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송.통신융합

Search Result 79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 기술동향

  • 오승준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1 no.11
    • /
    • pp.22-34
    • /
    • 2004
  • 오디오, 비디오, 음성, 문자 등 모든 매체가 디지털화 되고 통신망의 고속화와 방송 서비스의 개인화 및 양방향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의 방송 서비스와 통신 서비스의 경계가 무너지고 두 가지 형태의 서비스가 융합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가 점차적으로 보편화 될 것으로 예상되어 이 분야에 대한 많은 연구와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국제 표준화 활동에서도 방송통신이 융합된 형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 표준들이 제정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고에서는 향후 정보통신 서비스의 핵심 서비스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 기술동향과 국제표준화 활동에서 추진되고 있는 관련 기술 표준화 동향 및 표준기반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 사례와 연구사례를 살펴 보았다.

특별기획-새 전환기 맞는 방통융합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185
    • /
    • pp.14-14
    • /
    • 2007
  • 세계는 1990년대 중반 '정보화 혁명'에 이어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디지털 융합 혁명'이라는 새로운 물결에 직면해 있다. 디지털기술의 발전과 전송망의 광대역화에 따라 전통적으로 서로 다른 영역이었던 통신과 방송이 네트워크, 서비스, 단말기, 콘텐츠 차원에서 경계가 허물어지는 통신.방송 융합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IPTV, DMB, 웹캐스팅, 데이터방송 등 기존의 통신과 방송의 속성을 모두 가진 서비스가 우리들의 실생활에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융합현상은 이용자에게는 새로운 융합서비스 이용을 통한 편익 증진뿐만 아니라 통신.방송 전반의 산업구조까지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세계 주요국은 IPTV서비스를 도입하고 있으나, 세계 최고의 정보통신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안타깝게도 법제도 정비의 지연으로 아직 도입을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IPTV 도입뿐만 아니라, 디지털방송 활성화, 디지털콘텐츠 육성 등 풀어나가야 할 현안들이 산적해 있다. 또한 방송과 통신 전반에 걸쳐 정책과 규제체계를 융합환경에 맞추어 새롭게 설계해야 하는 과제도 있다. 이러한 과제를 순조롭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정책과 규제기구를 융합환경에 맞게 개편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번호에서는 방송통신 융합의 주요 이슈 가운데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할 방송.통신 기구개편과 대표적인 방송통신융합서비스인 IPTV서비스 도입정책방안 그리고 방송통신융합법에 대해 전문가들의 특별기고를 통해 살펴보는 자리를 마련한다.

  • PDF

지상파 8K UHD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 기술

  • Song, Seul-Gi;Baek, Jong-Ho;Gwon, Gi-Won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3 no.1
    • /
    • pp.26-32
    • /
    • 2018
  • 본 고에서는 지상파 8K UHD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 기술을 소개한다. 8K UHD 서비스를 위한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지상파 방송에서도 8K UHD 서비스 할 수 있도록 제안된 방송 통신 융합 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 방송망과 통신망에서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MMT(MPEG Media Transport) 기술과 차세대 비디오 코덱인 SHVC(Scalable High-efficiency Coding) 기술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 기술들이 적용된 8K 방송 통신 융합 송수신 시스템과 서비스 기술을 소개하고 향후 지상파 방송의 새로운 방송 서비스로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마무리 짓는다.

Considering Service Factors in R&D Project Selection: An Application to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Convergence Sector (서비스 특성을 고려한 방송통신융합 분야 R&D 프로젝트 선정)

  • Jun, Hyo-Jung;Kim, Tae-Sung;Yeon, Seung-Jun;Ha, W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455-465
    • /
    • 2008
  • Recently the discussion on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convergence has been actively advanced, the convergence service which pulls down the guard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industries is already embodied from the market. We need to clearly define a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convergence in order to develop promising convergence technologies based on future demands for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convergence. In this study, we consider both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as 'services-centered industries' and suggest new R&D project selection criteria. This could be used to present a new direction in R&D project management.

  • PDF

A Review of Teleommuniations Broadcasting Convergence Trends and Services: Focusing o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atellite Services in Korea (통신.방송 융합서비스 주요 동향 및 이슈: 국내 위성 DMB 서비스 도입 현황을 중심으로)

  • Song, Y.W.;Chung, H.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9 no.2 s.86
    • /
    • pp.101-11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통신. 방송 융합의 개념과 통신. 방송 융합 서비스의 현황을 알아보고 통신. 방송 융합 서비스관련 국내외의 분류 기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대표적인 통신. 방송 융합형 서비스인 위성 DMB 서비스를 실제로 연구에 적용하여, 국내 위성 DMB 서비스 관련 정책환경 분석과 더불어 위성 DMB 서비스와 유사서비스와의 비교를 통해 통신. 방송 융합서비스가 보유하고 있는 차별적 성격을 도출하는 한편, 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Vulnerability Analysis Process for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따른 취약점 분석 프로세스 연구)

