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화재에서의 가압방연 설계에 관한 연구

On the Pressurization for Smoke Control in Building Fires

  • 김명배 (한국기계연구원 환경설비연구부)
  • 발행 : 1999.12.20

초록

건물화재시의 피난자의 인명안전 확보를 위한 가압방연 설계프로그램에 필요한 건물요소의 모델링 방법, 계산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건물의 각 층에 급기용 송풍기를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층에 따른 압력차 분포는 필연적이다. 전층가압방연 방식에서 급기덕트나 각종 유로면적이 동일하다면 송풍기에서 가까운 구획은 압력이 커지며 먼 구획은 압력이 감소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건물 전체가 규정범위내의 압력차로 유지되어야하기 때문에 송풍기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구획의 압력차를 기준으로 설계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과도한 송풍기의 용량으로 인한 문제에 더하여 송풍기로부터 가까운 구획에는 과압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얻어진 프로그램과 같은 설계구도를 활용하면 각 층의 공기 공급 덕트의 단면적을 달리한 경우를 계산할 수 있다. 예제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층 공기공급 덕트의 단면적을 달리하므로 써 송풍기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lobby pressurization for smoke control in building fires. A computer program and related modeling technique are presented.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a lobby and a fire area is not able to be same among building floors because an injection fan can not be installed in each floor. The most remote area from the injection fan has therefore the smallest pressure difference if flow areas are not different through all floors. An adjacent floor from the injection fan has possibly too large pressure difference because the most remote lobby must also meet the required pressure difference over the fire area. Moreover this problem will lead to a larger capacity of the fan. It is showed that the fan capacity can be decreased by adjusting the flow area of air supply duct in each floo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