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사선학적 평가

검색결과 772건 처리시간 0.028초

X-선 조사로 생긴 흰쥐 폐장 상해의 형태학적 변화: Captopril에 의한 폐장 상해의 경감 효과 (Histomorphologic Change of Radiation Pneumonitis in Rat Lungs : Captopril Reduces Rat Lung Injury Induced by Irradiation)

  • 김진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238-248
    • /
    • 1999
  • 목적 : 방사선조사 후 발생하는 폐손상을 형태학적 측면에서 평가하고 captopril의 방사선조사 후 폐손상의 경감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captopril의 방사선에 의한 폐손상의 영향에서 TNF-${\alpha}$와 TGF-${\beta}$의 변화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Sprague-Dawley 종 수컷 흰쥐 30마리를 골라 방사선조사만 한 군, 방사선조사 후 captopril을 투여한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방사선조사는 10 Gy, 20 Gy, 30 Gy를 우측 폐에 조사하였다. 방사선 단독 조사군은 방사선조사 후 각각 12 시간, 11주 후에 도살하고 방사선조사 후 captopril을 투여한 군(captopril 500 mg/L를 증류수에 타서 먹임)은 11주(fibrotic period) 후에 도살하여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 방사선조사 후 12 시간내의 실험군의 폐는 부분적으로 폐실질의 허탈과 경화가 방사선조사량이 많아질수록 그 정도와 범위가 증가하였다. 방사선조사 후 11주에는 방사선 단독 조사군에서 폐섬유화의 정도와 범위가 방사선조사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고 captopril을 함께 사용한 군에서 방사선조사 단독군에 비해 폐섬유화의 경감효과가 현저하였다. 방사선 단독군에서는 방사선량이 많아질수록 비만세포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Captoprll을 사용한 군이 사용하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비만세포 수의 증가 정도는 현저히 낮았고 교원질 침착의 정도도 현저히 감소되었다. TNF-${\alpha}$, TGF-${\beta}$는 방사선조사 직후(12 시간) 군에서는 방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방사선조사 후 11주군에서는 TGF-${\beta}$는 방사선량이 많아짐에 따라 그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captopril 투여군에서는 그 발현이 다소 감소하였다. Captopril을 사용한 군에서는 교원질의 양은 증가하였으나 방사선 단독군에 비해 교원질의 양이 적었고 혈관주위 비후의 정도와, 모세혈관의 변화정도, mast Cell의 수와 탈과립, 섬유모세포의 수도 적었다. 결론 : 방사선조사후 방사선 폐렴에서 captopril 영향은 방사선에 의한 비만세포의 출현을 억제시키고 교원질의 침착을 감소시킴으로써 방사선에 의한 섬유화를 예방할 것으로 생각된다. TNF-${\alpha}$와 TGF-${\beta}$의 발현은 방사선조사 후 초기에 증가하며 TGF-${\beta}$는 방사선조사 후 만성기에 방사선량이 많아질수록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Captopril이 방사선조사 후 발생하는 폐손상을 감소시키는 기전을 밝히는 향후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양성 성상세포종의 방사선치료 (Radiotherapy for the Low-grade Astrocytomas)

  • 김대용;김일한;지제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1-7
    • /
    • 1995
  • 목적 :양성 성상세포종에 대한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고 방사선치료 결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규명한다. 방법 : 1979년 부터 1990년 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개두술(36예) 또는 조직생검(10예) 등을 통하여 양성 성상세포종임을 확인한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46명의 치료성적을 분석하였다. 20명은 세계보건기구에서 설정한 조직 분화도 I등급이었고 26명은 II등급이었다. 방사선치료는 통상적 분할 치료법에 따랐으며 총방사선량은 45 내지 60Gy(중앙값 54Gy)이었다. 추적관찰기간의 중앙간은 60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환자 46명의 2년 및 5년 생존율은 $80\%$$72\%$이었고, 2년 및 5년 무진행 생존율은 $75\%$$63\%$이었다. 조직학적 분화도가 유의성이 가장 큰 예후 인자임이 확인되었으며 조직학적 유형과 운동수행능력 또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방사선 치료에 따른 중증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 생존율은 양호하였으나 치료 실패의 주요소는 국소적 종양치유 실패였다. 확인된 3종의 양호 한 예후인자와 아울러 연령 및 수술적 절제범위 등도 향후 치료방침 결정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방사선 치료중인 암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정신과 장애의 관련성 (A Relation between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ancer Patients on Radiotherapy and Psychiatric Disorders)

