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연구획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7초

건축물의 연기확산 방지 및 제어를 위한 방연구획의 법제화 제안 (Proposal of Legislation of Smoke Compartment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Smoke Diffusion in Buildings)

  • 권영진;진승현;김혜원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96-97
    • /
    • 2019
  • According to building law, there are only regulations on the fire prevention compartments tha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partial smoke compartment, but the building law management of the smoke compartment for effective smoke diffusion prevention and control is not possible. The lack of control on the smoke compartment such as leakage rate on the penetrating part, and the lack of leakage rate in the design of smoke control of fire safety law resulted in the absence of fundamental safety technology.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find solutions to domestic problems after reviewing relevant domestic laws and regulations.

  • PDF

대형공간의 연기확산 방지를 위한 국내·외 방연구획 기준 분석에 관한 연구 -고양시 터미널 화재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moke Compartment Standards Analysis of Domestic and Abroad for Prevention of Smoke Spread in Large-Scale Buildings -Focused on the Analysis of Goyang Bus Terminal Fire Incident-)

  • 김혜원;한지우;이병흔;진승현;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18-119
    • /
    • 2018
  • In this study, it analyses the problems of the Fire Compartment in Goyang Bus Terminal. Based on analysed data, it is confirmed the necessity of the Smoke Compartment installation for Protecting the Smoke Spread in Large-Scale Buildings using of FDS(Fire Dynamics Simulation). In addition it suggest that the necessity of Smoke Compartment application method and Development of Design Guideline.

  • PDF

건물화재에서의 가압방연 설계에 관한 연구 (On the Pressurization for Smoke Control in Building Fires)

  • 김명배
    • 연구논문집
    • /
    • 통권29호
    • /
    • pp.39-48
    • /
    • 1999
  • 건물화재시의 피난자의 인명안전 확보를 위한 가압방연 설계프로그램에 필요한 건물요소의 모델링 방법, 계산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건물의 각 층에 급기용 송풍기를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층에 따른 압력차 분포는 필연적이다. 전층가압방연 방식에서 급기덕트나 각종 유로면적이 동일하다면 송풍기에서 가까운 구획은 압력이 커지며 먼 구획은 압력이 감소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건물 전체가 규정범위내의 압력차로 유지되어야하기 때문에 송풍기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구획의 압력차를 기준으로 설계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과도한 송풍기의 용량으로 인한 문제에 더하여 송풍기로부터 가까운 구획에는 과압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얻어진 프로그램과 같은 설계구도를 활용하면 각 층의 공기 공급 덕트의 단면적을 달리한 경우를 계산할 수 있다. 예제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층 공기공급 덕트의 단면적을 달리하므로 써 송풍기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된다.

  • PDF

화재시 연기확대 방지를 위한 건축물 구획공간에서의 방연성능 확보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Protection of Smoke Control Performance in Building Enclosure to Prevent the Expansion of Smoke in Fire)

  • 진승현;김혜원;이병흔;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91-92
    • /
    • 2019
  • In case of fire in a compartmentalized building area, a number of casualties are caused by smoke production. Accordingly, openings, penetrations and joints in compartmentalized spaces should be secured not only for fire resistance but also for smoke-proofing. However, domestic test regulations stipulate test methods for refractory performance of penetrations and joints, but do not specify separate deferral performance. In the case of openings, the test for the smoke performance exists at room temperature, but the smoke performance at high temperature is not secured, so countermeasures are needed.

  • PDF

특별피난계단 부속실 제연설비의 방연풍속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Measurement Method of Air Egress Velocity in Vestibule of Smoke Control System)

  • 이수경;홍대화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85-90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 고층건물 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에 설치되는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에서 화재 발생 시 피난을 위하여 출입문이 개방되었을 경우 형성되는 방연풍속의 특성을 FDS를 이용하여 해석하였고, 해석 결과를 분산분석으로 기류의 특성에 따른 측정 방안을 분석하고자 한다. 부속실과 같은 구획공간의 설계 조건에서 급기댐퍼에서 토출되는 보충량은 심한 와류를 형성하고 형성된 와류의 범위 안에 출입문이 존재할 경우 비정상적인 기체의 유동이 출입문지점에 발생한다는 것을 선행연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국가화재안전기준 NFSC 501A에서 방연풍속을 측정할 때에는 출입문의 개방에 따른 개구부를 대칭적으로 균등 분할하는 10 이상의 지점에서 측정하는 풍속의 평균치로 할 것으로 정하고 있으나 이러한 조건에서는 출입구 상부 지점에 기류의 유입 현상을 파악하기 어렵고 풍속의 편차가 심하기 때문에 측정점을 공기조화설비의 시험조정 평가 기술기준에서 제시하는 64점 이상으로 세분화하여 측정하여야 할 것이다.

제연구역의 주요 매개 변수 및 누설 면적 변화를 고려한 차압 형성 관계 분석 (An Analysis on the Major Parameter and the Relations of Pressure Difference Effect of Leakage Area in the Smoke-Control Zone)

  • 유우준;고권현;사공성호;남준석;유홍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20-25
    • /
    • 2013
  • 본 연구에서 부속실 단독 가압 구조인 급기가압 제연설비의 성능 확보에 영향을 주는 주요 매개 변수를 분석하고 공급유량과 누설면적 변화에 따라서 풍도와 부속실 차압 형성 관계를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3층 규모의 총 10개의 구획공간으로 구성된 모형 구조물과 방화문의 개폐력 측정장치를 제작하였으며, 각 구획공간과 외기의 차압, 방연풍속을 측정하기 위한 제어 계측 장비를 구성하였다. 그 결과 댐퍼의 차압조절 범위가 45 Pa~55 Pa인 경우 공급유량과 부속실 차압 크기에 따라서 45 Pa 이하인 저압 영역, 45 Pa~55 Pa 구간인 차압조절 영역 그리고 55 Pa 이상인 과압 영역을 구분하였으며, 저압 영역에서는 부속실, 차압조절 영역에서는 부속실과 댐퍼 그리고 과압 영역 에서는 댐퍼의 누설면적이 차압 형성에 중요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승강로 가압 제연설비의 설계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Improvement for Smoke-Control System Using the Pressurization of the Elevator Shaft)

  • 김일영;김경진;홍지환;권창희;유철권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3호
    • /
    • pp.74-83
    • /
    • 2019
  • 승강로 가압방식은 미국에서 1972년에 시작된 방식으로 화재 시 피난 계단을 이용하기 곤란한 노약자등 피난 약자가 승강기를 이용하여 피난할 수 있도록 개발한 방식이며 수직덕트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공간 절약적인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본 연구는 기존 국내 특허에 근거한 승강로 가압방식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개선사항을 제안하였다. 풍량 계산 방법은 수직모델링을 제안하였다.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누설틈새는 실험데이터나 실측데이터를 통하여 재검토가 필요하다. 피난층을 구획하고 엘리베이터 기계실의 개구부를 화재신호에 자동폐쇄하고 릴리프 댐퍼를 설치하여 성능을 개선하였다. 개선된 방식은 자동차압댐퍼가 차압유지보다는 방연풍속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Contam을 이용하여 검증하는 절차를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