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과후학교

Search Result 9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초등 방과후학교 교구로봇 시범사업 현황 분석 (Analysis on the Status of the Pilot Project to Spread Hands-on Robots in Elementary After-School)

  • 김덕관;류영선;한정혜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59-262
    • /
    • 2010
  • 지식경제부에서는 학교교육의 다양성 확대를 지원하고 체계적인 로봇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초등학교 68개교를 대상으로 교구로봇과 교사 연수 등 교사의 로봇활용 지원체제를 구축한 후 교구로봇 시범교육사업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 방과후학교의 교구로봇 시범교육사업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교구로봇 확대사업에 대한 기초 자료 분석결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시범교육사업 대상학교의 교육 개설 현황, 교구 및 교재 이용, 교 강사 현황과 학생만족도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의 창의력 향상, 로봇에 대한 관심 증대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높은 집중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교재, 교구에 대한 개선 요구사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교재와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교구의 구성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CIPP 평가모형에 따른 초등학교 방과후 컴퓨터교육의 효과성 분석 (The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s After School Computer-Education by Using CIPP Evaluation Model)

  • 김보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4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2호
    • /
    • pp.253-256
    • /
    • 2011
  • 이 연구는 국내 초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방과후 컴퓨터교육의 운영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파악함으로써 방과후 컴퓨터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방과후 컴퓨터교육에 관련한 문헌조사 및 컴퓨터교육의 운영에 대한 CIPP평가모형을 적용한 설문조사, 지도교사 집단면담 등을 토대로 방과후 컴퓨터교육의 운영성과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현행 방과후 컴퓨터교육은 대체로 바람직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각 평가항목별 구체적인 분석결과 수준별 고려여부(학생:M=2.35, 교사:M=2.70), 시설 및 기자재(학생:M=2.25, 교사:M=2.20), 복리후생 여건(학생:M=2.28, 교사:M=2.50), 교재구성(학생:M=2.51, 교사:M=2.65), 맞춤형 수준별 전략(학생:M=2.90,교사: M=2.45) 등의 분야는 미흡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집단면담 결과를 토대로 교육현장 요구 반영, 과정별 차이를 고려한 목표 제시, 새로운 교육 과정의 개발이 필요, 강사 전문성 기준의 재정립, 교재 구성 및 유용성 제고, 래포(rapport) 형성과 개인별 맞춤형 수업 가능성, 성찰과정을 강조하는 평가, 통합 커뮤니티 구축 가능성 모색, 방과후 컴퓨터 수업 개선을 위한 연계 방안 필요성 등을 고려해야 하며, 각종 방과후 컴퓨터교육 운영에의 저해요인(컴퓨터관련 각종 규정, 학생들의 참여의지 부족, 예산 및 인력부족 등)등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등학교 방과후 컴퓨터교육에 대한 양적 질적 성과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차세대 방과후 컴퓨터 교육의 개발을 위한 총론적 개선방안 제시는 물론, 구체적인 차세대 방과후 컴퓨터교육의 개발연구가 필요하다.

  • PDF

초등학교 방과후 과학관련 특기적성 운영 실태 조사 - 경기지역 초등학교 학부모 인식을 중심으로 (Survey on Status of Operation of After-School Science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 Focus on Elementary School Parents' Perception in Gyeonggi Province)

  • 박철순;권난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3호
    • /
    • pp.490-508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후 과학관련 특기적성 교육활동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특기적성 과학실험에 공개수업에 참여한 학부모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초등학교 방과후 과학관련 특기적성 교육활동이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관내 809개 초등학교 방과후 과학관련 특기적성 교육활동 안내장을 수합해 강좌명, 수강료, 재료비, 수업시수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였고, 공개수업에 참여한 학부모 36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설문지 결과로 분석했다. 인식조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2013년도 한국과학창의재단 생활과학교실 고객만족도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초안을 개발하였고, 과학교육 관련 교수 1인과 과학교육 관련 석사 과정 12인에게 자문을 구하여 설문 내용의 타당성 및 용어 등에 대한 의견을 얻어 최종 설문지를 완성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초등학교 방과후 과학관련 특기적성 교육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초등학교 방과후 과학관련 특기적성 교육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 수요자(학부모)의 요구를 꾸준히 파악하고 반영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방과후 과학관련 특기적성 교육활동이 지속적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교육 수요자(학부모)의 요구와 선택을 반영한 과학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 PDF

