간결합을 맺으며 2.3단계 만에 서로 간 연결되었다. 69종은 모듈화 분석을 통해 3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1그룹은 주로 상록활엽수 및 난온대 지역에서 출현하는 수종으로 이루어졌으며, 2그룹은 낙엽활엽수 위주로 이루어졌다. 3그룹은 주로 햇빛이 잘 들고 건조한 양지에서 잘 자라는 수종으로 나뉘었다.

소백산 도솔봉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Dosolbong Area in Sobaeksan)

  • 김갑태;김준선;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7-133
    • /
    • 1993
  • 소백산 도솔봉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천연림의 생육현황과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도솔봉지역에 20개의 방형구(20$\times$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Cluster분석한 결과 세 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당단풍과 피나무 및 병꽃나무, 개암나무와 국수나무, 싸리와 쪽동백 등의 수종들 간에는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철쭉과 노린재 및 까치박달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2.2521-2.3772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본 조사지의 왜솜다리군락은 잘 보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오대산 국립공원 동대산, 두노봉, 상왕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Dongdaesan, Turobong, Sangwa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 김갑태;추갑철;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7-155
    • /
    • 1996
  • 오대산 국립공원의 동대산, 두노봉, 상왕봉 지구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천연림의 생육현황과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27개의 방형구(20$\times $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Cluster 분석한 결과 세 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피나무와 당단풍, 야광나무와 개회나무, 돌배나무와 백당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신갈나무와 귀룽나무, 피나무와 귀룽나무, 당단풍과 귀룽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조사지의 종 다양도는 0.9586~1.1814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 PDF

한반도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림에 대한 군락분류 (Study of Community Classification Camellia japonica Forest in the Korean Peninsula)

  • 진영규;김인택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67-771
    • /
    • 2005
  • 본 연구는 1999년 5월부터 2003년 2월까지 현지조사 또는 문헌조사에 의하여 한반도 동백나무 분포대에서 263개의 방형구를 설정하였다. 이를 기초로 하여 식생단위를 추출하기 위해서 종조성표와 종합상재도표(Table 1)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반도의 상록활엽수림은 동백나무를 중심으로 9개의 군집(群集)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동백나무전형군집, 동백나무-후박나무군집, 동백나무-곰솔군집, 동백나무-구실잣밤나무군집, 동백나무-까마귀쪽나무군집, 동백나무-모밀잣밤나무군집, 동백나무-붉가시나무군집,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 동백나무-생달나무군집으로 정의되었다.

설악산 아고산대 산림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Subalpine Forest Zone in Mt. Seorak)

  • 송연희;윤충원
    • 환경생물
    • /
    • 제24권3호
    • /
    • pp.268-274
    • /
    • 2006
  • 설악산(대청봉 1,708m)아고산대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2005년 6월부터 2005년 8월까지 81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Z-M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식생구조의 유형분류를 실시하였던바 설악산의 아고산대 산림식생은 분비나무군락군 유형으로 크게 분류되었고, 군락단위에서는 철쭉군락과 개들쭉군락, 철쭉군락은 만주고로쇠군과 잣나무군 (시닥나무소군과 뽕잎피나무소군), 개들쭉군락은 눈잣나무군과 눈향나무군으로 각각 세분되었으며, 총5개의 식생유형으로 나타났다.

주왕산국립공원 자연보존지구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Nature Conservation Area in Chuwangsan National Park)

  • 김갑태;김준선;추갑철;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5-141
    • /
    • 1995
  • 주왕산 국립공원의 자연보존지구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천연림의 생육현황과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21개의 방형구(20$\times$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Cluster 분석한 결과 두 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서어나무와 물푸레나무, 졸참나무와 굴참나무, 생강나무와 국수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고로쇠나무와 쇠물푸레, 당단풍과 굴참나무 둥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1.1306~l.2688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 PDF

주왕산국립공원 왕거암, 금은광이지구의 삼림군집 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Wangkoam, Kumunkwangi Area in Chuwangsan National Park)

  • 김갑태;김준선;추갑철;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42-149
    • /
    • 1995
  • 주왕산국립공원의 왕거암과 금은광이 지역(400-700m)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천연림의 생육현황과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23개의 방형구(20$\times$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Cluster분석한 결과 두 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서어나무와 피나무, 고로쇠나무와 말발도리, 조록싸리와 팥배나무등의 수종들 간에는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산벚나무와 팥배나무, 고로쇠나무와 쇠물푸레, 말발도리와 굴참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1.2167-1.3945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 PDF

한국 특산 히어리 군락의 식생구조와 맹아지 동태 (Vegetation Structure and Sprouting Dynamics of Corylopsis coreana Community belong to Korean Endemic Plants)

  • 이정환;강호철;안현철;조현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80-287
    • /
    • 199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특산식물인 히어리 군락이 지리산 국립공원 동부지역에 대규모로 분포하고 있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하여 군락지의 분포 및 맹아지 특성 그리고 군락의 보호대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축적하고자 수행되었다. 각 계층별 중요치는 교목층에서 소나무(134.15) 일본잎갈나무, 산벚나무, 비목나무, 신갈나무 등이 우점하였고 아교목층에서는 히어리, 거제수나무. 비목나무, 졸참나무, 노각 나무 그리고 관목층에서는 히어리가 우점하였으며 그 외에 철쭉꽃, 진달래, 생강나무 등이 출현하였다 그리고 맹아지 특성은 1개 방형구(25m2)에 평균 17.75개의 주간이 형성되고 1개 주간당 맹아지 수는 평균 6.00개 고사지는 2.80개로 조사되었다. 흉고직경급별 분포에서 생장지의 경우 흉고직경 1.0-4.0cm 구간에서 전체의 64.78%를 차지하였으며 대부분 2.0-3.0cm 구간에서 54.74%를 차지하여 히어리 군락의 중심계급이었다 흉고직경 1.0cm 이하의 고사지가 전체의 53.16%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근주에서 돋아나는 1년생 맹아지가 대부분 고사하였기 때문이었다 특히 히어리의 번식습성은 실생묘에 의한 번식도 가능하지만 본 조사지에서와 같이 수관이 울폐된 지역에서는 주로 근맹아에 의한 번식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