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어 능력 비교

Search Result 6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Repair and Reinforcement for Flood Prevention Ability of Fill Dams (필댐의 홍수방어능력평가에 따른 보수.보강 방안 검토)

  • Park, Dae-Kyu;Kwon, Ji-Hye;Kwon, Hyeok-Ki;Bae, Tae-Ho;Ryu, Geu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197-2201
    • /
    • 2008
  • 우리나라의 수문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유로가 짧고 경사가 급하며, 하계에 연강우량의 2/3 이상이 집중하기 때문에 치수적으로 매우 불리한 조건에 처해 있다. 수문학적으로 연최대 유량 대 연최소 유량의 비인 하상계수(河狀係數)를 외국하천의 경우와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 하천의 경우가 수십 배에 달해 매년 홍수피해에 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필댐의 경우 월류에 매우 불안정하므로 홍수방어능력의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홍수방어능력이 부족한 필댐을 통하여 그 원인과 보수 보강 대책에 대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Applicability of Fusegate as a Flood Control Gate of Dam and Levee (댐 및 제방의 홍수배제 수문으로서의 Fusegate의 적용성 검토)

  • Kang, Kyong-Chul;Jun, In-Ok;Seo, Il-Won;Park,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736-74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Fusegate의 방류량 증대효과, Fusegate의 역학적 거동 확인 및 천변저류지의 활용성을 목적으로 수리실험과 수치실험을 병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Fusegate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Fusegate를 설계 및 제작하여 역학적 거동을 확인 및 이해 할 수 있었으며 방류량 증대효과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반하천과 Fusegate가 설치된 천변저류지가 있는 하천의 극한 홍수 시 비교를 통해 천변저류지가 설치된 하천의 홍수방어능력이 증대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Fusegate 및 천변저류지의 활용 필요성을 입증할 수 있었으며, Fusegate의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미래 디지털 환경에서의 병사체계(2)

  • Kim, In-U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8 s.270
    • /
    • pp.56-67
    • /
    • 2001
  • 일반적으로 보병병사의 취약점은 첫째 위치가 탐지 당하면 방어수단의 미비로 지원화력에 의해 즉각 피해를 당할 수 있고, 둘째 보병의 무기는 전정에서 다른 무기와 비교하여 위력이 약하고 명중률이 낮으며 시계의 한계를 벗어나기 곤란하며 전투 중 병사는 동료와 지휘관으로부터 고립되기 쉽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혁신적으로 발전하는 과학기술의 적용으로 다양한 파장영역의 센서, 고속 컴퓨터, 자동화 병기, 그리고 최첨단 기재에 의해 초능력 병사가 출현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 PDF

Hydraulic Modeling for the Establishment of Flood Prevention Plan in Tamjin River Estuary (탐진강 하구부의 홍수방어계획 수립을 위한 수리모델링)

  • Jun, Kye Won;Beack, Nam Dae;Kim, Min Ho;Kim, Young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99-599
    • /
    • 2015
  •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로 자연재해의 형태는 점차 대형화, 다양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기후변화에 의한 강도 높은 국지성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주고 있으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홍수량 산정과 홍수방지 시설물들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탐진강 하구부의 홍수방어계획 수립을 위해 가상의 분수로 설치 유무에 따른 수리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HEC-RAS모형과 RMA-2모형을 적용하여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먼저 1차원 수리모형인 HEC-RAS모형을 이용하여 탐진강 본류의 홍수위 저하 효과를 검토한 결과 현 상태와 비교했을 때 분수로 설치 시 홍수위가 최대 0.35m저하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차원 수리모형인 RMA-2모형을 적용하기 위해 유한요소망을 구축하고 탐진강 본류 및 분수로의 흐름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수로 분류 후 탐진강 본류의 유속 및 수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수로의 유속은 대체적으로 3.0m/s이하로 분석되었다. 분수로 설치 시 탐진강 본류의 홍수량이 일부 감소하나 유사이송능력도 함께 감소하여, 탐진강 하구부 하상퇴적이 예상됨으로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합리적인 홍수방어계획을 제시할 예정이다.

  • PDF

DoS Preventable Internet Key Exchage Protocol (DoS 공격을 방어하는 인터넷 키 교환 프로토콜)

  • 최명식;곽동진;이훈재;문상재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454-458
    • /
    • 2002
  • 인터넷 환경에서 DoS 공격을 이용한 해킹이나 주요 네트워크 기반 시설에 대한 파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공격범위가 점점 넓어지고 있다. 그 중 IETF IPsec WG에서 제안된 인터넷 키 교환 프로토콜(IKE)은 전자서명이나 DH 키 교환과 같은 공개키 기반의 연산을 수행하므로 쉽게 이러한 DoS 공격의 목표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메모리나 CPU의 자원을 고갈시키는 DoS 공격을 방어할 수 있는 타원곡선 기반의 인터넷 키 교환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이를 현재 IKE의 후보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제안된 타원곡선 기반의 인터넷 키 교환 프로토콜은 IKE 응답자의 부하를 기존의 IKE들 보다 감소시켰다. 이는 사용자가 많은 웹 서버나 메모리 혹은 연산능력의 제한을 가진 무선 장치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 PDF

