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사성 오염물질

Search Result 13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Filtration System and its Efficiency of Exhaust System at Post Irradiation Examination Facility (조사후시험시설에서의 방사성 오염배기체의 포집장치 및 여과효율)

  • 황용화;이형권;전용범;민덕기;엄성호;홍권표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96-100
    • /
    • 2003
  • Filtering system is installed at post irradiation examination facility(PIEF) to maintain optimized operating condition of the facility by keeping different negative pressure condition depending on contamination level in the PIEF due to its treatment of radioactive materials. Inspection on each system, filter leak test and other related test are periodically performed as the performance test for increasing operational efficiency and safety.

  • PDF

한국 연안 퇴적물에서 ${^{137}Cs}, {^{90}Sr}$ 및 Pu의 분포

  • 최석원;진현국;김철수;노정환;김창규;노병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48-249
    • /
    • 2001
  • 인공방사성 물질이 해양으로 유입되는 경로는 대기권 핵실험에 의한 낙진, 원자력 관계시설에서 액체 방사성물질의 유출, 방사성패기물의 해양 투기 등이 있다. 현재 해양에서 검출되고 있는 인공방사성 핵종은 대부분이 과거의 핵폭발실험에 의해 해양으로 유입된 방사능 물질이 해양내에서 이동되어 검출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들 핵종 중에서 반감기가 긴 핵종($^{137}$Cs, $^{90}$ Sr, $^{238}$ Pu, $^{239+240}$ Pu)은 방사능 오염의 좋은 지표 일 뿐만 아니라 연안퇴적물의 거동과 분포를 이해하는데 유용하다. (중략)

  • PDF

A study on multi-media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of radon (자연 방사성 물질 중 라돈에 대한 다매체 노출 및 위해성 평가 연구)

  • 김예신;김진용;박화성;문지영;박성은;신동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369-370
    • /
    • 2003
  • 여러 가지 실내공기 오염물질중 라돈은 주로 자연 발생원으로부터 기인하는 물질로써 우리가 원하지 않는 비자발적 위험 요인(unwanted and involuntary risk factor)이며 전체 자연 방사성물질의 노출량에서도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환경부, 2002). 라돈은 무색, 무취의 가스로 이를 흡입하는 경우 폐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토양중 라돈은 지하수로 용해되어 지하수를 섭취하는 경우 노출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한 위해도보다는 실내공기로 인한 흡입 노출시의 위해도가 매우 크고, 이로 인해 실내 공기중 라돈의 위해도가 라돈으로 인한 전체 위해도의 90%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AS, 1999; 김순애 등, 2002). (중략)

  • PDF

방사성 폐기물 관리

  • 남장수
    • 전기의세계
    • /
    • v.39 no.11
    • /
    • pp.52-59
    • /
    • 1990
  • 방사성폐기물 관리는 이미 발생된 폐기물에 대하여 처리.처분하는 사후관리라 할 수 있으며 이에 앞서 폐기물의 발생량을 줄이는 방안 즉 사전관리에도 소홀히 해서는 안될 것이다. 사전관리는 방사능 관리구역내 불필요한 물품잔입금지, 소모성자재의 최대한 반복사용(방호복, 제염지등), 공기구동 미소모성자재는 방사능관리구역내 전용화, 제염방법의 개선, 반감기기 극히 짧은 핵종으로만 오염된 폐자재는 방사능이 충분히 감쇄할 때까지 관리구역내에서 보관후 비방사성폐기물로 처리, 폐기물중에서 비방사성폐기물을 분류하여 일반 폐기물 처리, 방사성물질 취급자의 교육등을 통해 방사성폐기물의 발생량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다. 세계 각국은 제각기 현실에 맞는 방사성 폐기물 처리기술을 도입 또는 개발하여 방사성 페기물 처리기술을 도입 또는 개발하여 방사성 폐기물의 양을 감용하거나 최종 폐기물에 대해서는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또 처분은 각국의 지질이나 인문.사회적 환경을 고려하여 최적의 방안을 선택하여 최종처분하고 있다.

