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f the Impacts of Programming Characteristics of Entertainment Programs on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on Watching Intentions

종편TV 예능방송프로그램의 편성특성이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규환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Received : 2017.04.11
  • Accepted : 2017.05.28
  • Published : 2017.06.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s of programming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the consumers of entertainment programs on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on watching intention and the data of a survey with 360 adult viewers in the capital area. Research questions were verifi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to analyze the impacts of the factors of programming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the consumers on their watching intention, setting personal characteristics as a control variable, programming characteristic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watching intention as a dependent variable, the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 Thus, the more positive the perceived factors of programming characteristics, the more significant their watching intention improved. Second, the factors of programming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affecting watching intention had greater positive(+) impacts in the following order: Adjacency > substantiality > weight of genre > social evidence > relative advantage > ease of access.

본 연구에서는 종편TV 예능방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수용자가 지각하는 편성특성이 시청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시청자 360명의 설문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검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종편TV 예능방송프로그램 수용자가 지각하는 편성특성 요인이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개인적 특성을 통제변수로 투입하고, 편성특성을 독립변수로, 시청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편TV 예능방송프로그램 수용자가 지각하는 편성특성 요인이 긍정적일수록 시청의도가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시청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편성특성 요인은 인접성 > 내용적충실성 > 장르비중 > 사회적증거 > 상대적우위 > 접근용이성의 순으로 정(+)의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결국 본 연구는 편성특성이 시청행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해 경험적으로 검증하고, 종편 시청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편성의 구조적 요인 내에서도 어떠한 우선순위가 있는지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종편채널이 다양한 장르를 제작하고 편성하며, 이 과정에서 방송의 질적 수준과 지속성 및 차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진만, 주청, 주정민, "종합편성채널의 편성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 258-266,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258
  2. 하주용, "종합편성채널의 초기 성과 분석 : 사회문화적 성과와 운영 성과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제85호, pp. 37-67, 2014.
  3.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의 뉴스미디어, 2012.
  4. 김미라, "종합편성채널의 초기편성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2권, 제2호, pp. 145-169, 2012.
  5. 조익환, 이상우, "경쟁 환경에 따른 신규 미디어와 기존 미디어의 프로그램 다양성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6권, 제6호, pp. 177-213, 2012.
  6. 심미선, "시청률로 살펴 본 종합편성채널의 현주소," Content + Future, 미디어미래연구소, pp. 7-22, 2014.
  7. 방송통신위원회, 2015년 텔레비전 방송채널 시청 점유율 조사결과, 2016.
  8. http://www.tnms.tv/rating/default.asp
  9. R. Cooper, "An expanded, integrated model for determining audience exposure to televis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 37, pp. 401-418, 1993.
  10. D. A. Ferguson and E. M. Perse, "Media and audience influences on channel repertoire,"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 37, No. 4, pp. 31-47, 1993. https://doi.org/10.1080/08838159309364202
  11. S. M. Youn, "Program type preference and program choice in a multichannel situat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 38, No. 4, pp. 465-475, 1994. https://doi.org/10.1080/08838159409364279
  12. J. G. Webster and T. Y. Wang, "Structural determinants of exposure of television: The case of repeat viewing,"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 36, No. 8, pp. 125-137, 1992. https://doi.org/10.1080/08838159209364162
  13. J. Webster and G. Newton, "Structural determinants of the television news audience,"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 32, No. 4, pp. 381-389, 1988. https://doi.org/10.1080/08838158809386710
  14. C. Zubayr, "The loyal viewer? patterns of repeat viewing in Germany," Journal of Broadasting & Elecrtonic Media, Vol. 43, No. 3, pp. 346-363, 1999. https://doi.org/10.1080/08838159909364496
  15. P. T. Barwise and A. S. C. Ehrenberg, Television and its audience, London: Sage, 1988.
  16. G. J. Goodhardt, A. S. C. Ehrenberg, and M. A. Collins, The television audience: Patterns of viewing, Gower, 1987.
  17. J. G. Webster, "Beneath the veneer of fragmentation: Television audience polarization in a multichannel world,"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55, No. 2, pp. 366-382, 2005. https://doi.org/10.1111/j.1460-2466.2005.tb02677.x
  18. J. Neuman, The future of the mass aud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19. 김은미, "다채널 시대 텔레비전 시청자의 채널 이용: 시청자 집단의 크기와 충성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11호, pp. 41-75, 1998.
  20. 조성호, 시청률과 텔레비전 편성, 커뮤니케이션북스, 1998.
  21. 배진아, "국내 지상파 텔레비전 시청자의 중복 시청 패턴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7권, 제4호, pp. 104-139, 2003.
  22.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easy of use, and the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 13, No. 3, pp. 319-340, 1989. https://doi.org/10.2307/249008
  23. 김미선, 다매체 환경 하에서 IPTV 이용자 특성에 따른 지각된 인식과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24. 양정애, 장현미, "소비자의 인터넷 접근성 및 활용능력이 상품구매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2호, pp. 160-190, 2014.
  25. 옥경영, "아동의 인터넷콘텐츠 사용에 대한 접근성과 주관적.사회적 규범의 영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 443-45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443
  26. 김성희, 인접프로그램 속성에 따른 프로그램시청률과 광고시청률의 차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7. 전범수, 이정기, "토요일 프라임 타임 프로그램 편성전략이 채널 시청률에 미치는 영향 : 지상파 방송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5권, 제2호, pp. 5-35, 2014.
  28. 최혁라, "모바일 특성하에서 모바일 인터넷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제17권, 제4호, pp1399-1420, 2004.
  29. 고대영,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외식소비자의 건강메뉴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패밀리레스토랑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0. 박종희,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한 사고예방프로그램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치기공과 학생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31. E. M. Rogers, Diffusion of innovations(4th ed.), The Free Press, 1995.
  32. 오혜영, "상대적 이점과 위험 지각이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혁신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금융소비자연구, 제5권, 제1호, pp. 33-64, 2015.
  33. 양윤, 최윤식, 나은영, 홍종필, 김철민, 김연진, 광고심리학, 학지사, 2011.
  34. E. R. Petty and J. T. Cacioppo, Attitude and Persuasion, Wm. C. Brown Company, 1981.
  35. R. Vaughn, "How Advertising Works: A Planning Model,"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 9, pp. 21-28, 1983.
  36. 이준웅, 김은미, 심미선, "시청자 프로그램 품질 평가가 채널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방송통신연구, 제56호, pp. 273-304, 2003.
  37. 최윤원, 종합편성채널에 대한 수용자의 방송품질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8. W. Boulding, A. Karla, R. Staelin, and V. A. Zeithaml, "A dynamic process model of service quality: From expectations to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30, No. 1, pp. 7-27, 1993. https://doi.org/10.2307/3172510
  39. M. Fishbein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s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ley, 1975.
  40. 김예주, 외식상권 정보시스템품질이 사용자 만족과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41. 조석현, 이현지, "방송클립동영상 이용이 방송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pp. 645-655,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0.645
  42. 안석홍, 육건엽, 유우현, "TV조선과 JTBC의 시청 동기 및 모 브랜드 자산 평가가 채널의 지속적 시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 방송통신연구, 제94호, pp. 9-36, 2016.
  43. 박희석, 호텔정보시스템의 품질과 사용자 가치.만족, 사용의도간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44. 김판준, 박영근, "e-서비스품질이 쇼핑가치와 쇼핑만족, 고객의 자발적 e-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6권, 제1호, pp. 23-50, 2006.
  45. 김영국, 정진영, "외식 소셜커머스의 서비스편의 성과 지각된 가치가 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제37권, 제3호, pp. 83-102,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