  • 김호찬;문창우;박시성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1호
    • /
    • pp.134-141
    • /
    • 1999
  • 연구목적 : 암환자에서는 암의 임상적 특성이나, 치료방법에 따라 다양한 심리적인 문제들이 발생한다. 특히 방사선 치료는 다른 방법의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서 볼 수 없는 다른 심리적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정서적 고통과 갈등이 가중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방사선 치료중인 암환자들에게는 어떠한 정신과 장애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고, 정신과 질환이 암과 관련된 다양한 임상적 특성과 어떠한 연관성을 지니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방사선 치료를 위해 치료방사선과에 입원한 암환자 47명을 대상으로 하여. DSM-IV 진단기준에 따라 정신과 장애를 평가하고, 환자들의 인구학적 자료, 암의 부위, 이환기간, 재발횟수 등의 임상적 특성, 암환자의 암에 대한 인지여부, 치료결과에 대한 기대 등의 요인과 정신과 장애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 1) 21 명(44.7%)의 환자가 정신과 장애를 가지고 있었다. 적응장애가 14명(66.7%)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5명(23.8%)의 환자에서 동반된 주요 우울장애였다. 2) 성별, 연령, 학력, 결혼상태, 종교 등의 인구학적 변인과 정선과적 장애와의 관련성은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3) 암의 부위별로는 골반부에 위치하는 암이 22명(46.8%)으로 가장 많았으며, 암의 부위, 이환기간과 정신과 장애와의 유의한 관련성은 없었다. 4) 암의 재발에 있어 재발의 증거가 없는 경우에 비해 재발한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신과 장애의 이환율이 높았다. 5) 암의 인지여부와 정신과 장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은 없었다. 6) 치료결과에 대한 기대와 관련하여, 방사선 치료가 단지 보조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군이 방사선치료에 의해 완치될 것으로 생각하는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신과 장애의 이환율이 높았다.

  • PDF

감마선 조사된 장류 물추출 분획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Genotoxicological Safety on Water-Soluble Fraction of Gamma Irradiated Korean Soybean Fermentation Foods)

  • 육홍선;이은미;김동호;이경행;변명우;이현자;이영남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97-303
    • /
    • 2000
  • 우리나라 전통 장류인 간장, 된장, 고추장, 청국장의 위생화를 위한 방사선 조사기술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방사선 조사를 실시한 후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실험의 일환으로 Ames test를 실시하였다. 감마선 조사 및 비조사된 간장, 된장, 고추장, 청국장 물추출 분획의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및 TA1537에 대한 복귀변이 집락수를 조사한 결과, 대사활성계 도입 및 부재시 모두, 모든 시험균주에서 시험적용 농도인 10,000 $\mu\textrm{g}$/plate까지의 농도에서 복귀변이 집락수의 농도 의존적인 증가 혹은 감소를 보이지 않아 20 kGy의 고선량 감마선 조사된 간장, 된장, 고추장, 청국장은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Healing of mandibular through-and-through osseous defects by Guided Tissue Regeneration in ferrets

