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문객 정보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32초

RFID와 CDMA 기반 방문객 관리 시스템 (A Visitor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and CDMA)

  • 강남규;하상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45-747
    • /
    • 2007
  •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여 객체를 자동으로 식별하는 전자 태그 기술인 RFID는 최근에 다양한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논문에서는 RFID의 식별자 기능과 CDMA 기술을 이용한 부재중 방문객 관리 시스템을 개발한다. 시스템은 RFID에 기반하여 부재중 방문객을 식별하고, CDMA를 이용하여 방문객과 피방문객간에 SMS 메시지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한다. 시스템은 특징은 방문객과 피방문객이 개인 정보를 노출시키지 않고서 간접적으로 대화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다. 논문에서는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고, 그 실행 예를 보인다.

  • PDF

웹 로그(Web Log) 분석을 통한 정보의 활용

  • 김석기;안정용;한경수;한범수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3-127
    • /
    • 2000
  • 인터넷이 데이터 저장 및 서비스를 위한 도구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웹 서버 방문객에 대한 정보인 로그가 발생된다. 이러한 로그는 방문객 주소, 참조 페이지, 방문 시각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웹 로그에 대하여 패턴분석(pattern analysis), 군집분석(clustering), 판별분석(classification) 등의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방문객이 관심을 가지는 항목이나 항목간의 연관관계 등 새로운 정보를 생성하여 웹 디자인 또는 비즈니스에의 적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 로그 분석에 대하여 소개하고 웹 로그 분석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편안한 박물관 관람을 위한 관람 경로 탐색 및 혼잡제어 알고리즘 (Viewing Path Search and Congestion Control Algorithms For Comfortable Museum Viewing)

  • 서윤득;안진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31-137
    • /
    • 2010
  • 현재 많은 박물관들이 유비쿼터스 기술과 함께 자신의 형태를 바꾸어 가고 있다. 기존에 유물에 부착된 정적인 텍스트 기반 정보만을 방문객에게 제공하는 전통적인 박물관과 달리, 이러한 유비쿼터스 박물관은 각종 PDA 혹은 휴대폰을 통해 유물에 대한 텍스트 정보뿐만이 아니라 음성, 동영상 등의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유비쿼터스 박물관은 각 방문객에게 유물 중심적인 정보만을 매우 단편적인 방법으로 제공하는 데 그치고 있다. 이러한 불리한 특성은 모든 방문객에게 획일적인 관람경로만을 제공하여 전시실의 혼잡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성은 방문객에게 자신의 선호를 고려하여 보다 다양하고 유용한 유물 정보 제공에 대한 가장 큰 장벽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방문객의 선호도에 따라 편안한 박물관 관람을 제공하는 새로운 최적의 관람 경로 검색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방문객의 박물관 관람 시 방문객들이 몇몇 쏠림 지역으로 모이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박물관 관람의 편안함을 최대로 향상시키도록 한다.

자연환경 기반형 관광.휴양목적지 시설물에 대한 방문객 공간인지도 분석 - 남이섬 관광지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Spatial Cognition of Visitors to Natural Environment-based Tourism.Resort Facilities - A Case Study of NAMI Island -)

  • 최영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96-404
    • /
    • 2013
  • 본 연구는 관광지 시설물에 대한 방문객의 공간인지도 분석을 통해 방문객의 공간인지도 향상을 위한 시설물 계획 및 관리적 측면의 개선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방문객의 시설물에 대한 공간인지도와 시설물 특성 및 방문객 특성 등의 공간인지도 영향요소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남이섬 관광지 방문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시설물 유형, 입지 등의 시설물 특성과 성별, 연령, 안내지도 사용 등의 방문객 특성이 방문객의 공간인지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이섬의 경우에는 식 음료시설에 대한 매력성, 상징성 강화 등의 재정비가 요구되며, 종반부 시설물에 대한 정보제공 시설의 추가설치 및 재배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지 시설물의 효율적인 계획과 관리를 위해 시설물 및 방문객 특성 등의 공간인지도 영향요소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반영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방문객의 공간인지도는 관광지의 공간적 성격과도 연관성이 있으며, 여성의 공간인지도 향상을 위해 시설물의 독특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지 시설물의 계획과 관리에 있어 관광지 정보제공 기능이 관광지의 공간구조의 복잡성과 관계없이 방문객의 공간인지도 향상을 위해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축제 운영요원의 내부만족이 방문객의 축제만족에 미치는 영향 - 청주직지축제를 중심으로 - (Effect of Visitors' Satisfaction on Internal Satisfaction of Festival Operation Staff - Focused on Cheongju Jikji Festival -)

  • 이익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73-380
    • /
    • 2009
  • 본 연구는 축제 운영요원의 내부만족이 방문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축제 방문객 만족도 향상을 위한 마케팅 전략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축제 운영요원의 내부만족은 지역문화이해도 증진, 행사장 쾌적성, 휴식 공간 만족도, 안내시설 편리성 등의 방문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축제 운영요원의 내부만족이 방문객의 축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분석한 학문적의의와 축제 마케팅 담당자들에게 고객만족경영을 위한 새로운 기초정보를 제공한다는 실무적 의의가 있다.