초등학생 방과후 스포츠 활동 참여에 따른 제약 인식 분석 (Analysis on the Participation Constraints of After school Sports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

  • 이석훈;김재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466-47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지역 초등학교 학생들의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 제약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초등학생 360명을 무선표집 하였고, Raymore, Godbey, Crawford, 그리고 Von Eye(1993) 등이 개발한 여가제약 설문지를 이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일원분산분석과 독립 t-검정,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aymore, Godbey, Crawford 등의 여가 제약 설문지는 초등학교 방과후 스포츠 활동 참가의 제약요인을 규명하는데 적합하고 효과적이다. 둘째, 전체 문항별로 초등학교 방과후 스포츠 활동 참가의 제약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포츠 활동에 대한 부모의 의견이나 지지(support) 정도, 운동할 때 받는 스트레스, 불편함, 그리고 학교 시설이나 운동 도구의 부족 등의 구조적 제약이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초등학교 방과후 스포츠 활동의 요인별 제약수준을 비교하면, 구조적 제약요인이 내재적 제약요인이나 대인적 제약요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정보교육 관점에서 방과후 학교 컴퓨터교실의 교육적 역할과 방향 탐구 (Educational Role and Direction of After-school Computer Classroom in Information Education)

  • 김영기;한선관;한희섭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17-424
    • /
    • 2007
  • 민간참여 컴퓨터교실은 지난 10여 년간 초등학교의 정보화 교육과 교육정보인프라 구축에서 상당한 기여를 하였으나 방과후 학교에 통합되면서 공교육의 정보교육과의 관계에 오해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민간참여 컴퓨터교실의 성과를 돌아보고, 평가결과를 토대로 향후 방과후 학교에서 운영상의 필요성과 개선점을 살펴보는 것이 정보교육에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민간컴퓨터교실 운영이 왜 필요한지를 정리하고, 현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발전적인 모델을 제시하여 향후 방과후 학교에서 민간참여 컴퓨터교실이 정보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중학생의 방과후 수학교과 학습활동과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fter-School Learning Activities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in Middle School)

  • 이윤자;김응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23-340
    • /
    • 2007
  • 본 연구는 방과 후 활동의 현황과 문제점을 조망하고 대다수의 학생들이 수학교과의 방과 후에 실시하고 있는 학습유형에 대한 분석과 함께 학원수강 및 사설 과외와 같은 사교육의 효율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현재의 교육체제 속에서 수학교과에서 이루어지는 방과후 학습의 방향과 방과후 학습활동이 학교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를 토대로 공교육이 보다 정상화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제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수학교과를 중심으로 방과 후 학습활동의 유형을 크게 학원수강, 과외, 자율학습으로 분류하고, 학생들의 3학기동안의 학업성적을 비교 분석하여 학교 수업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연구하였다.

  • PDF

초·중·고생의 사교육비 지출에 대한 통계 분석 (Statistical Analysis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in Korea)