  • 백승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4권10호통권329호
    • /
    • pp.742-751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관통된 뼈의 결손부위를 각기 다른 membrane(Gore-tex, Vicryl, Guidor)을 사용하여 보다 나은 골 재생을 얻을 수 있는 가를 평가하는 데 있다. 여섯 마리 흰 족제비의 12개 하악 소구치를 근관치료한 후, 치근단 절제술을 실시하여 $3mm\times5mm$ 크기의 관통된 뼈의 결손을 소구치의 근첨부에 형성하였다. 전부 12개의 결손부위가 형성되었고, 이를 3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으로 결손부위를 membrane barrier없이 점막골막피판으로 덮었다. 다른 각 군은 결손부위를 각 Gore-Tex, Vicryl, Guidor membrane을 사용하여 설측과 협측 모두 덮었다. 각 군을 치유기간 6주와 12주로 두 아군으로 분리하였다. 방사선학적 소견으로 6주군에서 대조군은 $65\%$, Gore-Tex군은 $90\%$, Vicryl군은 $95\%$, Guidor군은 $65\%$의 결손부위의 치유를 보였다. 12주 군에서 대조군은 $80\%$, Gore-Tex군은 $95\%$, Vicryl군은 $95\%$, Guidor군은 $90\%$의 치유를 보였다. 조직학적 소견으로 대조군에서는 완전한 골 재생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결손부위로 결합조직이 자라들어온 것이 관찰되었다. Gore-Tex 6 주군에서는 대부분 fibrillar bone이 관찰되었고, 12 주군에서는 부분적으로 lamellar bone이 형성되었다. Vicryl군에서는 거의 완전한 골의 재생이 관찰되었다. 6주군에서는 재생된 뼈는 fibrillar bone이고 부분적으로 lamellar bone을 관찰되었고, 12주 군에서는 주로 lamellar bone으로 구성되었다. Guidor군에서는 제한적인 골 재생과 함께 심한 염증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조직재생유도술은 일반적으로 골 재생을 증진시킴을 볼 수 있었고, Vicryl membrane이 가장 뛰어난 골 재생유도 가능성을 보였다.

  • PDF

식도에 발생한 거대 섬유혈관성 용종 (Giant Fibrovascular Polyp of the Esophagus -A Case Report-)

  • 오삼세;심영목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6호
    • /
    • pp.675-680
    • /
    • 1996
  • 52세된 남자 환자가 2개월 전부터 시작된 연하곤란을 호소하면서 내원하였다. 방사선학적 검사상 상 당한 크기의 식도강내 종괴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식도 내시경검사에서는 병 변을 확인할 수 없었다 수 술은 종괴의 크기가 클 뿐만 아니라 해투학적 특성에 대한 정 확한 술전 평가가 어려웠던 관계로 개홍술 을 퉁해 식도강내 거대 용종을 절제하였다. 유경성의 식도강내 용종은 매우드문 질환으로 비교적 천천 히 자라며 그 대부분은 윤상인두근 근처에서 기시하는 양성 식도종양으로 종종 매우 큰 크기로 발견된 다. 임상증상은 대부분의 경우 종괴가 자라 식도내강이 폐쇄되면서 생기나 비특이적이다. 때때로 종괴 가구강 속으로 역류하여 기도를 폐쇄하게 되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하며 치료는 외과적 절제가 원칙이다.

  • PDF

정위방사선수술 시스템의 임상 적용을 위한 QA (QA of a stereotactic radiosurgery system for clinical application)

  • 조병철;오도훈;배훈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0권2호
    • /
    • pp.89-94
    • /
    • 1999
  • BRW 정위프레임을 사용하여 정위방사선수술을 시행하기 위해 1) 정위방사선수술용 원형 콜리메이터, 2) 혈관조영술을 통하여 치료 위치 결정을 위한 localizer, 3) 결정된 치료위치를 치료기에서 조준하기 위한 target localizer, 4) 정위방사선수술용 컴퓨터 치료계획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정위방사 선수술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자체 개발한 정위방사선수술 시스템의 임상 적용에 앞서, 인체 모형 팬톰 및 QA용 팬톰을 사용하여 일련의 모의 치료를 시행하여 봄으로써 위치 오차의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1) 기하 팬톰을 이용한 컴퓨터 치료계획 시스템의 위치 확인 정확도는 평균값, Avg.=(equation omitted)이 1.0mm 이었으며, 2) 치료기의 중심점의 기계적 정밀도는 0.6 $\pm$ 0.2 mm, 3) 컴퓨터단층촬영 및 혈관조영술을 이용한 가상 타켓의 위치 계산의 차이는 0.8 mm 크기 차이는 1.5 mm 로 분석되었고, 4)전 치료과정에 대한 위치오차는 0.9$\pm$0.3 mm 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 저자들이 개발한 정위방사선수술 시스템의 기하학적 위치에 대한 정확도는 임상 적용에 적정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정확도의 유지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QA가 필수적이라 하겠다.

