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사선 실험

검색결과 1,717건 처리시간 0.028초

소형 반도체 센서모듈 기반 방사선정보 원격 가시화기술 연구 (Remote Visualization of Radiation Information based on small Semiconductor Sensor Modules)

  • 이남호;황영관;허용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76-879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고준위 방사선구역의 방사능준위 분포를 원격에서 안전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사선량 측정기술의 구현에 관해 논하였다. 설계된 방사선량 매핑장치는 고준위 방사선환경에 위치하는 방사선 노드와 원격 전송된 방사선 정보를 그래픽화된 공간위치상에 가시화하는 방사선 스테이션으로 구성된다. 다수의 방사선 노드는 사고환경의 방사선량 정보를 pMOSFET 센서로 센싱하여 무선정보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방사선 스테이션에서는 방사선 노드로 부터 수신된 방사선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결합하여 현장을 모사한 그래픽 공간상에 실측 방사선분포 정보 가시화하게 된다. 제작된 방사선 노드를 실험실 공간에 부착하고 원격 방사선 정보가시화 프로그램을 통하여 방사선정보 매핑하는 실험을 통하여 원격방사선가시화 장치의 기능을 검증하였다.

  • PDF

디지털 흉부 방사선 영상에서 Hybrid Filter와 Inverse Filter를 적용한 종양의 검출능 평가 (Evaluation of Cancer Detection Efficiency by Means of Hybrid and Inverse Filter in Chest Radiography)

  • 김윤영;김태영;김현지;박민석;김정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6권4호
    • /
    • pp.319-32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흉부단순사진에 있어서 종양그림자의 검출에 대한 흑백 Inverse image과 Hybrid image의 유용성을 ROC해석으로 검토하였다. 증례의 선택은 일본방사선기술학회가 발행한 표준 Digital 영상 Date Base로부터 30장을 선택 하여 original image로 하였다. c언어를 통해 Inverse image는 60장, Hybrid image는 30장 제작하였다. 실험방법으로 연속 판독실험을 하였고, ROC실험 display program은 Matlap을 통하여 작성하였다. 관찰자의 수는 Inverse image의 경우 방사선사 5명과 방사선의 2명, 합계 7명으로 실험하였다. Hybrid 영상의 경우, 방사선 전공자 3명과 숙련된 방사선사 2명, 합계 5명으로 실험하였다. ROC곡선은 Metz가 작성한 ROCKIT Program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Inverse image의 경우 관찰자 7명 전원, 방사선과의 2명, 방사선사 5명의 평균 ROC곡선의 Az는 각각 original image의 0.742, 0.793, 0.721에서, Inverse image의 0.775, 0.821, 0.753까지로, 통계적 유의차로 증가하였다. Hybrid image의 경우 관찰자 5명 전원, 숙련된 방사선사 2명, 방사선학 전공자 3명의 평균 ROC곡선의 Az는 각각 original image의 0.525, 0.491, 0.5478에서, Hybrid 영상의 0.4868, 0.539, 0.450로 변화 하였다. 결론적으로, 흉부단순사진에서 종양의 검출에 관하여, Inverse image은 유의하지만, Hybrid 영상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주달개비 수술털에서 방사선에 의해 유발되는 분홍돌연변이에 대한 광주기의 영향 (Effect of Photoperiod on Radiation-Induced Pink Mutations in Tradescantia Stamen Hairs)

  • 김원록;김진규
    • 환경생물
    • /
    • 제17권3호
    • /
    • pp.331-335
    • /
    • 1999
  • 광주기가 방사선에 의해 유발된 자주달개비 체세포돌연변이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포트에서 생육된 Tradescantia 4430 식물체에 코발트 선원으로부터 0.3, 0.5및 1.0Gy의 감마선을 조사하였으며 수술털 세포에 나타나는 분홍돌연변이를 분석하였다. 감마선 0.5 Gy를 기준선량으로 평가하였을 때 대조 실험군(CT)은 방사선 조사 후 6일 경과시부터 돌연변이율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조사 후 10일째에 최고값에 도달하였다. 명기가 20시간인 실험군(PP20)에서는 방사선 조사 후 6일 경과시부터 돌연변이율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조사 후 9일째에 최고값에 이르렀다. 반면에 명기가 4시간으로 제한된 실험군(PP4)에 있어서는 조사 후 10일째부터 돌연변이율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16일 경과시 최고값에 도달하였다. CT실험군에 있어서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유발되는 분홍돌연변이 빈도의 증가계수 5.99($r^2$=0.99)에 비해 PP20과 PP4 실험군에 있어서의 각각의 돌연변이 빈도 증가계수는 6.93 ($r^2$=0.98)과 11.74($r^2$=0.99)로 PP20 실험군에 있어서는 15.7%, PP4 실험군은 95.9%의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비정상적인 광주기는 자주달개비 수술털에 대한 이온화 방사선의 분홍돌연변이 유발효과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방사선에 의한 세포 유전자 손상의 회복을 상당기간 지연시키는 원인이 된다.