The System Position from High Firing Rate of Anti-Aircraft Gun system (고발사율 대공포 발사에 따른 체계자세 연구)

  • Hwang, Boo Il;Lee, Boo Hwan;Kim, Chi Hwa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9 no.6
    • /
    • pp.611-615
    • /
    • 2015
  • Anti-aircraft gun system is used for low-level air defense system and has more than twin guns with high firing rate in order to maximize the capability of defense. Gun's vibration and bullet's variance has a critical effect on accuracy and hit probability of weapon system such as anti-aircraft gun system with high firing rate. Typical mechanism to reduce the amount of vibration and shock during gun-fire process is very important design factor. In this paper, the suspension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are studied for the improvement of isolating performance of gun firing system with high firing rate. Gun fire test for the vehicle is conducted and computational models using Recurdyn and Adams are created based on test results. Through this study, results of computational analysis are compared with the real test results, which includes type, location and quantity of suspension and gun mechanism are selected for anti-aircraft gun.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make basic design and consider the proper component of the system such as suspension and gun spring.

A Study on Comparative Analysis of Urban Flood Reduction Measures in Major cities of Northeast Asia (동북아시아 주요도시 홍수 저감대책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Kang, Ho Yeong;Xu, Geng Xin;Park, Kyung Mi;Moon,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05-605
    • /
    • 2015
  •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기상이변이 발생하여 강우량과 집중호우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동북아시아 지역은 인구밀도가 높아 강우량 및 집중호우 발생빈도 증가에 따른 도시홍수 발생확률이 높으며 홍수피해가 가중될 수 있다. 또한 도심지에 위치한 하천의 외수위 상승 및 배수시설 설계빈도 이상의 강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하여, 기존 홍수방어대책으로는 제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11~2020), 2011,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기상청의 한반도 장기 미래 전망을 21세기말(2071년~2100년)에 대해 한국 평년 기온은 $4^{\circ}C$정도 상승하고, 강우량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도심지에 위치한 하천의 외수위 상승 및 배수실 설계빈도 이상의 강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기존 홍수방어대책으로는 제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지역인 서울, 북경, 도쿄 지역의 과거 도시홍수 사례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집중호우 빈발, 기존 방재시설물의 기후변화 대응능력 부족, 저지대지역 지형적 영향, 무분별한 도시개발로 인한 도시지역 불투수면적의 증가, 고령화와 재해취약계층 등 여러 가지 도시홍수 재해 영향인자들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도시홍수 발생의 근본 원인 파악 및 홍수관리 효과를 최대화 시킬 수 있는 대책 설립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시아 지역 도시홍수로 인한 인명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 한국, 중국, 일본 삼국의 주요 도시별 홍수에 대한 구조적 비구조적 방어대책을 종합하고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향후, 국내외 도시홍수 저감대책 수립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OK Navy's Response to China's Naval Modernization: Based on Command, Control, Capability, and Capacity Analysis Framework (중국 해군 현대화에 대한 한국 해군의 대응 방안 : 지휘, 통제, 능력, 수량 분석을 중심으로)

  • Oh, Dongkeon
    • Strategy21
    • /
    • s.45
    • /
    • pp.188-211
    • /
    • 2019
  • 중국 해군의 성장은 동아시아의 안보환경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한국 해군 또한 그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는 실정이다. 대한민국은 중국과 지리적으로 맞닿아 있으며, 현재 불법 중국어선 및 이어도 문제 등 중국과의 수많은 해양갈등을 겪고 있는 상황으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위해서 한국 해군은 중국 해군의 현대화에 대한 대응을 준비해야만 한다. 본고는 중국과 한국의 해군력을 로버트 토마스 전 미 해군 중장이 제시한 지휘, 통제, 능력, 수량의 네 가지 측면에서 분석 및 비교하였다. 중국 해군은 적의 접근을 원해에서부터 차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지휘), 그에 걸맞게 C4I 능력을 확충해나가고 있으며(통제), 전력투사. 수중/수상전, 해상재보급 역량을 늘려가고(능력), 최근 4년간 세계 대다수 해군의 총 톤수를 능가하는 수준의 함정건조 추세를 보이고 있다(수량). 한국 해군은 90년대 이후 "대양해군"을 목표로 해왔으며(지휘) 아덴만까지 실시간으로 통제 가능한 뛰어난 C4I 능력을 갖추었으나(통제), 아직 대양해군에 걸맞는 능력 및 전력을 구비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한국 해군이 상기 네 가지 측면에서 중국 해군을 따라잡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중국은 GDP의 2% 이내에서 국방비를 책정함에도 매년 GDP의 2.7%를 국방비에 투자하는 한국 국방비의 6배를 상회하며, 이 격차는 계속 커져가는 추세이다. 따라서, 대한민국 해군은 첫째, 잠수함 등 비대칭 전력 확보에 주력하고 방공/대잠능력 등 방어력을 향상시켜야 하며, 둘째, 관련국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동아시아 및 서태평양 지역에서의 해양안보 안정화를 위해 노력해야한다. ADMM+3 등 다자 안보의 틀 안에서 역내 해양의 안정을 꾀할 수 있도록 한국 해군은 정책적 노력을 경주해야할 것이다.

