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수설계

Search Result 12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C.L-layer on the Railroad Bridge used to Latex Modified Concrete (Latex Modified Concrete를 이용한 철도교량의 PCL층 적용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ee, Sun-Gyu;Choi, Sung-Min;Sung, Sang-Kyung;Park, Sung-Ki;Oh,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8.11a
    • /
    • pp.757-760
    • /
    • 2008
  • The latex modified concrete was applied to baseplate of road bridge after 2000 year. This is in the limelight of stability to be missing problems. But, The baseplate of railroad bridge being experience to difficulty that searching method substituted for bridge waterproofing.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application on P.C.L layer of railroad bridge using the property and merit of L.M.C. As a result performance test about six item, L.M.C was confirmed no problem to performance and application of bridge waterproofing.

  • PDF

1D Numerical Simulation of Geyser Phenomenon in Storm Drainage using Modified Preissmann Slot Model (Modified Preissmann Slot 모형을 이용한 지하방수로의 Geyser 발생 1차원 수치모의)

  • Choi, Seo Hye;Chegal, Sun Dong;Lee, Se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74-174
    • /
    • 2015
  • 국내의 국지성 집중호우와 같은 기후변화와 토지피복율 증가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인한 표면 유출수의 증가로 도시에서의 내수침수가 매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도심지 돌발홍수로 인한 피해에 대한 구조적인 대책으로 지하방수로가 효과적인 방안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현재 신월빗물저류배수시설이 설계단계에 있다. 그러나 미국, 일본 등의 국외의 기설치된 지하방수로에서 발생되는 Geyser 현상으로 인한 피해에 대한 연구는 국외에 비해 미비한 편이므로, 선행적으로 Geyser에 대한 물리기반의 동수역학적인 이해가 필요한 실정이다. Geyser는 홍수 시 급격한 유량의 유입으로 단파가 발생하여 지하방수로 내 공기의 압축이 발생하고 수직관을 통해 공기가 물과 함께 지상으로 분출되면서 발생된다. 따라서 공기와 물의 혼합 유동을 모의해야 하며 동시에 단파의 불연속성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상용프로그램으로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하방수로의 Geyser 현상의 발생 예측을 위해 1차원 Saint-Venant 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선정하였으며, 단파 발생을 수치적으로 안정적으로 모의하기 위해 Roe Approximate Riemann 수치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공기의 압력항을 고려하기 위해서 수정된 형태의 Preissmann slot 모형을 적용하였다. Geyser 현상의 영향인자로서 지하방수로 수평관의 직경, 마찰계수, 바닥경사, 초기수위, 유입유량을 고려하였으며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량에 의한 하류에서의 동수역학적 거동을 분석하였다. 5개의 영향인자의 변화에 따른 단파의 유입속도 및 공기부 압력의 변화를 관찰하여 Geyser 현상에 대한 동수역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추후 본 연구결과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지하방수로의 사용 안정성을 확보하고, 홍수발생 시 모니터링 인자도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xperiment on In-rack Sprinkler Head for Rack Type Warehouse (적층식 대형창고 스프링클러헤드 개발 및 성능실험)

  • Kim, Woon-Hyung;Lee, Jun;Hong, Seong-Ho;Kim, Jong-Hoon;Yang, So-Ji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5 no.2
    • /
    • pp.214-222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prinkler head that can be controlled and initial suppressed by installing it in a rack-type warehouse. Method: Considering the spray radius and spray pattern, various deflectors were designed, and the spray angle, discharge characteristics and protection performance test was conducted, and thes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An optimal sprinkler head was developed to protect full load, front side of a commodity with minimum water volume 115L/min. Conclusion: The developed head of K-115 and 1Bar pressure was tested with one tier storage confirming that the fire control is carried out without burning all the loadings. In addition, 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load to the deflector shall be separated by 450mm and installed to allow sufficient discharge to the outer part of the commodity.

