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사성스트론튬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4초

수용성카이토산에 의한 마우스태반을 통한 태아로의 방사성스트론튬 급성 전이 억제 (Blocking the Acute Radiostrontium Transfer from Placenta In Fetus by Soluble Chitosan in Mice)

  • 김영호;범희승;김지열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237-250
    • /
    • 1997
  • 카이토산은 천연무독성 착화제의 일종으로 유전적 독성이 거의 없으며, 방사성스트론튬의 마우스 체내 축적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임신 17일째 마우스에서 방사성스트론튬 오염전 후에 수용성카이토산을 공급함으로써 오염 후 태반을 통한 태아로의 방사성스트론튬 급성 전이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용성카이토산 분말을 50일간 일반식이와 혼합하여 10% (Group 1), 1%(Group 2)를 공급하고 임신 17일째에 방사성스트론튬을 오염시킨 군의 경우 일반식이를 공급한 대조군과 방사성스트론튬 오염 후 카이토산 10%, 1%분말을 공급한 군(Group 3, Group 4)에 비해 태반을 통한 태아로의 방사성스트론튬 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관찰하였다(p<0.01, 표 1).본 실험을 통해서 임신 17일째에 방사성스트론튬에 오염된 임신마우스의 경우 천연무독성 착화제인 카이토산을 장기간 전처치하였을 경우 태반을 통한 태아로의 방사성스트론튬 전이를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마우스에서 칼슘 및 Chitosan metabolism이 방사성스트론튬의 체외배출 효과에 미치는 명향 (The Effect of Calcium and Chitosan Metabolism to the Excretion of Radiostrontium in Mice)

  • 김영호;범희승;김지열;노영복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9-14
    • /
    • 1997
  • 카이토산은 무독성 천연착화제의 일종으로 방사성스트론튬의 마우스체내축적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왔다. 스트론튬은 칼슘이온과 비슷한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hydroxyapatite에 쉽게 결합하여 제거하기가 어렵다. 본 실험에서는 카이토산과 칼슘이온을 처리하였을 경우 방사성스트론튬의 체외배출 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1% 카이토산 혹은 칼슘을 일반식이와 혼합하여 섭취시킨 후 방사성스트론튬을 관을 통해 구강으로 주입하였고, 방사성스트론튬 오염후 1% 카이토산 혹은 칼슘용액, 그리고 1% 카이토산과 칼슘을 혼합한 용액을 각각 구강주사하였다. 대조군은 카이토산 또는 칼슘을 처리하지 않았으며, 각각의 실험군은 10마리씩 7일간 관찰하였다.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변과 오줌 등을 통한 스트론튬의 체외배출이 높게 나타났으며 (p<0.01), 골조직 등의 침착율도 낮게 나타났다 (p<0.01). 칼슘 투여군과 카이토산 투여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카이토산 단독투여 군과 칼슘과 카이토산 동시 투여군 사이에는 방사성스트론튬 배설율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칼슘은 카이토산과 동일하게 입으로 오염된 방사성스트론튬 제거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스트론튬 선택적이온교환수지$(Sr.\;Spec^{TM})$를 이용한 환경시료중의 방사성 스트론튬의 분리 (Separation of Radiostrontium from Environmental Sample Using Strontim Selective Chromatographic Resin$(Sr.\;Spec^{TM})$)

  • 홍광희;이창우;최용호;이명호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1-7
    • /
    • 1995
  • 스트론튬선택성을 갖는 크로마토그래피용 수지인 $Sr-Spec^{TM}$을 이용한 환경시료중 토양시료와 물시료에 대한 방사성 스트론들 분리를 고찰하였다. 이 수지는 질산수용액에서 스트론튬과 큰 결합능력을 가졌으며, 다량의 칼슘원소의 존재에서도 스트론튬분리를 할 수 있는 선택성을 가졌다. 그러나 K나 Ba와 같은 방해원소에 의해서는 스트론튬 추출능력이 감소하였고, 때문에 토양시료중의 스트론튬 분석시에는 이러한 방해원소의 제거단계가 필요하였다. 그러나 물시료증 스트론튬분석에서는 이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간편하고 효율높게 분리할 수 있었다.

