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purposes to identify who is/are in charge of KBS broadcasting programming in view of freedom of broadcasting and interest of audience under the circumstance that Blue House put pressure on KBS to refrain from reporting Sewol Ferry disast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has reviewed prior theses, books, journals, laws, and cases, etc. It is analyzed that principal agents in charge of freedom of broadcasting journalism and programming are KBS employees in charge of producing broadcasting programs and KBS chief programming officer, who is appointed by KBS CEO. KBS CEO, who can easily be influenced by governmental pressure in terms of KBS structure, should avoid interfering with programming and producing directly or indirectly for freedom of the press and public interests.
Platform operators adopted ATSC standard send only their own channel program schedule information, so in order for the viewer to see other channel information, they have to tune the channel to the other. This issue arises from the operators' lack of bandwidth and the business interest conflicts between the platform operators. This paper guides how ATSC standard could be used within Xlet based application to display other channel information through the ISG (Integrated Scheduling Guide) technology via interactive return channel services. Its own channel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by using on-air PSIP (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data.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2018.11a
/
pp.99-100
/
2018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방송 서비스는 지상파 기준으로 100% 제공하는 자막방송 서비스와 달리 콘텐츠 제작비용과 시스템 운영비용 등으로 인해 5% 수준의 편성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편성 비율조차도 명확한 편성기준과 검증기준이 없어서 실제 청각장애인이 실제 체감하는 수준은 훨씬 낮은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방송사업자의 장애인방송 편성비율을 검증하기 위해서 방송프로그램 안내정보와 방송 시그널링 정보를 기반으로 채널별로 방송스트림을 수집 및 관리하는 장애인방송 모니터링 서버를 활용하여 수화방송 모니터링 기술 고도화를 위한 자동화된 수화영역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자동화된 수화영역 검출 방법을 활용한 수화방송 모니터링 결과를 보여준다.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2002.11a
/
pp.113-116
/
2002
최근 방송의 디지털화에 따라 수많은 채널의 수용이 가능하게 되어, 현재와 같이 신문의 방송편성표를 보고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을 알아내는 것은 힘들어 졌다. 디지털방송에서는 신문 방송 편성표와 같은 기능을 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EPG를 보면,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을 GUI로 사용자가 쉽게 알아 볼 수 있어 하고 있어 신문 편성표나 인터넷으로 제공되는 각 방송국의 편성표와 달리 TV 화면에서 프로그램 정보를 검색할 수 있어 편리해졌다. 그러나 이 EPG에서 제공되는 시간은 매우 부정확하기 때문에 시청자가 불편을 느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방송의 시작 시간을 정확히 알아내어 EPG를 정확히 갱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방송의 시작부분을 미리 저장한 후, 시작 부분을 Visual Rhythm을 이용해 shot들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방송 스트림의 shot들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와의 Pattern Matching을 통해 보다 정확한 방송시간으로 EPG를 갱신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s of programming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the consumers of entertainment programs on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on watching intention and the data of a survey with 360 adult viewers in the capital area. Research questions were verifi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to analyze the impacts of the factors of programming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the consumers on their watching intention, setting personal characteristics as a control variable, programming characteristic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watching intention as a dependent variable, the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 Thus, the more positive the perceived factors of programming characteristics, the more significant their watching intention improved. Second, the factors of programming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affecting watching intention had greater positive(+) impacts in the following order: Adjacency > substantiality > weight of genre > social evidence > relative advantage > ease of access.
This study analyzes on which Sports Program the 2006 TV focused on. As a data, we have used the 2006 Television programming components of KBS 1TV, 2TV and MBC TV, SBS TV.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carried out classifying the sports hookup program. As a result, all three broadcasting companies placed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2006 World Cup and they have made national match the prime subject in the components of Television Programming. Looking at each broadcasting companies, SBS TV placed the highest importance in sports programming, on the other hand, KBS TV placed the least importance in sports programm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2006 Sports Television Programming components is that it was focused on the Mega Sports Event and the Pro-Sports of the World Cup and have worsen the alienation phenomena of unpopular sport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2015.07a
/
pp.84-85
/
2015
자막방송은 지상파 방송 수신을 통해 시청 가능한 자막 서비스를 의미하며, 현재 모든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 자막방송이 제공되고 있다. 자막방송을 위한 자막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속기를 통해 입력되며, 방송에서 속기를 통해 작성된 자막 데이터는 파일로 저장되어 해당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데이터로 활용되거나, 동일한 프로그램이 재방송으로 편성될 경우의 자막방송에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재방송의 경우 편집으로 인해 본방송과 내용상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편집이 발생한 부분을 포착하여 자막 데이터에도 동일한 편집을 적용한 후에 자막방송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재방송 송출에 기존 자막파일이 활용될 경우 반드시 전처리를 통해 자막과 영상의 내용을 일치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방송 현장의 재방송 편성/송출 워크플로우에서는 자막 전처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갖춰지지 않는 예외적인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방송 현업의 재방송 편성/송출 워크플로우에서 파일기반 자막송출 기능을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자막 전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들에 대한 대처방법을 설명하고, 그 방법을 구현한 시스템을 소개한다.
It has become five years since comprehensive programming licenses were rendered in Korea. Allocating a lion's share of their air time on live news and news commentaries, those channels have established a unique live production system or a broadcasting system which is heavily live production-oriented, to be exact. The live commentaries are filled with a mixture of news flashes, conventional news commentaries, and debates. Those channels get their news and commentary programs made through subsidiaries' where production directors and studio staffs belong. They, being very sensitive about viewer rating, tend to be aggressive about reruns of highly rated programs and they do not even seem to care when the regular programs actually went out. This kind of reckless strategy to pursue a higher viewer rating could limit not only new programming attempts but also exposure diversity.
Digital TV 환경에서,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ATSC) 표준을 채택한 지상파 방송 사업자들은 자기 채널 정보만을 전송하기 때문에, 시청자가 타 채널 편성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채널 튜닝(Tuning) 후 정보를 받아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방송 사업자의 송출 대역폭(Bandwidth)의 부족 및 사업자간의 이해관계가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ATSC 의 데이터방송 규격인 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ACAP) 기반에서 자기 채널 편성 정보는 현재 수신되고 있는 PSIP 규격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하고, 타 방송사 채널 편성 정보 및 장르 정보, 양방향 데이터방송 정보 등은 리턴 패스(Return Path)를 이용하는 통합 편성 정보 서비스(Integrated Scheduling Information Service, ISIS) 구현 방법을 제시하여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2013.06a
/
pp.401-404
/
2013
청각장애인을 위한 지상파방송 서비스 중 자막방송은 100%에 가까운 편성 비율을 달성하고 있지만, 화면을 가리는 수화방송은 5% 수준의 편성에 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막방송을 수화로 번역하여 그래픽 수화방송을 생성함으로써 수화방송의 비율을 높이고자 한다. 수화 단어들의 빈도를 파악하고 중요 단어부터 모션 캡처하기 위해 과거 3년간 일기예보 스크립트를 분석하였다. 자막방송 문장을 형태소별로 분석한 다음 중요 품사 위주로 단어 단위로 번역하고, 기 구축된 한국어 어휘의미망을 이용하여 수화사전에 없는 유의어와 하위어를 대표어로 대체하였다. 기계번역 기술이 수화통역사의 수준을 따라잡을 수는 없지만 향후 수화방송도 선택적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수화통역사의 수화방송이 모든 프로그램에 편성될 때까지 본 시스템이 보조적 시청 수단으로 사용 가능할 것이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