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전용량

Search Result 57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OC estimation method based on linear regression model of charged incremental capacity and discharge capacity for 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 저장 장치를 위한 충전 미소용량과 방전 용량의 회귀 모형을 적용한 SOC 추정 기법)

  • Lee, Pyeong-Yeon;Lee, Seong-Jun;Song, Hyeon-Cheol;Kim,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11a
    • /
    • pp.39-41
    • /
    • 2018
  •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배터리의 효율적인 운용과 정확한 SOC 모니터링을 위해 배터리 노화 시 충전 미소용량과 방전용량의 회귀 모형 기반 배터리 방전 용량의 갱신을 통해 SOC 추정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기적 노화 실험을 수행하였고, 충전 시 특정 전압 영역의 충전 미소 용량과 방전용량을 산출하여 미소용량과 방전용량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회귀모형을 모델링하였다. 모델링된 선형회귀모형을 적용하여 노화에 따른 SOC의 정확도를 향상시켰으며, 이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 PDF

비대칭 전극 구조를 갖는 용량성 결합 플라즈마에서의 방전 특성과 전력 소비 모드 전이에 관한 연구

  • Lee, Su-Jin;Lee, Hyo-Chang;Bang, Jin-Yeong;Jeong, J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222-222
    • /
    • 2011
  • 용량성 결합 플라즈마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널리 쓰이기 때문에 그 방전 특성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유사한 면적을 갖는 전극 구조에서 주로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전극의 면적 차이가 매우 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용량성 결합 플라즈마에서 방전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전력 소비 모드 전이와 플라즈마 밀도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인가 전력 또는 방전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서 플라즈마에 전달된 전력은 초기에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다가 점차적으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방전 저항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형태의 전이를 보였다. 전달 전력과 방전 저항의 변화는 용량성 결합 플라즈마에서 초기에는 대부분의 전력이 플라즈마 내의 전자에 의해 소비되다가 점차 쉬스 내의 이온의 가속 에너지로 소비되는 전력 소비 모드 전이에 의한 것이며, 이로 인해 플라즈마 밀도는 처음에는 큰 폭으로 증가하다가 그 증가 폭이 줄어들었다. 이러한 방전 특성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아르곤 압력 범위에서 인가 전력을 증가시킴에 따라서 실험하였으며, 스퍼터, 에칭 등 산업용 플라즈마 공정에서 최적의 방전 조건 형성을 위해 큰 도움이 되리라 예상된다.

  • PDF

SOH estimation method based on simple linear regression model for high power lithium ion battery (고출력 리튬이온 배터리에 적합한 단순선형회귀모형 기반 SOH 추정 기법)

  • Lee, Pyeong-Yeon;Park, Jin-Hyeong;Yoon, Chan-O;Kim,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07a
    • /
    • pp.246-24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배터리 수명의 지표인 SOH(state of health) 추정 시 배터리 노화에 따라 방전 용량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면 SOH도 변화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잘못된 SOH의 정보를 가지고 오게 되며 배터리의 안정성 및 신뢰성에 문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방전 용량과 내부 저항의 선형적 관계를 확인하고, 방전 용량과 내부저항을 고려한 단순선형회귀모형(simple linear regression model)을 모델링하였다. 방전 용량의 급격한 변화나 오프라인 기반 방전 용량을 측정함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단순선형회귀모형에 따라 방전 용량을 추정하여 SOH를 보정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 PDF

The Effect of Alloy Composition on the Microsturcture and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Zr-base Laves Phase Alloys(Zr-V-Mn-Ni) (Zr기 $AB_2$ Laves Phase 합금(Zr-V-Mn-Ni)의 조성에 따른 결정구조와 방전 특성)