  • PDF

카이틴, 카이토산, EDTA, DTPA의 방사성스트론튬(Sr-85) 착화물 형성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Radiostrontium Chelation with Chitin, Chitosan, EDTA and DTPA)

  • 범희승;김영호;김지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91-395
    • /
    • 1998
  • 목적 : 방사성스트론튬은 핵사고시 방사성옥소, 방사성세슘 등과 더불어 환경 중으로 다량이 방출되어 환경 및 인체를 오염시키는 방사독소 중의 하나이다. 본 실험에서는 분자량이 서로 다른 카이틴 3종, 카이토산 3종, 인산카이토산 1종 등의 천연착화제와 EDTA, DTPA 등의 화학적착화제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통해 방사성스트론튬에 대한 착화율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실험에 사용한 카이틴 및 카이토산, 인산카이토산, EDTA, DTPA은 모두 수용성으로 생리식염수에 녹여 0.01% 상태로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컬럼은 PD-10 Sephadex G-25 M을 사용하였다. 착화물 형성비율은 전체 분획의 방사능 중 착화물의 분획이 차지하는 비율(%)로 산출하였다. 결과: 카이틴, 카이토산, 인산카이토산과 같은 천연착화제나 EDTA, DTPA 등의 화학적착화제 모두 pH 3, 5, 7에서 평균 90% 이상의 높은 착화율을 나타내었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천연착화제인 카이틴, 카이토산은 화학적착화제와 차이가 없이 방사성스트론튬에 대해 우수한 착화율을 보이므로, 무독성인 점을 감안한다면 방사성스트론튬 오염에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착화제라고 사료된다.

  • PDF

함침형 액막을 이용한 Calcium 함유 용액으로부터 Strontium의 선택적 분리 (Selective separation of Strontium in the solution containing Calcium by Supported Liquid Membrane)

  • 최영우;문승현;이창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9-15
    • /
    • 1999
  • 칼슘을 함유한 방사성 환경시료 용액으로부터 스트론튬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함침형 액막을 제조하여 그 분리특성을 고찰하였다. 운반체로 사용된 DC18C6과 DNNS의 농도에 따라 금속이온 투과도와 스트론튬 선택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0.1M DC18C6과 25mM DNNS을 함침시켜 제조한 액막의 경우에서 93.3%의 스트론튬 선택도를 얻을 수 있었다. 모의용액의 스트론튬에 대한 칼슘의 함량비가 1 : 25 - 1 : 50일 때 스트론튬 선택성이 9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조한 액막은 스트론튬 측정을 위한 해수 환경시료의 전처리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자연 토양에서의 방사성 핵종(Co, Sr)의 흡/탈착 거동 특성 평가 (Analysis of Sorption and Desorption Behaviors of Radionuclides (Cobalt and Strontium) in Natural Soil)

  • 천경호;신원식;최정학;최상준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대회
    • /
    • pp.485-49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자연토양에 대한 방사성 핵종(Co, Sr)의 단일 성분의 흡착 및 탈착 거동 특성과 Carboxymethyl-${\beta}$-cyclodextrin(CMCD)를 이용한 탈착저항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사성핵종의 흡착 거동을 살펴보기 위하여 흡착속도 실험과 등온 흡착 실험을 수행 하였으며, 흡착 실험 결과를 기존의 흡착 모델식에 적용하여 보았다. 탈착 실험은 일정한 pH와 이온강도 조건에서 CMCD를 주입하였을 때와 주입하지 않았을 때의 탈착경향을 비교분석 하였다. 흡착 실험 결과 자연토양에 대해 스트론튬(Sr)이 코발트(Co) 보다 흡착이 잘 되었고, 코발트, 스트론튬 모두 흡착 속도는 pseudo-second order model을, 그리고 등온 흡착결과는 Sips model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성 핵종의 탈착은 비가역적인 형태의 탈착거동을 보였으며, CMCD의 주입량 증가함에 따라 탈착도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