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향 벡터

Search Result 764,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Direction Vector for Efficient Structural Optimization with Genetic Algorithm (효율적 구조최적화를 위한 유전자 알고리즘의 방향벡터)

  • Lee, Hong-Woo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8 no.3
    • /
    • pp.75-82
    • /
    • 2008
  • In this study, the modified genetic algorithm, D-GA, is proposed. D-GA is a hybrid genetic algorithm combined a simple genetic algorithm and the local search algorithm using direction vectors. Also, two types of direction vectors, learning direction vector and random direction vector, are defined without the sensitivity analysis. The accuracy of D-GA is compared with that of simple genetic algorithm. It is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approach can be an effective optimization technique through a minimum weight structural optimization of ten bar truss.

  • PDF

Finger-Knuckle-Print Verification Using Vector Similarity Matching of Keypoints (특징점간의 벡터 유사도 정합을 이용한 손가락 관절문 인증)

  • Kim, Min-Ki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6 no.9
    • /
    • pp.1057-1066
    • /
    • 2013
  • Personal verification using finger-knuckle-print(FKP) uses lines and creases at the finger-knuckle area, so the orientation information of texture is an important featur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ective FKP verification method which extracts keypoints using SIFT algorithm and matches the keypoints by vector similarity. The vector is defined as a direction vector which connects a keypoint extracted from a query image and a corresponding keypoint extracted from a reference image. Since the direction vector is created by a pair of local keypoints, the direction vector itself represents only a local feature. However, it has an advantage of expanding a local feature to a global feature by comparing the vector similarity among vectors in two imag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superior to the previous methods based on orientation codes.

Design of MUSIC Algorithm for DOA estimation (도래방향 추정을 위한 MUSIC 알고리즘의 설계)

  • Park, Byung-Woo;Jeong, Bong-Si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7 no.4
    • /
    • pp.189-194
    • /
    • 2006
  • In this paper, design of MUSIC algorithm, which is one of high resolution DOA (direction of arrival) estimation techniques was studied. Generally the complex-valued correlation matrix of MUSIC algorithm is transformed to unitary matrix or matrix expansion for the real hardware implementation. Using the orthogonality between the noise subspace eigenvectors and the steering vectors corresponding to signal component, we estimate DOA with the real-valued computation between steering vectors and noise subspace eigenvectors. The DOA algorithm was designed with VHDL models with considerations of 2 elements and 1 incident wave and its simulation results are derived.

  • PDF

Detection of Fall Direction using a Velocity Vector in the Android Smartphone Environment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환경에서 속도벡터를 이용한 넘어짐 방향 판단 기법)

  • Lee, Woosik;Song, Teuk Seob;Youn, Jong-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2
    • /
    • pp.336-342
    • /
    • 2015
  • Fall-related injuries are the most common cause of accidental death for the elderly and the most frequent work-related injuries in construction sites. Due to the growing popularity of smartphones, there has been a number of research work related to the use of sensors embedded in the smartphone for fall detection. Falls can be detected easily by measuring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acceleration vectors. In general, the direction of the acceleration vector does not show the object movement, but the velocity vector directly indicates the tangential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 is moving.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ew method for computing the fall direc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locity vector extracted from the accelerometer.

A Study on the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using Neural Networks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지문인식방법에 관한 연구)

  • Lee, Joo-Sang;Lee, Jae-Hyun;Kang, Sung-In;Kim, Il;Lee, Sang-B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1 no.1
    • /
    • pp.33-38
    • /
    • 2001
  • 본 논문에서 제안한 특징 벡터 추출방법의 기본 아이디어는 융선 패턴의 지역 방위에 따라 그레이-스케일 영상의 융선을 따라가면서 융선의 방향성을 추출하는 것이다. 융선을 따라가는 시작점은 그레이-스케일 영상을 일정한 격자로 나누어서 격자 안의 중심점으로 결정한다. 그 다음에 융선을 따라가면서 여러 방향의 방향성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방향성 특징 벡터를 4방향성 특징 벡터로 라벨링한다. 실험은 4개의 지문에서 구성한 124개의 특징 패턴을 가지고 하였으며, 하나의 지문은 31개의 특징패턴으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 학습된 지문을 인식하는 능력이 매우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 PDF

An Efficient Mot ion Vector Re-estimation Algorithm for Frame Rate Conversion in MPEG Video Transcoding (MPEG 비디오 트랜스코딩에서 프레임율 변환을 위한 효율적인 움직임 벡터 재추정 기법)