  • PDF

Analysis on the Oceanic Circulation and Pollutant Transport near a Wolsung Nuclear Power Plant (월성원전주변의 해수유동 및 오염물 이동해석)

  • Park, Geon-Hyeong;Kim, Ki-Chul;Lee, Jung-Lyul;Suh, Kyu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50-250
    • /
    • 2011
  • 지정학적으로 3면이 바다로 접하고 있는 우리나라 해안가 주변의 원자력발전소는 관류형 냉각 방식(Once-through cooling System)을 채택하고 있기에, 이 계통을 통과한 냉각수는 주변해역으로 흘러들어가 주변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동해 주변 인접국들의 활발한 원자력 이용과 방사능 물질의 수송 등으로 인해 방사능 사고 위험이 증대됨에 따라 동해 원전 주변의 해양방사성물질 거동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동해의 해양환경을 조사 분석하여 해역에서의 오염 물질의 거동 파악이 중요하고, 산업시설 주변 연안의 오염물 이동 및 해석을 위해 오염물의 시 공간적으로 농도를 추정하는 것이 중요한 사항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직 수평적으로 2차원 및 3차원화가 용이한 EFDC 모델을 사용하였다. 국립해양조사원에서 발간하는 DC103의 수치해도를 이용하여 모델영역은 동서방향으로 171km, 남북방향으로 235km로 설정하고, 격자간격은 $1km{\times}1km$의 정방향 격자를 사용하여 동해 월성 주변의 조위 시계열 검증 및 조화분석을 통한 검증을 실시한 결과 관측한 결과와 양호한 재현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제공되고 있는 년별 수온, 염분 자료 등의 해양환경과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오염 물질의 이동 경로를 파악함으로써 사고시 피해를 줄이고자 한다.

  • PDF

Korea's Response Strategy to Stop Japan's Plan to Discharge Fukushima Radioactive Water into the Sea: Policy suggestions for protecting territorial waters from radioactive materials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출 계획 저지를 위한 한국의 대응 전략: 방사성물질로부터 영해 수호를 위한 정책적 제언)

  • Lee, Jea-seong;Park, Kyoung-rok
    • Maritime Security
    • /
    • v.2 no.1
    • /
    • pp.125-149
    • /
    • 2021
  • Even 10 years after the Fukushima nuclear disaster, Japan has yet to solve the problems emerging from generating contaminated water every day. Japan has unilaterally decided to release nuclear wastewater in the sea despite Korea's concerns about safety as their radioactive water storage tanks reach the limits. Despite Korea's response, Japan is still preparing to discharge nuclear wastewater without fulfilling its obligations under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There are concerns about marine pollution caused by the radioactive materials from nuclear wastewater and invading Korea's maritime sovereignty. In particular, it is impossible to revers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pollution, so plans to discharge radioactive water must be prevented unless immediate safety is guaranteed. This study proposes Korea's response strategy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due to plans to release contaminated water. Korea should respond to Japan's release of nuclear wastewater in the sea in various ways through cooperation with Japan, provisional measures, and cooperation with neighboring countries.

  • PDF

Study on the Well Scenario of the LILW Disposal Facility in Korea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우물 이용 시나리오를 적용한 안전평가 연구에 대한 고찰)

  • Jeong, Mi-Seon;Cheong, Jae-Yeol;Park, Jin Beak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13 no.1
    • /
    • pp.63-72
    • /
    • 2015
  • The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generated in Korea is disposed of at Wolsong Disposal Facility. For the safety of a disposal facility, it must be assessed by considering some abnormal scenarios including human intrusion as well as those by natural phenomena. The human intrusion scenario is a scenario that an incognizant man of the disposal facility will be occurred by the drilling. In this paper, the well usage scenario was classified into the human intrusion event as the probability of the well drilling is very low during the man's lifecycle and then was assessed by using conservative assumptions. This scenario was assessed using the dilution factor of contaminants released from a disposal facility and then it was introduced the applied methodology in this study. The assessed scenario using this methodology is satisfied the regulatory lim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