  • Kim, In-Gon;Jeong, Won-Seop;Jang, Dae-Gyu;Seo, Chang-Yeol;Kim, Won-Baek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6 no.11
    • /
    • pp.1099-1106
    • /
    • 1996
  • 니켈-수소화물전지의 음극재료로서 주목을 받고 있는 다원계 Zr기 Laves 합금의 조성에 따른 결정구조, 방전특성등을 조사하였다. 전극은 아크 용해한 합금을 분쇄한 분말과 PVA를 다공성니켈 foam에 충진하여 제작하였고 충방전시험은 6M KOH 용액중에서 수행하였다. 대상 합금은 ZrNi2를 기본조성으로 하여 이중 Ni의 일부를 V, Mn, Cr, Mo 또는 W로 치환한 삼원계 및 사원계 합금이었다. 이들 합금의 충방전 실험결과 ZrV0.5Mn0.5Ni1.0의 경우가 260 mAh/g로 가장 높은 방전용량을 나타내었다. 이 합금의 방전용량은 방전전류밀도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10 mA/g과 200mA/g의 방전전류에서 각각 300mAh/g와 150mAh/g이었다. 이 합금을 110$0^{\circ}C$에서 열처리한 경우 저율방전시에는 방전용량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수소의 확산이 율속이 될 것으로 생각되는 고율 방잔시에서는 방전용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열처리에 의해 수소의확산을 용이하게 해주는 격자결함이 감소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 PDF

An Analysis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Amorphous Vanadium Oxide ($V_2$$O_5$) Cathode Film for Thin Film Batteries after Cycling by High-resolution Electron Microscopy (HREM) (고분해능 투과전자 현미경을 이용한 박막 전지용 비정질 산화 바나듐 양극 박막의 충-방전에 따른 구조변화 분석)

  • 김한기;성태연;전은정;옥영우;조원일;윤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8 no.3
    • /
    • pp.274-279
    • /
    • 2001
  • Pt/Ti/Si 기판 위에 성장시킨 박막 전지용 비정질 산화 바나듐 박막에 고상 전해질 박막 LiPON을 이용하여 전고상형 박막전지를 제작하여 충-방전 시험을 시행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전고상형 박막전지는 500 사이클 이상까지 평균 15$\mu$Ah의 방전용량을 나타내었으나 초기 사이클 영역부터 방전 용량의 감소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박막 전지의 방전 용량 감소에 따른 비정질 산화 바나듐 박막의 구조적 특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고분해능 현미경 분석을 시행하였다. 충-방전을 하지 않은 초기의 산화 바나듐 박막은 입계를 갖지 않고 다결정 특성을 보이지 않는 완전한 비정질 특성을 보였고 이는 TED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450번의 반복적인 충-방전을 시행한 후의 비정질 산화 바나듐 박막 내에는 microcrystalline 형태의 산화 바나듐의 형성됨을 고분해능 전자 현미경 분석을 통해 발견할 수 있었다. 비정질 산화바나듐 박막의 방전 용량 감소의 원인인 Li의 비가역적 탈-삽입은 비정질 내에 형성된 microcrystalline에 의해 유발된다고 사료된다. 또한 LiPON 전해질 박막과 산화 바나듐 박막사이의 계면에 Li 이온과 산화바나듐과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계면 층에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계면 층 역시 Li 확산과 계면 저항에 영향을 주어 방전 용량 감소에 원인으로 작용한다.

  • PDF

Characteristic of Mercury free Flat fluorescent Lamp as Driving frequency (주파수 변화에 따른 무수은 평판 형광 램프의 특성)

  • Lee, Myoung-Ho;Lim, Kee-Joe;Lim, Min-Su;Lee, Mun-J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c
    • /
    • pp.2075-2078
    • /
    • 2005
  • 본 논문은 무수은 평판 형광램프의 구동원리를 해석하기 위하여 주파수 변화에 따른 벽전하와 벽전압 특성이 방전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펄스폭 $9[{\mu}s]$, 300[ns]의 전압 상승 시간을 갖는 펄스파로 방전시켰다. 벽전하, 정전용량, 벽전압의 전기적 특성은 인가된 전압, 전류 파형으로부터 계산하였다. 이때 구동 주파수는 20[kHz]에서 40[kHz]까지 변화시키면서 방전 전후의 정전용량 및 Q-V특성 곡선을 해석하였다. 주파수가 증가하면서 전극간의 정전용량 $C_p$ 방전공간상의 정전용량 $C_o$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방전공간과 전극사이의 정전용량 $2C_g$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주파수가 증가하면서 방전개시 전압은 감소하였으며 효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Iron Electrode of Ni/Fe Battery(II) (니켈/철 축전지의 철전극에 관한 연구(II))

  • 김운석;박성용;조원일;조병원;윤경석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 no.3
    • /
    • pp.300-307
    • /
    • 1993
  • To develop high performance nickel-iron secondary battery, the characteristics of charge-discharge reaction of iron electrode were examined by cyclic voltammetry technique, SEM and XRD analysis. The capacity of the test electrodes was determined by the constant current charge-discharge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of electrolyte were the major determinant factors of electrode capacity, and especially the 1st discharge capacity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emperature. The effect of fore forming agent on the electrode capacity was negligible. The electrode capacity was above 350 ㎃h/g(36% utility) at 0.25C discharge rate. The stability of electrode was very good, but the activation occurred slowly.

