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송.통신융합

Search Result 796,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IPTV 조속 도입 건의서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187
    • /
    • pp.12-15
    • /
    • 2007
  • 협회는 7월5일 IPTV 서비스의 조속한 도입과 아울러 합리적인 제도 마련을 촉구하는 관련업체의 의견을 담은 건의서를 국회 방송통신특별위원회에 전달했다. 또한 국무조정실 방송통신 융합지원단과 정보통신부 융합전략팀에도 전달했다. 협회는 건의서에서, 이해 관계자들의 소모적인 논쟁이 결과적으로 IPTV 서비스 도입정책 지연과 더불어 관련 산업 활성화를 가로막아 산업계의 첨단기술 및 제품들이 사장될 위기에 있으며 국가적으로도 막대한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며 IPTV 서비스의 조속한 도입을 촉구했다. 특히, 협회는 국가 100년 대계를 생각해 더 이상 소모적인 논쟁을 종식하고 국가 신성장 동력인 IPTV 상용화를 통해 IT강국의 위상을 제고해야 하며, 이를 위해 정부의 신속한 제도마련과 뉴미디어에 걸맞은 규제제도 완화가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 PDF

An Elementary technology for broadcasting-communication convergence and incubation algorithm of professional technical engineer (방통 융합을 위한 요소 기술과 전문 기술 인력 양성 알고리즘)

  • Lim, Seung Gag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8 no.5
    • /
    • pp.243-249
    • /
    • 2008
  • The time of broadcasting-communication convergence is opened by advance of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technologies and becomes the growing model of new industrial field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element technology that is opening to the successful broadcasting-communication convergence period, and deal with the manpower incubation algorithm in the university that is aimed to the graduation of creative and ability professional engineer in that field by basis of this. The manpower incubation algorithm deal with the basic education curriculum which is support for the element technology and the educational direction and flowchart in the university for the next generation.

  • PDF

Design of Multiplexing System Supporting MPLP for Next-generation Convergence Broadcast Service (차세대 융합 방송 서비스를 위한 MPLP(Multiple Physical Layer Pipe)기법을 적용한 다중화 시스템 설계)

  • Woo, Yong-Je;Park, Kyung-Won;Jeon, Won-Gi;Paik, Jong-Ho;Kwon, K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484-485
    • /
    • 2015
  • 세계적인 디지털 방송 전환과 더불어 방송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HD(High Definition) 방송 시대를 넘어 UHD(Ultra High Definition) 방송 시대를 개막하였으며, UHD를 비롯한 다양한 차세대 방송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차세대 방송 기술의 선점을 위한 유럽의 DVB 2.0, 미국의 ATSC 3.0, 일본의 ISDB-Tmm과 같은 최신의 방송 표준이 제정되 거나 제정을 준비하고 있다. 국내의 차세대 방송 원천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이 어느 때보다도 시급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방송 통신 융합환경 하에서 초고화질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세대 융합방송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유럽의 차세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적용된 MPLP 기법을 분석하고, 해당 기법을 적용하여 지상파 방송망을 통해서 HD 및 4K UHD 서비스를 다중화하여 변조시스템에 전송하는 다중화 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한다.

  • PDF

Analysis of Risk Management for Communication under the Law (방송통신발전기본법에 따른 방송통신재난관리 분석)

  • Jeon, Inchan;Choi, Seong Jong;Lim, Jung Tak;Choi, Jae Woong;Bae, Il-Hwan;Lee, Bum-Jin;Moon, Nam-M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34-35
    • /
    • 2011
  • 우면산 산사태로 인한 EBS 방송중단으로 방송통신재난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통신재난관리는 전기통신기본법에 의하여 규정되어 지금까지 잘 수행되어 왔으나 방송재난관리는 명확한 법 규정 없이 각 방송사 내부적으로 수행하여 왔다. 그러나 방송통신융합에 따른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시행으로 방송통신재난관리 규정이 신설되어 방송사들의 재난관리 업무가 법적으로 명확히 규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시행에 따라 방송재난이라는 개념을 정의하고, 주요방송사업자(KBS, MBC, SBS, YTN, MBN)의 방송통신재난관리 기본계획, 방송재난 대비, 방송재난 보고, 방송통신재난대책본부와 관련된 법 조항을 분석하였다. 통신사업자들의 경우는 재난방송 의무는 없으나 재난방송협의회 참가를 통하여 CBS 등과 같은 재난방송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Trend and Forecast of IPTV Service (IPTV 서비스 추진 동향 및 전망)

  • Kim, M.J.;Park, Y.J.;Koh, S.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1 no.2 s.98
    • /
    • pp.53-65
    • /
    • 2006
  • 1990년대 말 본격화된 인터넷 서비스는 일반 개인들의 라이프스타일은 물론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야기시켰을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의 출현만큼이나 우리 생활양식을 크게 변화시켜 왔다. 나아가 통신망의 광대역화 및 방송의 디지털화에 따라 One phone, VoIP, WiBro, HSDPA, DMB, IPTV 등 유. 무선 통합, 음성. 데이터 통합 및 통신. 방송 융합이 발현되는 신규 서비스들이 속속 선보이면서 서비스, 사업자, 단말기 등이 융합되는 컨버전스 패러다임이 본격화되고 있는 양상이다. 이중 인터넷과 TV가 만나는 IPTV는 통신과 방송이라는 이종산업간의 대표적 융합서비스로서 VoIP, 초고속인터넷, TV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려는 통신사업자들의 TPS 사업전략의 일환으로 현재 전세계 280여 개 이상의 사업자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 이에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IPTV 서비스에 관한 개념, 발전과정, 기술 배경, 국내. 외 사업자 추진 현황 및 향후 시장전망을 살펴봄으로써 IPTV 서비스의 발전가능성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A Progressiv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Portable Mobile Broadcasting (휴대방송 발달의 추진과제와 정책방향)