Design of Autonomous Bio-mimetic Robotic Fish with Swimming Artificial Intelligence (생체모방 자율유영의 인공지능 물고기 로봇 설계)

  • Shin, Kyoo Jae;Lee, Jeong Bae;Seo, Young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913-916
    • /
    • 2014
  • 본 논문의 수중로봇 도미(Domi) ver1.0는 관상어용 물고기 로봇 개발을 목표로 연구 개발되었다. 물고기 로봇은 머리, 1단, 2단 몸체와 꼬리부분과 2개의 구동 관절로 구성되어 있다. 물고기 로봇의 추력에 적합한 구동부 선정을 위하여 물고기 로봇 모델링과 유영 해석을 통하여 관절 구동부가 설계되었다. 또한 물고기 로봇의 유영알고리즘은 Lighthill 운동학 해석을 기초로 생체 모방의 유영 근사화 방법을 적용하였다. 설계된 물고기는 수동유영 및 자율운영모드로 동작된다. 수동유영모드는 RF 송수신에 의하여 구현된다. 본 설계된 물고기로봇 도미 ver1.0은 수중 현장시험 평가을 통하여 추력, 내구성, 방수성 등의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Invention of Water level gage using Light Emitting Diode(LED) (LED를 이용한 수위측정장치 개발)

  • Kim, Dong-Gu;Kim, Won;Lee, Cha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832-1836
    • /
    • 2009
  • 우리나라 수위관측소에 설치되어 있는 수위표는 야간 시인성 부족으로 야간이나 우천시 수위관측을 수행하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유량측정 전후 수위관측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야간일 경우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쉽지 않다. 야간 수위관측시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일부 관측소에서 야광도료를 이용하거나 빛의 반사효과를 높인 수위표를 설치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으나 그 효과는 크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야간 수위관측시 수위 식별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첨단 소자인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수위표를 개발하고 동시에 전류식 수위센서를 이용하여 자동 수위측정이 가능한 수위표를 개발하였다. 이는 기존의 눈으로 확인하는 수위표와 로거에 저장되는 수위측정장치를 하나로 통합한 것이며 주야간을 가리지 않는 탁월한 시인성과 정확한 수위측정 및 수위자료의 저장이 특징이다. LED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첨단 소자로서 각종 전광판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전력을 크게 소비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전기장치를 수중에 설치하는 것이므로 방수를 위해 실리콘을 이용하여 완벽 방수구조를 갖추었으며 홍수시 하천 유하물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내구성을 갖춘 구조로 설계 제작하였다. LED를 이용한 수위표는 야간이나 홍수시 수위관측을 수행할 때 많은 장점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저전력 구조로 상용전원을 이용할 수 없는 위치에서 태양열 전지판을 이용한 배터리 기반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측정의 정확도, 활용도 측면뿐만 아니라 설치의 편리성 문제도 큰 장점을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sign Study on Waterproof 4-axis Manipulator (방수형 경량 로봇팔의 설계 연구)

  • Choi, Hyeung-Sik;Jo, Jong-Rae;Woo, Myoung-Man;Seo, Jung-Min;Ju, Young-Do;Kang, Jung-Suk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7 no.2
    • /
    • pp.100-106
    • /
    • 2013
  • This paper deals with the design method for a small waterproof 4-axis robot arm. An extens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torque applied to the robot joint as a result of the payload, as well as the design of the joint actuator capacity. In addition, a study was undertaken on the design of a waterproof joint actuator that works at depths greater than 10 m and the wiring design for a small waterproof connector to avoid obstructing the robot motion. Finally, a finite element method simulation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strength of the designed robot arm link, and its stability was verified through a simulation test.

A Experimental Study on the Root Barrier Design of Joint of Panel Type Waterproofing Method by Considering the Growth Diagnosis of Root (식물뿌리의 생장특성을 고려한 패널형 방수공법의 조인트부 방근설계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hoi, Sung-Min;Choi, Soo Kyung;Oh,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09.11a
    • /
    • pp.183-189
    • /
    • 2009
  • In this study, the growth diagnosis of root is analyzed through plant's auxanology point of view, and the inductive root barrier ability of panel type waterproofing method which is designed to deal with it, is confirmed positively through long term(2 years) mock-up test. Moreover, basic ideas for inductive root barrier design in joint is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The experiment result for the root barrier of sealed A-type during 24 months, there were no damages found on the waterproofing layer. -urethane sealing material was used to apply for waterproofing of joint- for roots. As the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root barrier of method through applying inductive root barrier design such as the installation of decreasing space of bearing power which considers the growth diagnosis of root, even if the root barrier was not secured.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Disaster Warning System Based Radio Communication (무선 재난경보시스템 설계 및 구현)

