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열율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7초

인공위성의 고효율 열제어 구현을 위한 액체금속형 가변 전도율 방열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riable Conductance Radiator using Liquid Metal for Highly Efficient Satellite Thermal Control)

  • 박귀중;고지성;오현웅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6-72
    • /
    • 2019
  • SAR(Synthetic Aperture Radar) 관측위성과 같이 고 발열 임무장비가 다수 적용되는 경우 전장품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우주공간으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의 적용이 요구된다. 그러나 위성의 식 구간에서 임무장비의 비작동 시, 방열판을 통해 지속적인 방열이 이루어짐에 따라 장비의 최소허용 온도유지를 위한 히터 적용이 불가피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방열판에 비해 보다 효율적인 열제어를 위하여 높은 전도율의 액체금속을 이용한 우주용 가변 전도율 방열판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열판은 탑재장비의 온도조건에 따라 두 개의 저장소 사이에서 기계식 펌프로 액체금속을 이동함으로서 열전도 특성을 가변하는 원리이다. 따라서 저온 조건에서는 방열판으로의 열전도를 차단하여 임무장비에 대한 히터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고, 반대로 고온 조건에서는 기존 방열판과 같이 효과적인 방열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한 가변 전도율 방열판의 실현 가능성 입증을 위한 열해석을 실시하여 기존의 전도율이 고정된 방열판과 열적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방열에 사용되는 압입형 및 압출형 히트싱크의 방열 성능 평가 (Perfonnance Evaluation of Swaged- and Extruded-type Heat Sinks Used in Inverter for Solar Power Generation)

  • 김정현;이교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7권10호
    • /
    • pp.933-940
    • /
    • 2013
  • 본 실험에서는 실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의 냉각에 사용할 2개의 압출형과 2개의 압입형 히트싱크의 방열 성능을 평가하였다. 두 압입형 히트싱크의 핀의 개수는 62개와 98개, 전열면적은 $2.8m^2$, $5.3m^2$이고, 두 압출형 히트싱크의 핀의 개수는 38개와 47개, 전열면적은 $1.8m^2$, $1.9m^2$이다. 압입형 히트싱크의 방열율은 각각 82.7 %, 86.3 %, 압출형 히트싱크의 방열율은 각각 79.6 %, 81.6 %로 측정되었다. 각 히트싱크의 방열성능 평가결과에서 히트싱크의 전열면적이 증가할수록 방열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압입형인 S-62 히트싱크는 압출형인 E-47 히트싱크 보다 전열면적이 47.4 %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방열량은 1.3%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는 압출형의 우수한 전열성능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압입형인 S-98 히트싱크는 동일한 압입형인 S-62 히트싱크에 비해 전열면적이 89.3 % 증대되었음에도 방열량 증가는 4.4 %에 불과하여 전열면적에 대한 최적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家庭용 油類 보일러의 熱性能 向上에 관한 基礎設計 硏究 (A basic study for thermal performance improvement of domestic oil boiler)

  • 정진도;이은모;류정인
    • 에너지공학
    • /
    • 제4권1호
    • /
    • pp.31-41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일반 가정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15,000 Kcal/hr용량의 유류 보일러에 대한 제반 실험을 통하여 보일러 운전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방열코일의 열교환 실험을 통하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방열코일의 방열량 비교와 공기와 냉각수와의 열관류율을 비교함으로서 보일러 시공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었다. 연소에 필요한 급기량은 매연농도가 문제시 되지 않는 Smoke Scale No.가 1 이하인 공기비 1.45 이상으로 운전이 되어야 하며 송수온도는 t2=-0.0781XGw+85($^{\circ}C$)의 실험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공기중에서 코일의 방열량은 X-L관이 외경의 차이로 인해 동관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이중관형(二重管形) 잠열축열장치(潜熱蓄熱裝置)의 전열특성(傳熱特性)에 대(對)한 실험적(實驗的) 분석(分析) (Experimental Analysis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Double Pipe Heat Exchanger for Latent Heat Storage)