  • Ryou, Jeong-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1084-1087
    • /
    • 2008
  • 최근 우리나라에서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로 방송과 통신이 기술적으로 융합화되어 가고 있고, 방송통신위원회를 기반으로 각종 방송 통신 정책 및 제도들이 개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융합 환경의 핵심적인 특징은 네트워크가 현재보다 더 광범위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지만 융합에 따른 불확실성, 즉 융합에 따른 취약성을 제거하지 않고서는 서비스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방송 통신 융합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방송과 통신의 융합과 관련된 보안 취약점 분석 프로세스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방송과 통신의 기반시스템이 융합화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취약성에 대한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취약점을 분석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Regulatory Issues on Telecom and Broadcasting Convergence (통신.방송 융합 현상과 과제)

  • 변재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23-23
    • /
    • 1998
  • 1980년대 이후 계속된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영상처리 기술의 발전은 전통적으로 엄격히 분리 운영되어 온 통신과 방송의 융합화를 촉진하고 있으며, 기존의 미디어 질서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미 통신망과 방송망이 융합하여 하나의 망을 통해 방송서비스와 통신서비스를 동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으며, VOD, 인터넷방송, FM 방송전파를 통한 무선호출서비스 등 새로운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사업자측면에서는 통신사업자와 방송사업자가 상대영역에 진입하거나 M&A를 통해 양 분야의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사례가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영국, 일본 등 선진국뿐만 아니라 EU 차원에서도 최근의 기술발전 추세와 산업계의 동향을 반영하여 통신사업자와 방송사업자간 상호진입 허용, 규제기구의 통합 등 기존의 규제제도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고 있다. 미국의 1996년 통신법 개정, EU의 대체인프라스트럭쳐 자유화정책, 영국과 일본에서의 CATV망을 통한 통신서비스제공 허용 등이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계적인 흐름과 비교하여 볼 때 우리나라의 법/제도 정비 및 정책적 대응은 매우 미진한 상태이다. 현행법은 아직까지 통신망과 방송망간 융합, 사업자간 융합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으며, 서비스의 규제방식 등 통신·방송 융합시대에 대비한 규제제도 정비가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본 고에서는 통신·방송 융합의 배경과 전개과정, 국내외 융합추진 현황을 살펴보고, 통신·방송 융합 현상에 따른 규제제도상의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방송.통신 융합 환경을 위한 MPEG-21 기술개발

  • 김진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6a
    • /
    • pp.51-69
    • /
    • 2003
  • ㅇMPEG-21 Multimedia Framework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활용 및 유통을 위한 통합적인 프레임워크.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보장. ㅇ방송.통신 융합 환경 - 상이한 단말, 네트워크 환경 및 저작권 보소/관리 문제 대두.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창조, 제작, 전달, 소비 전 과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송ㆍ통신 통합 프레임워크 필요$\rightarrow$MPEG-21 기반 방송ㆍ통신 융합 프레임워크 기술개발. 산학연 공도연구과제 소개 - 방송ㆍ통신 융합 UMA 기술개발 - MPEG-21 표준화 활동 및 기반 기술개발 ㅇ 산학연 공동연구과제 소개 방송.통신 융합 UMA기술개발 MPEG-21 표준화 활동 및 기반 기술개발

  • PDF

디지털 융합시대 방송통신 정책방향

  • Choe, Jae-Y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7 no.1
    • /
    • pp.11-14
    • /
    • 2009
  • 본고에서는 최근 방송과 통신 업계의 화두로 부상하였던 방송통신융합 현상을 이해함에 있어서 '컨버전스'의 개념과 주요 촉발요인을 짚어봄과 동시에 방송통신융합의 의의와 2010년 방송통신 융합정책의 방향, 특히 R&D정책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국가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 방송과 통신 - 방송통신위원회 형태근 상임위원과의 대담

  • 통신위성우주산업연구회
    • Satellite Communications and Space Industry
    • /
    • v.15 no.1
    • /
    • pp.88-93
    • /
    • 2008
  •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방송과 통신이 빠르게 융합하고 있습니다. 방송은 통신을 활용해, 통신은 방송을 실어 이용자인 국민에게 다양한 첨단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정보통신이 발달한 우리나라는 그 흐름이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맞춰 새 정부는 지난 3월29일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발효함에 따라 "방송통신위원회"가 새롭게 탄생하였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러한 흐름에 맞춰 세계 최고의 융합서비스를 누구나 즐기는, 방송통신 선지한국의 새 길을 열기 위해 출범한 합의제 행정기구로서 방송통신을 국가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규제 개혁으로 기업의 경쟁과 투자를 살리며, 특히 방송이 독립성을 보장하고 공익성을 확대하여 방송통신 융합의 모든 혜택을 국민이 고루 누리는 '방송통신 국민 주권 시대'를 열어간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습니다. 위원회의 출범 이후 정책방향의 변화추이와 방송 통신 분야의 전망을 진단하고자 모처럼 방송통신위원회 형태근 상임위원과 대담의 기회를 마련하였습니다. 대담내용을 정리하여 소개합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