  • Ahn, Byung-Dug;Lee, Won-Suk;Kim, You-Hyuk;Lee, Seung-Hyung;Kwak, Woo-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9-1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지진 및 재난상황을 신속하게 대중에게 전파하기 위해 상황실에서의 통제에 따라 정해진 경보방송을 수행하고, 대용량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소개한다. 통신망은 VHF와 위성을 이용하는 이중화로 구성하여 재난발생 시 통신장애에 대한 서비스를 안정화하고, 통신부/제어부/입출력부/앰프부/전원부 등을 유니트로 설계하여 유지보수를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야외 환경에서 동작되는 장비는 먼지로부터 보호하고 방수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밀폐형 함체 내부에 장착된다. 혹한 및 혹서의 날씨에도 장비 운영에 문제가 없도록 장비 내부에 히팅을 하고, 팬을 이용하여 공기 배출을 통해 온도 조절 기능을 수행한다. 배터리를 내장하여 불안정한 상용 전원 공급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PDF

Analysis of Stream Characteristics at Tangential Intake Structure of Deep Underground Strom Water Tunnel (대심도 빗물배수터널의 접선식 유입구 흐름특성 분석)

  • Kim, Jung-Soo;Kim, So-Young;Choi, Tea-Soon;Yoon, Sei-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04-604
    • /
    • 2012
  • 국지성 집중호우에 따른 도심지 내수 침수 피해의 주원인으로 하수관거의 설계기준을 초과하는 강우가 침수피해의 주요 원인이며, 도심화로 인해 불투수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유출되는 시간이 짧아 저지대의 피해는 불가피하다. 2010년과 2011년에 100년 이상의 강우사상이 서울시에 연이어 나타나면서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지역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광화문 거리의 연이은 침수는 현재 서울시의 하수관거의 용량과 빗물펌프장 및 저류조 시설로 구성된 기존 수방대책의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광화문 일대의 배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효자배수분구 빗물배수터널을 계획하고 있다. 일본, 미국 및 유럽 등지에서는 대심도 지하수로 시설에 대한 수리실험 및 수치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지하방수로가 건설되어 국지성 집중 강우에 대해 적절히 대응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대심도 지하방수로 시설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지하방수로 설계 지침 및 기술적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대심도 빗물배수터널 시설에서의 흐름특성 분석에 관한 수리실험 및 수치해석 등의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 실험의 물질적 및 시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3차원 유체거동의 특성분석에 많이 사용되는 Fluent 6.3 모형을 이용하여 대심도 빗물배수터널 시설의 접선식 유입구에 대한 흐름특성을 수치모의 하였다. 접선식 유입구 및 수직갱(drop shaft)에 대한 기하 모형의 격자망은 수치해석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그림 1과 같이 6면체 격자로 구성하였다. 맨홀 내의 다상유동을 고려하기 위하여 VOF(Volume of Fluid) Scheme을 적용하였으며, 수치해석 방법으로는 비정상류, 1st order implicit method를 사용하였다. Fluent에서의 난류 흐름을 계산하는 방법에는 난류 운동에너지와 난류 에너지 소산율 $\epsilon$의 전달 방정식을 도입한 k-$\epsilon$ 난류 모형을 채택하였다.

  • PDF

Design Planning and Evaluation using Mock-up for the Short-term Temporary Housing (단기 임시주거를 위한 설계계획 및 목업을 통한 성능평가)

  • Lee, Won-Hak;Lee, Byung-Yun;Cho, Young-J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3
    • /
    • pp.609-616
    • /
    • 2019
  • This paper proposes a design plan of short-term temporary housing for the victims by disaster. Also construction workability and residential environment evaluated by mock-up. In particular, in the event of a disaster, victims have lived the auditorium or gymnasium of the nearby school which is an emergency shelter. However, there was a problem of livability. Therefore, it is the purpose of study to provide temporary housing that resides within 30 days. For this purpose, a composite panel with light weight and insulation select to produce mock-up. The mock-up complete in about an hour. This is because it is made only of the composite panels. The composite panels confirm to be easy to load and construct. And mock-up evaluates insulation and waterproofing performance in the laboratory. As a result, Mock-up has insulation and waterproofing performance. This suggests an alternative to short -term temporary hou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