  • 김영복;송현갑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4권1호
    • /
    • pp.24-32
    • /
    • 1989
  • 고밀도(高密度)의 열(熱)에너지를 저장(貯藏)하기 위(爲)한 잠열축열장치를 설계(設計), 제작(製作), 작동(作動)하는 경우 잠열축열장치의 사용목적(使用目的)에 적합(適合)한 최적설계(最適設計)와 그 효율적(效率的)인 이용(利用)을 위(爲)해서는 그 부열특성(傅熱特性)이 규명(糾明)되어야 한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실용화(實用化)에 필요(必要)한 이중관형(二重管形) 잠열축열장치의 방열과정(放熱過程)에서의 부열특성(傅熱特性)을 이차원적(二次元的)으로 실험(實驗) 분석(分析)하였으며, 시간변화(時間變化)에 따른 잠열재의 온도변화(溫度變化)와 응고율(凝固率)이 실험분석치(實驗分析値)와 이론분석치(理論分析値)에 있어서 잘 일치하였다. 한편 응고율(凝固率), 방열율(放熱率), 물의 온도변화(溫度變化)에 대(對)한 분석(分析)을 하였다.

  • PDF

히트싱크 베이스의 두께 변화가 방열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variation of base thickness on the heat release performance of the heat sink)

  • 김정현;이교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749-4755
    • /
    • 2014
  • 본 연구는 고용량 인버터 등의 열 발생 환경에서 히트싱크의 방열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파라미터 연구의 일환으로 히트싱크 베이스 두께 변화에 대한 방열성능 변화를 조사하였다. 베이스 두께가 각각 5, 9.5 및 14 mm인 히트싱크의 방열성능을 히트싱크 베이스의 윗면 중앙 온도, 히트싱크를 통한 방열량 및 열원부의 온도 등의 세 가지 지표의 비교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실험연구와 전산유체역학 프로그램을 이용한 해석연구를 병행하여 베이스 두께 변화에 따른 각 방열 성능 지표에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베이스의 윗면 중앙 온도와 방열율은 베이스의 두께가 얇을수록 향상되는 효과를 보였고, 베이스 열원부의 온도는 베이스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성능 지표의 비교 고찰을 통해 연구에 사용된 세 히트싱크 내에서는 베이스의 두께가 9.5 mm인 히트싱크에서 최적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제한적이지만 본 연구결과 내에서는 9.5 mm 두께의 베이스를 가지는 히트싱크가 최적의 방열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링 유닛 장착효과를 고려한 MR16 LED 조명등 방열설계 (Thermal Design of a MR16 LED Light with the Effects of Ceiling Unit Mount)

  • 황순호;이영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141-3147
    • /
    • 2010
  • LED 조명등의 효율 및 수명을 단축시키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정션온도 상승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효율 방열 패키징, 고전도율 소재 개발, 접촉저항 개선 및 히트싱크 최적화 등과 같이 다양한 방열성능 향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연구는 LED 조명등이 단지 대기 중에 노출되었다고 가정하였기 때문에 실제 실링 유닛과 함께 천장에 장착되었을 때의 방열성능은 아직 보고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R16 LED 조명등을 이용하여 실제 설치조건에 따른 정션온도 변화를 규명하고 이를 통한 더욱 정확한 LED 조명등 수명 및 효율 예측을 이루고자 하였다.

양파의 저장 온도 및 습도에 따른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Based on Storage Temperature and Humidify of Onion)

  • 권중호;이기동;변명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43-147
    • /
    • 1999
  • 양파의 저장조건을 저온(2-4$^{\circ}C$, 80% RH), 움식(3-15$^{\circ}C$, 75-85% RH), 실온방열(10-23$^{\circ}C$, 75-98% RH) 및 상온(2-$25^{\circ}C$, 62-72% RH)으로 구분하여 저장 중 물리적 및 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 중 양파의 발아율은 저온 저장된 양파를 제외하고는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저온 저장된 양파에서는 저장 11개월까지 거의 발아되지 않았다. 양파의 부패율은 실온방열 저장된 양파를 제외하고는 7개월까지 낮았으나 7개월 이후에는 모두 급격히 부패되었다. 중량감소는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계속되었으며, 저온 저장된 양파에서 가장 적게 일어났다 수분함량은 저온 및 움식 저장된 양파에서 증가하였으나 실온방열 및 상온에서 저장된 양파에서는 감소하였다. 전당과 환원당의 함량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Vitamin C는 저장 중 큰 변화가 없었으나 저온 저장된 양파의 경우에는 다소 증가하였다.