Analysis of Flood-Control Effects in Hancheon Reservoir using Nays2d Flood (Nays2d Flood 모형을 활용한 한천 저류지의 홍수조절효과 분석)

  • Son, Geunsoo;Kim, Dongsu;Kim, Seo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22-222
    • /
    • 2018
  •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집중호우의 증가로 인해 하천의 홍수방어능력을 초과하는 침수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제주도는 태풍의 길목에 위치하고 있는 강우량이 약 2,061mm에 달하는 우리나라 최다우 지역으로 평시에는 건천인 상태의 하천이 집중호우 시 급격한 유출 발생으로 하류도심지역에 하천 범람으로 인한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제주도에서는 이를 방어하기 위해 하도 내 첨두 홍수량을 조절하여 하류지역의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구조물인 저류지를 상류에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저류지의 건설을 통한 실제 홍수조절효과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태풍 '나리' 때 가장 큰 피해가 발생한 한천의 한천1, 2 저류지를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2차원 수치모형인 Nays2d Flood 모형을 활용한 한천 저류지의 운영에 따른 홍수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지형자료는 드론을 활용하여 측정된 약 7cm 간격의 정밀한 하상 측량자료를 사용하였고, 태풍 '차바' 발생 시 계측된 저류지내의 수심 측정 센서 자료를 활용하여 모형의 검보정을 수행하였다. 보정된 모의결과를 활용하여 태풍 '차바' 때의 저류지가 활용되는 모습을 재현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서 현재 설치된 저류지의 구조적인 문제점과 운영방법에 따른 홍수조절효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저류지 설계 시 사용된 100년 빈도의 설계 홍수량을 바탕으로 모의를 수행하여, 기존에 제시된 한천저류지의 홍수 저감량과의 비교를 통해서 실제 저류지의 운영에 따른 홍수조절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 PDF

Characterization of Non-structural Flood Mitigation Measures (비구조적 홍수저감대책 고찰)

  • Song, Jae-Ha;Jang, Ho-Yoon;Choi, Hyun-Il;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29-429
    • /
    • 2011
  • 우리나라는 연중 강우량의 계절적 편중이 심하여 약 2/3이 6월-9월에 집중하는 기상학적 요인과, 국토의 약 70%가 산악지역으로 되어있는 지형학적 요인 등 홍수에 취약한 자연특성을 갖고 있으며, 특히 하천, 도시 저지대, 해안 및 산지에서는 홍수범람, 내부배제 불량, 해일, 산사태 등으로 매년 많은 인명피해와 재산상의 손실이 크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최근 발생하고 있는 이상기후 현상과 각종 개발사업으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 등으로 인해서 극한 홍수의 발생빈도가 높아가고 있으나, 기존 수방시설물의 홍수배제능력 부족 등으로 매년 많은 피해를 입고 있는 실정으로, 구조적인 대책만으로는 재해피해를 경감시키는데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여 구조적 대책과 더불어 토지이용규제 및 개발규제, 홍수터관리, 홍수예경보 등 비구조적 재해대 비능력 향상이 시급한 현황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구조적 수방기술의 발전은 비교적 높은 수준에 도달해 있지만, 구조적 대책에 비해 비구조적 대책의 개발 및 적용은 미흡한 형편이므로, 비구조적 홍수대책의 종합적 정비 및 효율적 운영방법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유형별 발생원인별 대표적인 비구조적 홍수대책을 국내외 적용사례를 조사하여 분석하고, 비구조적인 홍수방어대책들에 대한 장단점 및 적용성 등의 정성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국내 여건에 적합한 홍수위험구역 설정방안을 제시하고자, 국내의 다양한 하천공간 확보를 위한 관련규정인 하천구역, 홍수관리구역, 수변구역, 상수원보호구역, 친수구역, 홍수위험구역, 자연재해위험지구, 방재지구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국외 사례로 영국의 홍수위험구역 평가제도, 미국의 홍수터 관리 프로그램, 호주의 하천공간 분류 기준, 일본의 하천공간 설정 기준 등에 대한 고찰을 수행하였다. 또한 국내 홍수보험 제도의 문제점 분석 및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 현재 소방방재청 주관으로 시행되고 있는 풍수해보험제도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미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국가홍수보험프로그램, 프랑스의 자연재해보험, 스위스의 자연재해보험풀 제도, 일본의 홍수보험제도에 대하여 심층적인 고찰을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