  • Kim, J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1a
    • /
    • pp.65-68
    • /
    • 2008
  • 휴대방송에서 방송통신융합서비스가 진행되면서 시청자들의 초점을 맞춘 연구가 심화되어 또 다른 융합서비스와 양방향 서비스가 한 단계 더 발전하는 계기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이러한 퍼스널 사회로의 진입과정에서 휴대방송 발달의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고 진단을 통해 추진과제와 다양한 선행 과제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PDF

Policies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In Smart Media Convergence Age: Focus on the Policy Paradigm and Public Relations Strategies for Dynamic Quality of Life (스마트미디어융합시대 방송통신정책: 삶의 질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과 정책 PR을 중심으로)

  • Park, Sung-H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9 no.5
    • /
    • pp.99-111
    • /
    • 2011
  • Nowadays, the rapid progress and worldwide use of smart-media(SNS) has resulted in coming of the smart media convergence age. In practice,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smart media convergence society is limited by the difficulties of using it, which include accessibility, waiting for loading, clutter, old information, privacy risks, expensive communication, etc. The conquest of these difficulties must be policy target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for high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proposes a new policy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based on the dynamic quality of life for the smart media convergence society. This smart convergence policy will not promote only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smart media contents but also its stable supply and it will secure the accessibility and privacy. In conclusion, this paper reveals that the components of quality of life are important elements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policies which will eventually lead to the popular use of smart media and enhance its quality.

멀티미디어 기술 기반 방송제작 체계

  • 김경수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
    • v.20 no.5
    • /
    • pp.10-16
    • /
    • 2002
  •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의한 디지털 방송의 도입은 방송환경에 커다란 변혁을 초래하고 있다. 기술의 발전은 방송, 통신, 컴퓨터를 융합시킨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를 등장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미디어의 융합은 지금까지 독자적인 영역에서 발전하여 오던 각각의 미디어들이 가지고 있는 한계성 또는 단점을 상호보완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서비스 능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와같은 디지털 시대의 대변혁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그 중심축으로 하고 있으며, 이른바 방송통신 융합시대의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한 미디어간, 국가간의 경계영역을 초월한 글로벌 경쟁체제가 급속히 진전되어 가고 있다. 이와 같은 미디어의 융합 현상에 따라 제작 환경도 새로운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도록 전환되어야 한다. 디지털 방송의 특징인 고품질 및 다채널 시대를 맞아 방송 콘텐츠의 재활용도를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데이터 방송, 인터넷 방송 등 다양한 기능의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해선 제작 체계의 개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제작 환경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컴퓨터 기반의 제작 환경 구축에 핵심 요소인 넌리니어 편집시스템과 방송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테이프 대신 하드디스크를 기록 매체로 하는 넌리니어(non-linear) 시스템의 등장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 제작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 정립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근간으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 제작환경, 즉 네트워크에 의해 컴퓨터와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여 제작으로부터 송출가지 통합관리가 가능한 새로운 방송 프로그램 제작환경, 이른바 멀티미디어 제작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디지털 방송 시대의 방송 사업자에게 가장 중요한 과제중의 하나가 되었다. 멀티미디어 제작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영상, 음성 및 다양한 부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을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필요한 영상 이미지를 자유롭게 합성, 조작하는 등, 매우 다양하고 편리한 제작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를 응용한 제작 분야로서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은 방송의 사전제작에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으며, 이미 선거방송을 비롯한 여러가지 프로그램은 가상스튜디오와 가상캐릭터 기술을 활용하여 제작하고 있다. 방송사업자는 이러한 멀티미디어 제작시스템을 근간으로 영상검색, 영상 합성, 스크립트 편집, 가상현실 응용 등 고도의 제작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사용자 친화성, 다이나믹한 표현, 실시간, 대화성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유선방송 표준화 동향

  • 박승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1.05a
    • /
    • pp.409-424
    • /
    • 2001
  • 미국 디지털 유선방송 표준인 OpenCable 방식을 디지털유선방송 추진위원회에서 만장일치로 선정하여 정보통신부에 권고한 상태, 기술기준 정리 및 데이터 방송, Text Bed 관리 등의 업무를 추진위원호에서 수행할 예정임. 디지털 유선방송은 전송방식이 256QAM이 표준이므로, 최대 6MHz 대역내 다수의 HDTV 채널 수용이 가능할 것임. STB내에 OCAP Middleware가 탑재될 것이고 Web Browsing, Chatting, Email 등이 표준으로 되어 있고 양방향 데이터방송이 가능하므로, 현재의 단순한 방송위주의 유선방송에서 본격적인 방송 통신의 융합체로 새롭게 탄생할 것으로 예상됨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