  • PDF

광학탑재체 냉각유닛 열완충질량의 효과 분석

  • 장수영;이덕규;이응식;연정흠;이승훈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9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8권2호
    • /
    • pp.50.2-50.2
    • /
    • 2009
  • 지구관측위성의 광학탑재체 내부에 장착된 초점면결상장치(FPA, Focal Plane Assembly)는 영상촬영시 많은 열을 발생하며, 최상성능획득을 위해서는 온도가 좁은 온도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초점면결상장치가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열을 발생할 때, 이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해 보통 히트파이프와 복사방열판을 이용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초점면결상장치의 최대상승온도를 낮추고, 영상촬영대기시 최적온도유지를 위한 히터작동율을 낮추기 위해 초점면결상장치와 복사방열판 사이에 열완충질량(TBM, Thermal Buffer Mass)을 적용하였는데,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열설계 개선효과에 대해서 기술한다.

  • PDF

단기통 디젤엔진에서 함정용 디젤유의 전·후 분사시기가 연소 및 배출가스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post injection timing of diesel fuel for naval vessel on the combustion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in an optically-accessible single cylinder diesel engine)

  • 이형민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7호
    • /
    • pp.868-87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함정에 탑재된 추진용 엔진에 사용되는 디젤연료(MDO)의 분사상태를 가시화가 가능한 단기통 디젤엔진에 적용시켜 전 후 분사시기에 따른 연소특성, 일산화탄소(CO) 및 탄화수소(HC) 배출특성을 규명하고, 연소과정의 가시화를 통하여 연소특성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전 분사시기가 주 분사시기 쪽으로 지연될수록 실린더 내부 평균유효압력($P_{me}$) 및 최고압력($P_m$)은 상승했으나, 주 분사의 방열율은 저감되고,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의 발생량 또한 감소하였다. 후 분사시기가 빨라질 경우 주 분사에 의해 형성된 고온, 고압 하에서 연소가 이루어짐에 따라 실린더 내부 평균유효압력 및 최고압력은 증가하였고,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 배출수준 또한 증가하였다. 연소과정을 분석한 결과, 전 분사시기가 늦어질수록 주 분사 시 발생되는 착화지연은 매우 짧아지며, 화염강도는 매우 상승하였다. 분사시기에 관계없이 후 분사 시 착화지연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후 분사시기가 늦어질수록 화염의 강도는 점점 떨어졌다.

Fe/Ni 합금전착에 의한 다공성 그물군조 방열재료의 제조 연구 (Fabrication of Porous Reticular Metal by Electrodeposition of Fe/Ni Alloy for Heat Dissipation Materials)

  • 이화영;이관희;정원용
    • 전기화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25-130
    • /
    • 2002
  • 다공성 그물구조 금속을 반도체 칩 방열재료로써 활용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다공성 그물구조 구리와 반도체 칩 사이의 열팽창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시도로써 다공성 구리에 대한 Fe/Ni 합금전착을 수행하였다. Fe/Ni 합금전착 실험으로 표준 Hull Cell을 구성하고 전류밀도 분포에 따른 Fe/Ni 합금층 내의 조성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실험결과 합금전착시 이상공석현상으로 인하여 전해액의 교반정도에 따라 합금층 조성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는 paddle type 교반기를 사용하여 전해질의 확산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원하는 조성의 Fe/Ni 합금층을 얻을 수 있었으며, 얻어진 Fe/Ni 후막을 대상으로 TMA 열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리에 비해 훨씬 낮은 열팽창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실험에서 Fe/Ni 합금전착을 통하여 제작한 다공성 그물구조 금속을 대상으로 방열성능을 측정한 결과 구리 평판 대비 최대 2배 이상의 방열성능을 보여 반도체 칩 방열재료로의 활용 가능성을 높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