  • PDF

감마선 조사된 채취 미역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Genotoxicological Safety of Undaria pinnatifida Gamma-irradiated after Harvest)

  • 최종일;김재훈;송범석;김재경;이주운;전병수;안동현;변명우;박경숙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1-86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enotoxcity of gamma-irradiated Undaria pinnadifida after harvest for enhancing the storage and microbial safety during drying process. The harvested seaweed was irradiated with the doses of 1 and 10 kGy. The genotoxicity was evaluated by Ames test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 and SOS chromotest. The results from all samples were negative in the bacterial reversion assay with S. typhimurium TA98 and TA100. No mutagenicity was detected in the assay, at both with and without metabolic activation. The SOS chromotest also indicated that the gamma-irradiated U. pinnadifida did not show any mutagenicity. Therefore, this study indicated that gamma irradiation could be used for extending the shelf-life of U. pinnadifida.

소형견에서 소장 직경의 방사선학적 평가 (Radiographic Evaluation of Small Intestinal Diameter in Small Breed Dogs)

  • 최호정;김수찬;이영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01-305
    • /
    • 2012
  • 기초 검사를 통해 위장관계와 위장관 운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전신 질환이 없는 12 두의 5 kg 이하의 소형견들을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조영 전 단순 방사선 검사를 실시한 후, 30% 바륨을 체중 kg 당 12cc 를 위관 튜브를 통해 주입하였다. 그 후 일련의 방사선 사진을 촬영한 후, 우측횡와상과 복배상을 촬영하여 소장에 조영제가 골고루 분포된 사진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PACS viewer에서 우측횡와상 방사선 사진을 확대하고 대비도를 조정하여 조영된 장과 비교하고자 하는 해부학적 구조인 5번째 요추의 윤곽선이 뚜렷이 영상화되도록 한 후, 내장된 전자 caliper를 이용하여 최대 장직경과 5번째 요추의 가장 좁은 부분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복배상에서 역시 장직경과 12번째 늑골의 가장 넓은 부위의 경을 측정하였다. 위의 측정치를 소장과 요추 비율 (SI/L5 ratio) 그리고 소장과 늑골 비율 (SI/Rib ratio)로 명명하여 주로 대형견의 자료인 이전 연구와 비교평가하였다. 소형견에서의 SI/L5 ratio의 범위는 조영전 1.03-2.26 그리고 조영후 1.55-2.5 였으며, SI/Rib ratio는 조영전 2.16-4.52, 그리고 3.67-6.04 였다. 이는 이전부터 사용되어 오던 상위 한계인 SI/L5 ratio 1.6과 SI/Rib ratio 2 보다 높은 수치이며, 이러한 차이는 대형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골격구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소형견에서는 정상 소장과 요추 비율의 상위 한계가 1.8배이며, 2.1배 이상일 경우 기계적 폐색을 의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미성숙 영구 전치의 외상 후 MTA를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 : 후향적 연구 (MTA APEXIFICATION OF TRAUMATIZED IMMATURE PERMANENT INCISORS: A RETROSPECTIVE STUDY)

  • 정서영;안병덕;홍소이;공은경;마연주;정영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7-24
    • /
    • 2011
  • 미성숙 영구 전치에서 MTA를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의 예후를 평가하기 위해, 영구 전치의 외상으로 MTA를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을 받은 환자 중 최소 3개월 이상의 경과 관찰이 시행된 환자 49명, 치아 64개의 의무기록과 방사선 사진을 검토하였다. 환자 정보, 치아 및 치주조직 외상 위치와 유형, 치료 전 치근단 병소 유무, 임상 증상 유무, MTA 충전 상태, 치근단 형성술 이후 치근단 병소 치유 및 치근단 경조직 장벽 형성 여부를 조사하고, 임상적, 방사선학적 성공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64개의 미성숙 영구전치에 시행된 MTA를 이용한 1-visit 치근단 형성술은 89.1%의 임상적 성공률과 73.4%의 방사선학적 성공률을 보였다. 2.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에 행해진 MTA를 이용한 1-visit 치근단 형성술 비교시 상악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3. 치아 외상 및 치주조직 외상 유형에 따른 성공률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MTA의 적절한 충전 여부는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