  • Choi Youngtai;Yang Siyoung;Jeong Je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4.11a
    • /
    • pp.233-236
    • /
    • 2004
  • 다양한 처리능력을 가진 단말기들은 복잡한 네트워크, 환경의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전송 네트워크 채널이 허용하는 범위내로 부호화 된 비디오의 비트 율을 적응적으로 맞춰 주어야 한다 트랜스코더는 특정 비트율로 부호화되어 있는 비디오를 원하는 비트율의 다시 변환하기 위해서 복호화 만 후 다시 부호와의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계산량의 증가와 더불어 전송시간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제안된 것이 프레임 건너뜀 기법 즉 시간적 해상도 변환 트랜스코딩이다. 비디오를 부호화하는 과정에서 계산량을 가장 많이 차지하는 움직임 추정과정의 계산량을 줄임으로써 트랜스코딩을 수행하는데 소모되는 시간과 노력을 크게 줄이고, 건너뛰지 않고 남아있는 프레임에 더 많은 비트를 할당하여 요구되는 화질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움직임 벡터의 방향성을 고려한 움직임 벡터 재추정 기법과 정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인 E-FDVS(Efficient-Forward Dominant Vector Selection)는 움직임 벡터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매크로블록과 움직임 벡터의 차이를 이용하여 움직임 벡터를 재추정한다. 그리고 제안한 기법인 DOS(Direction Oriented Search)를 사용하여 재추정 된 움직임 벡터의 방향으로 강한 움직임 벡터 정제를 함으로써 기존의 기법에 비해 우수한 화질을 제공한다.

  • PDF

A Single Field Deinterlacing Algorithm Using Edge Map in the Image Block (영상 블록에서의 에지 맵을 이용한 단일 필드 디인터레이싱 알고리듬)

  • Kang, Kun-Hwa;Jeon, Gwang-Gil;Jeong, Je-Cha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4 no.4C
    • /
    • pp.355-362
    • /
    • 2009
  • A new intra field deinterlacing algorithm with edge map in the image block is introduced. Conventional deinterlacing methods usually employ edge-based line average algorithm within pixel-by-pixel approach. However, it is sensitive to variation of intensity. To reduce this shortcoming, we proposed edge direction vector computed by edge map, and also its interpolation technique. We first introduce an edge direction vector, which is computed by Sobel mask, so that finer resolution of the edge direction can be acquired. The proposed edge direction vector oriented deinterlacer operates by identifying small pixel variations in five orientations, while weighted averaging to estimate missing pixel. According to the edge direction of the direction vector, we calculate weights on each edge direction. These weight values multiplied by the candidate deinterlaced pixels in order to successively build approximations of the deinterlaced sequence.

Motion vector recovery for H.263 video communication (H.263 비디오 통신을 위한 움직임 벡터 복원)

  • 김정현;박성찬;이귀상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841-844
    • /
    • 2000
  • 이동 통신 채널과 같이 에러 발생율이 높은 환경에서 부호화된 비디오 스트림을 전송시 발생된 에러는 비디오 화질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H.263의 복호화기에서 전송도중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 추가적인 데이터 스트림의 삽입 없이 효율적으로 에러를 은닉할 수 있는 기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인터프레임 영상에서 손상되거나 손실된 움직임벡터에 대해 시간영역에서 관계가 깊은 이전 프레임에서 손실블록과 같은 위치에 있는 블록의 움직임벡터와 현재 프레임에서 손실블록과 인접한 블록들의 움직임벡터 정보를 이용하여 이 블록들의 움직임 방향을 구하게된다. 이러한 블록의 움직임 방향을 이용하여 동일한 움직임 방향을 갖는 영역을 찾아 손실 블록이 어떤 움직임 영역에 속하는 지를 판단하여 손실된 움직임 벡터를 복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Sensless Vector Control of Field Oriented type for Induction Machine Using Flux Observer (2차 자속관측기 이용한 자계방향형 유도전동기 센스리스 벡터제어)

  • Hong, S.I.;Son, E.S.;Choi, J.Y.;Hong, J.P.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b
    • /
    • pp.1135-1137
    • /
    • 2001
  • 본 연구는 자계방향 기준 벡터제어 이론에 기초하여 속도 센스리스 벡터제어를 구현한다. 벡터제어는 상태량에 기초한 MRAS (MRAS: Model Reference Adaptive System)방법은 이득정수의 결정이 어려운 결점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관측기 이론에 기초하여 2차자속 관측기와 전류센스에서 검출한 전류값으로 속도추정을 행하는 새로운 속도 추정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한 방법이 자계 방향 벡터제어 시스템의 실현에 가능성이 있음을 시뮬레이션으로 검토한다.

  • PDF

Experiments of Illuminant Estimation in the Dichromatic Reflecton Model (Dichromatic 반사 모델에서의 조명성분 추출 실험)

  • 박명은;김성영;김민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218-223
    • /
    • 2000
  • 영상에서 색상은 조명과 물체의 반사 특성에 의해 걸정되므로고 정확한 조명성분 추출을 통해 물체 고유의 색상을 복원할 수 있다. 물체 색상과 하이라이트 색상의 분포와 이들간의 관계를 잘 반영하여 모델링한 Dichromatic 반사 모델에서는, 3차원 RGB 공간에서의 하이라이트(highlight) 영역에 의한 클러스터 분포형상으로부터 표면반사벡터를 구해 이것을 조명벡터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표면반사벡터의 방향은 물체색상의 영향을 받아 실제 조명벡터와 동일한 방향을 나타내지 못한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실제적으로 하이라이트영역에 대한 클러스터는 물체 색상으로부터 조명색상에 근접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조명벡터로는 글러스터의 최대값으로 향하는 것을 취하는 것이 보다 정확하다는 특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가지 실험을 통해 이러한 특성이 타당함을 제시하고, 그래픽반사모델을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색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 방법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