  • 오만숙;김진희
    • 응용통계연구
    • /
    • 제24권1호
    • /
    • pp.193-206
    • /
    • 2011
  • 자녀의 사교육비 지출은 정치, 경제, 사회 등 국민 생활 전반에 걸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그 부작용이 심각하여 한국사회의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통계청에서 수집한 2008년도 사교육비 실태조사 자료 중 일반사교육비 지출과 방과후 프로그램 참가비의 두변수에 대하여 지역, 초 중 고 등 학교급 구분, 가구소득, 학생 성적, 별, 사교육 참가시간 등의 인구동태적 변수들의 영향을 알아보는 다중 선형 회귀분석을 수행 하였다. 분석결과 일반 사교육비 지출과 방과후 프로그램 참가비에 뚜렷한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지역과 학교급구분이고 나머지 변수들은 의미있는 영향력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일반 사교육비 지출에 대한 지역의 영향을 보면, 서울지역>광역시, 중소도시>읍면지역 순으로 지출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방과후 참가비에 대한 지역의 영향을 보면 서울지역, 광역시, 중소도시>읍면지역 의 순으로 지출이 많았는데 서울과 기타도시의 차이가 없다는 것이 일반 사교육비의 경우와 다른 특징이다. 학교급 구분에서는 일반사교육비의 경우 일반계 고교생에 대한 지출이 초 중생이나 전문계 고교생에 비하여 약 17% 지출이 더 많았다. 이는 대학입시 위주의 교육 풍토와 사교육 시장이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방과후 학교 참가비의 경우 일반계고, 초등학교> 전문계고> 중학교 의 순서이다. 초등학생은 사교육비의 부담을 덜기 위해서, 그리고 일반계 고등학생의 경우는 방과후 학교에서 내신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때문으로 추측할 수 있다.

초등 방과후학교 교구로봇 시범사업 현황 분석 (Analysis on the Status of the Pilot Project to Spread Hands-on Robots in Elementary After-School)

  • 김덕관;류영선;한정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79-87
    • /
    • 2010
  • 지식경제부에서는 학교교육의 다양성 확대를 지원하고 체계적인 로봇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초등학교 68개교를 대상으로 교구로봇과 교사 연수 등 교사의 로봇활용 지원체제를 구축한 후 교구로봇 시범교육사업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 방과후학교의 교구로봇 시범교육사업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교구로봇 확대사업에 대한 기초 자료 분석결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시범교육사업 대상학교의 교육 개설 현황, 교구 및 교재 이용, 교 강사 현황과 학생만족도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의 창의력 향상, 로봇에 대한 관심 증대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높은 집중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교재, 교구에 대한 개선 요구사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교재와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교구의 구성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방과후 아동지도 (After-School Care and Education)

  • 서영숙;박진옥;서혜전
    • 아동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281-295
    • /
    • 2009
  • Representative services of the afterschool in Korea are After-School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ommunity Child Centers, After-school Child Care, and Youth After-school Academy of the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Each service is distinguished with its own founded laws, subject children, specialists, principle management agent, a number of participants, and more. Research issues of afterschool are development of new afterschool programs, evaluatj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afterschool, establishment of policies related to cooperative efforts among the different services of the afterschool, obtainment of legal status, and enhancement of the credential of its personnels. To guarantee the quality of the Afterschool and improve personnels' working conditions, various means are to be implemented. In regard to programatic and policy issues, the afterschool is needed to establish a system for training the afterschool coordinators and of its accreditation and to develop more child-centered afterschool programs. Also, it is needed to legislate fundamental law and consolidate communication system among the services of the Afterschool in pursue of their effective utilization and actual expansion.

  • PDF

초등학교 5학년 영어수업에 적용된 G러닝(게임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의 학습 효과 (Effectiveness of G-Learning(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utilizing Game) adopted in an English Class for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원은석;위정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541-554
    • /
    • 2012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하위권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G러닝 방과후학교 영어수업의 효과성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 게임을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을 의미하는 G러닝이 활성화되면서, 영어교육 분야에서 G러닝을 수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에 소재한 한 초등학교에서 23명의 5학년 영어 성취도 하위권 학생들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G러닝 영어 방과후학교 수업을 진행하였다. G러닝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성취도 및 정의적 영역에 대해 두 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수업 전, 후 성취도 평가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FGI를 통해 참여자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그 결과 하위권 학생들의 영어 성적이 약 15점 정도 향상되었고, 단어 철자 그리고 의사소통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도를 보였다. 또한, G러닝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영어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갖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