  • PDF

자주달개비 수술털에서 방사선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손상에 대한 살충제의 방어효과 (Protective Effect of Pesticide on Radiation-Induced Cell Damage in Tradescantia 4430 Stamen Hairs)

  • 김진규;김원록;이창주;장화형;이영근
    • 환경생물
    • /
    • 제17권1호
    • /
    • pp.21-26
    • /
    • 1999
  • 살충제와 방사선이 자주달개비 수술털 돌연변이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을 평가하였다. 포트에서 생육된 Tradescantia 4430 식물체에 코발트 선원으로부터 0.3, 0.5, 1.0 및 2.0 Gy의 감마선을 조사하였다. 살충제는 감마선 조사 24시간 전에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파라치온 유제를 살포하였다. CT 실험군과 Pa+${\gamma}$실험군에 있어서의 돌연변이 빈도가 증가한 고조기간은 방사선 조사 후 7 ~ 11일로 돌연변이 빈도는 방사선량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반응관계를 보였다. CT 실험군에서의 선량반응식 기울기 (증가계수)는 5.99 ($r^2$=0.988)이었으나, Pa+${\gamma}$ 실험군의 증가계수는 3.43 (r$x^-2$=0.981)으로 CT 실험군의 값에 비해 현격히 낮았다. 즉 Pa+${\gamma}$ 실험군이 CT 조사군에 비하여 방사선에 의한 돌연변이 유발 증가율이 43%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살충제 전처리가 방사선에 의한 세포유전물질 손상을 오히려 저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낸 것이기 때문이다. 이 같은 실험결과는 두 가지 불리한 자극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때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공조작용과는 상반되는 결과이며 오히려 파라치온 전처리에 의해 식물체가 보다 강한 자극에 대비할 수 있도록 유도되는 적응반응이 유발되었거나 방사선효과에 대한 변화작용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 PDF

Bolus tracking 기법을 이용한 복부 CT 검사 시 조영제 도달시간에 따른 환자 피폭선량 감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tion of Patient's Exposure Dose according to the Arrival Time of Contrast Media in Abdominal CT Scan using Bolus Tracking Technique)

  • 이승용;한동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93-100
    • /
    • 2021
  • 본 연구는 bolus tracking 기법을 이용한 복부 CT 검사 시 환자 피폭선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 인자를 통해 지연시간을 조절하여 추후 bolus tracking 기법을 이용한 복부 CT 검사 시 환자의 방사선 피폭선량을 감소시키는 목적이 있다. 실험은 두 가지로 나누어 실시하였고, 첫 번째 실험은 환자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남자 188명, 여자 112명, 평균나이는 58±12.18세(19~85세)이었다. 대상자의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심박동수에 따른 조영제 도달시간(Arrival time)을 측정하였고, 영향 인자 그룹별 도달시간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영향 인자에 따른 지연시간을 정하여 두 번째 실험에 적용하였다. 두 번째 실험은 첫 번째 실험 대상자 중 추적검사를 시행하는 150명(남자 100명, 여자 50명)을 대상으로하였고, 영향 인자에 따른 지연시간을 적용하여 적용 전·후 선량을 비교하였다. 첫 번째 실험 결과 조영제 도달시간과 심박동수가 관계가 있었고, 두 번째 실험 결과 심박동수에 따른 지연시간 적용 전·후 CTDIvol와 DLP 의 평균선량은 남자 4.98 mGy, 5.33 mGy·cm 감소하였고, 여자 3.53 mGy, 3.88 mGy·cm 감소하였다. 따라서 bolus tracking 기법을 이용한 복부 CT 검사 시 환자의 심박동수에 따른 지연시간 적용으로 방사선 피폭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Tc-99m을 이용한 이동특성 실험

  • 서경석;김기철;박건형;정성희
    • 대한방사선방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11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및 심포지엄
    • /
    • pp.110-111
    • /
    • 201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