  • PDF

피치계 카본 부극재료의 리튬이차전지 반응특성 연구

  • 박영태;김정식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119-122
    • /
    • 1999
  • 페트롤리엄 피치와 콜타르 피치를 열분해하여 제조한 카본을 리튬이차전지용 부극재료로 사용한 반쪽전지를 제작하여 전극의 충방전 용량 및 cycle 특성, 카본의 열처리 온도와 용량과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기 충방전 용량은 콜타르 피치 카본의 경우 현저한 증가를 보였으며 페트롤리엄 피치 카본에서는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다가 100$0^{\circ}C$ 이상의 온도부터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충방전 횟수가 증가할수록 충전용량은 감소하지만, 가역특성(reversibility)은 90% 이상으로 향상되었다.

  • PDF

Study on the Synthesis by Mechanical Grinding and Solid-State Reaction Method and the Electochemical Properties of $LiNiO^2$ (기계적 혼합과 고상법에 의한 $LiNiO^2$의 합성과 전기화학적 특성 연구)

  • 윤순도;이재천;박혜령;송명엽
    • 한국전기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6a
    • /
    • pp.281-286
    • /
    • 2004
  • [ $LiOH{\cdot}H^2O$ ]와 $Ni(OH)^2$를 기계적으로 혼합하여 고상법으로 $LiNiO^2$를 합성하고, $LiNiO^2$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기계적 혼합을 위해 SPEC mill을 사용하였으며, 1시간 동안 milling하여 공기 중 $450^{\circ}C$에서 5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 $750^{\circ}C$에서 30시간 동안 산소를 흘려주면서 하소한 시료가 가장 좋은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2.7\~4.15V$에서 0.1C로 충${\cdot}$방전시 초기방전용량은 그다지 높지 않았으나(145.8mAh/g) 좋은 싸이클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2.7\~4.2V$에서 0.1C로 충${\cdot}$방전시 높은 초기방전용량(164.7mAh/g)을 나타내었으나 싸비클 성능은 그리 좋지 않았는데, 이는 충${\cdot}$방전시 육방구조$(H^2)$에서 육방구조$(H^3)$로의 상전이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초기방전용량과 방전용량은 Cation mixing을 나타내는 $I^{003}/I^{104}$값보다 hexagonal ordering을 나타내는 R-factor에 더 의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C-PDP의 구동진동수에 따른 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조태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228-228
    • /
    • 1999
  • 3전극 면방전형 AC-PDP의 구동에 있어서 방전유지시 구동진동수에 따른 전기적인 특성의 변화, 즉 셀 내의정전용량, 벽전하량, 벽전압, 응답시간, 메모리 상수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셀핏치 1,080$mu extrm{m}$의 test panel을 제작하였다. 방전 유지전극의 폭과 간격은 각각 260$\mu\textrm{m}$, 100$\mu\textrm{m}$ 유전층은 30$\mu\textrm{m}$, 격벽은 120$\mu\textrm{m}$로 제작하였다. 방전유지전극에 150ns의 상승시간을 갖는 duty 40%의 사각파를 10~200kHz의 다양한 진동수로 인가하고, 이때 얻어지는 전압, 전류 파형과 QV 해석을 통하여 셀 내의 정전용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방전공간의 정전용량(Co)은 0.3pF/cell 으로 거의 일정하였으나, 유전층 내의 정전용량(Cg)는 진동수 증가에 따라 7.5pF/cell에서 0.8pF/cell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전극간 정전용량(Cp)은 벽전하의 영향으로 nagative capacitance 특성을 보였다. 구동진동수가 10kHz에서 200kHz로 증가함에 따라 벽전하량은 34.5pC/ceoo에서 15.6pC/cell로 감소하며, 벽전압도 구동진동수 증가에 따라 104.4V에서 76.5V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