생태체험마을 방문 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 (Segmenting Ecotourism Village Visitors by Motivation)

  • 김경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3호
    • /
    • pp.25-52
    • /
    • 2014
  • 본 연구는 생태체험마을 방문객을 방문 동기에 따라 시장세분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6개의 생태체험마을에 방문한 20세 이상의 방문객 25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요인분석결과 생태체험마을 방문 동기는 휴식, 모험, 자연체험, 가족여행으로 나타났으며, 군집분석 결과 다목적추구형(45.3%), 휴식추구형(34.6%), 가족체험추구형(20.1%)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는 연령, 월소득, 직업, 학력, 결혼여부에서 군집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광행동 특성별로는 거주지와 정보획득경로, 지출비용, 동반자에서 군집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체험추구형의 경우 40대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생태체험마을 방문객의 세분시장별 특성을 바탕으로한 운영과 마케팅 전략으로 생태체험마을 방문객의 만족을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여행박람회 방문객의 추구편익과 서비스품질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2012 하나투어 여행박람회 방문객을 대상으로- (Influence of Travel Show Visitor's Benefit Sought and Service Quality on the Behavioral Intentions -Focused on Hanatour International Travel Show Visitors 2012-)

  • 이강욱;지명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447-458
    • /
    • 2012
  • 본 연구는 여행수요 증가에 따른 여행관련 업체들의 홍보수단 가운데 하나로 활용되고 있는 여행박람회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추구편익과 서비스품질이 행동의도인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여행박람회를 기획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2년 하나투어 여행박람회 방문객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203부의 유효설문지를 바탕으로 분석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과 AMO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여행박람회 방문객의 추구편익은 행동의도인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행박람회 방문객의 서비스품질은 행동의도인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행박람회 주최자는 서비스품질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매년 반복되는 여행박람회가 중요한 관광자원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계룡산국립공원에서의 이용객 형태와 이용 및 관리속성에 대한 이용객 태도 (Visito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to Park Use and Management Attributes in Kyeyongsan National Park, Korea)

  • 유기준;김동필;김용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24-331
    • /
    • 2001
  • 본 연구는 계룡산국립공원을 방문한 이용객들의 전반적이 이용형태, 이용만족도, 그리고 이용 및 관리 관련 속성에 대한 태도를 파악함으로서 효율적인 공원관리방안 수립에 필요한 기초 정보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응답자 직접기입 방식의 설문조사가 계룔산국립공원의 3개지역 (동학사. 갑사, 신원사)를 방문한 316명의 이용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타국립공원에서 실시된 조사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계룡산국립공원은 휴식 목적의 방문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동반자 유형에 있어서 가족동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들은 도착지에서의 이용정보의 질과 제공수단에 불만족을 나타냈으며 응답자들이 현지에서 느낀 혼잡의 정도는 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전반적인 휴양만족도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 PDF

유로피아나 모델 기반 지역 축제 정보 플랫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gional Festivals Information Platform based on the Europana Model)

  • 박성환;최희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1-162
    • /
    • 2017
  • 지방자치제 실시 후 지역 축제는 꾸준히 증가하였다. 2014년을 기준으로 봤을 때 1,214개의 축제가 개최되었고, 1억 3,125만 명이 지역 축제를 방문하였다. 이처럼 축제에 대한 접근성은 높아졌으며, 주변에서 흔히 관람하고 직접 체험할 수 있게 되었다. 반면 지역 축제 정보에 대한 접근성은 높지 않았다. 축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려면 지역의 오프라인 홍보, 지역 축제 포스터 또는 각 지자체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정보를 검색해야 했다. 축제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축제형 아카이브(플랫폼)를 개발해야 한다. 축제형 아카이브는 지역 축제를 지역별, 분야별, 주제별 기준을 설정하여 축제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실제 진행되었던 축제의 동영상을 보여줄 수 있는 플랫폼의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 축제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기존의 방문객보다 더 많은 방문객의 방문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산지습원 무제치늪의 탐방객 특성 (Visitor Characteristics of the Mujechi Bog)

  • 김영민;김지윤;오기철;주기재;도윤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62-266
    • /
    • 2016
  • 본 연구는 산지 습원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을 위한 관리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정족산 무제치늪의 방문객 데이터를 이용하여 습지를 방문하는 방문객 추이를 분석하였다. 2007년, 2011년, 2015년의 방문일지 기록 중 방문 일자, 나이, 주소(시 단위), 방문목적, 방문시간, 방문 수단을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방문객 연령 분포에서는 장년층인 50대 36.8%(491명/1332명, 3년 전체 방문객 수)와 40대(30.4%)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거주지는 울산이 880명(67%/1332명, 3년 전체 방문객 수)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16.6%)과 양산(10.8%)에 거주하는 방문객이 많았다. 반면, 경상권 이외 지역의 방문객은 낮은 비율(1.8%)로 나타났다. 방문객들은 등산(39.0% ~ 64.4%)과 습지 탐방(18.7% ~ 51.8%)등 여가활동 목적으로 대부분 무제치늪을 방문하였고 그에 따라 방문시기는 주중에 비해 주말에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F=6.19, p<0.002). 뿐만 아니라 월별, 계절별 방문객 차이도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무제치늪의 경우에는 5월의 방문객 비율이 $15.6{\pm}2.8%$($mean{\pm}S.D.$)으로 다른 달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계절적으로는 봄과 가을의 방문객이 다른 계절에 비해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F=5.55, p<0.001). 이는 정족산 일대 넓게 분포하는 진달래와 철쭉 류의 개화시기에 맞춰 방문객들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무제치늪과 같은 산지 습원의 경우에는 등산객과 방문객들로 인해 야기되는 토사 유입과 답압 등으로 습지생태계의 평형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습지 주변 통행로에 대하여 휴식년제 혹은 계절적 출입제한을 통해 습지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교란을 줄이고 습지 탐방을 목적으로 한 방문의 경우 감시원의 지도하에 제한적으로 출입을 허용하는 등의 관리 방향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