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밝기

Search Result 1,61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emporal Color Rolling Suppression Algorithm Considering Time-varying Illuminant (조도 변화를 고려한 동영상 색 유동성 저감 알고리즘)

  • Oh, Hyun-Mook;Kang, Moon-Gi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8 no.5
    • /
    • pp.55-62
    • /
    • 2011
  • In this paper, a temporal color and luminance variation suppression algorithm for a digital video sequence is proposed by considering time-varying light source. When a video sequence is sampled with the periodically emitting illuminant and with a short exposure time, the color rolling phenomenon occurs, where the color and the luminance of the image periodically change from field to field. In conventional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he luminance variation remaining in the resultant video sequence degrades the constancy of the image sequence. In the proposed method, we obtain video sequences with constant luminance and color by compensating for the inter-field luminance variation. Based on a motion detection technique, the amount of the luminance variation for each channel is estimated on the background of the sequence without the effects of moving objects. The experimental results clearly show that our strategy efficiently estimated the illuminant change without being affected by moving objects, and the variations were efficiently reduced.

Target Recognition with Intensity-Boundary Features (밝기- 윤곽선 정보 기반의 목표물 인식 기법)

  • 신호철;최해철;이진성;조주현;김성대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9a
    • /
    • pp.411-414
    • /
    • 2001
  • 목표물 인식(Target Recognition)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특징 정보에는 밝기 (Intensity) 정보와 윤곽선(Boundary) 등의 모양(Shape) 정보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영상에서 바로 추출한 밝기 정보나 윤곽선 정보는 환경 변화에 의한 많은 오차 요인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특징 정보를 개별적으로 인식에 사용하는 것은 높은 인식 성능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밝기 정보와 모양 정보를 인식에 함께 사용하는 기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밝기 정보와 윤곽선 기반의 모양 정보를 합성하여 동시에 인식에 사용하는 3단계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에서 밝기 정보 추출에 는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기법을 사용하고 , 윤곽선 정보 추출에는 PDM(Point Distribution Model) 에 기반한 영역 분할(Segmentation) 기법과 Algebraic Curve Fitting기법을 사용하였다 추출된 밝기 정보와 윤곽선 정보는 FLD(Fisher Linear Discriminant) 기법을 통해 결합(integration)되어 인식에 사용 된다. 제안한 기법을 적외선 자동차 영상을 인식하는 실험에 적용한 결과, 기존기법에 비해 인식 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Fuzzy Binarization Method (퍼지 이진화 방법에 관한 연구)

  • 윤형근;이지훈;김광백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510-513
    • /
    • 2002
  • 대부분의 이진화 알고리즘은 임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히스토그램을 사용하여 밝기분포를 분석한다. 배경과 물체의 명도차이가 큰 경우에는 분할을 위해 양봉(bimodal) 히스토그램으로 표현하여 최적의 임계치를 찾기 위해 히스토그램 골짜기(valley)를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양호한 임계치 결과를 얻을수 있으나, 배경과 물체의 밝기 차이가 크지 않거나 밝기 분포가 양봉 특성을 보이지 않을 때는 히스토그램 분석만으로 적절한 임계치를 얻기 어렵다. 그리고 한 영상에서는 넓은 영역에 걸쳐 명암도 변화가 일어나고 다양한 유형의 물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스케치 특징점 유무를 판별하는 임계치의 결정에는 애매 모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상에 대해 삼각형 타입의 소속함수를 적용하여 임계치를 동적으로 설정하고 영상을 이진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퍼지 이진화 방법은 평균 밝기 값을 기준으로 가장 어두운 픽셀 값과 가장 밝은 픽셀값의 거리를 계산하여 밝기의 조정률을 구하여 최소 밝기값과 최대 밝기 값을 설정하고 삼각형의 소속 함수에 적용한다. 소속 함수에 적용된 소속도를 a-cut 을 적용하여 영상을 이진화한다. 다양한 영상에 적용한 결과, 기존의 이진화 방법보다 제안된 퍼지 이진화 방법이 효율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Patch-based Label Fusion with Gradient Map (경사도 맵을 이용한 패치 기반 레이블 융합 기법)

  • Shin, Seungyeon;Hong, Sungmin;Park, Sanghyun;Yun, Il Dong;Lee, Sang 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314-31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의료영상 영역화 기법으로 이용되는 레이블 융합 기법을 기반으로, 정합 기법을 이용했을 시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계에서의 오차를 크게 줄여줄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패치 기반 레이블 융합 기법은 패치 간의 밝기 값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융합 가중치를 계산하였지만 이는 밝기의 분포가 상대적으로 다른 자기공명영상에 적합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본 논문에서는 밝기 값과 함께 밝기 값의 경사도 유사도를 추가적으로 계산하여 융합 가중치를 얻어내는 기법을 제안한다. 밝기의 분포가 다른 영역에서도 밝기의 경사도 분포는 대부분 유사하기 때문에, 오차가 많은 모호한 경계에서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제안하는 기법의 성능평가를 위해 50 개의 SKI10 무릎 관절 데이터 셋 내에서 대퇴골을 영역화 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밝기 값 유사도 정보만을 이용했던 기법에 비해 개선된 성능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An Efficient Video Coding Algorithm Applying Brightness Variation Compensation (밝기변화 보상을 적용한 효율적인 비디오 코딩 알고리즘)

  • Kim Sang-Hy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5 no.4
    • /
    • pp.287-293
    • /
    • 2004
  •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motion compensation algorithm for video sequences with brightness variations. In the proposed algorithm, the brightness variation parameters are estimated and local motions are compensated. To detect the frame with large brightness variations, we employ the fram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cross entropy between histograms of two successive frames, which can reduce the computational redundancy.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yields a higher peak signal to noise ratio (PSN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methods, with a low computational load, when the video scene contains large brightness changes.

  • PDF

Illuminant Brightness Correction using Multispectral relighting (멀티스펙트럴 재조명을 이용한 조명 밝기 보정)

  • Sim, Kyudong;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6.11a
    • /
    • pp.179-181
    • /
    • 2016
  • 조명이 객체에 균일하지 않은 세기의 빛을 제공하는 문제는 조명의 하드웨어 설계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 중 하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가 받는 특정 조명의 세기가 균일하지 않은 영상을 균일한 밝기의 영상으로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밝기가 균일하지 않은 특정 조명에서 획득한 영상과 밝기가 균일한 일반 조명에서 획득한 영상을 이용한다. 우선 균일하지 않은 특정 조명에서 컬러필터나 다른 광원을 이용해서 특정 조명의 밝기를 기준으로 객체의 반사 스펙트럼을 복원한다. 복원한 반사 스펙트럼을 균일한 조명의 스펙트럼 특성으로 스펙트럴 재조명을 하여 두 영상간 밝기의 차이를 비교한다. 이 비교를 통해 특정 조명에서 획득한 영상의 밝기를 보정하고 보정 결과 비교를 통해 보정이 잘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를 통해 특정 조명의 하드웨어 설계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PDF

Shadow Detection Using a Nonuniform Quantization and Linearity of Shadow Brightness (비균일 양자화와 그림자 밝기의 선형성을 이용한 그림자 검출)

  • Hwang, Dong-Guk;Park, Jong-Cheon;Jun, B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05a
    • /
    • pp.278-281
    • /
    • 2008
  • 본 논문은 그림자 밝기의 선형적 변화를 비균일하게 양자화하여 그림자를 검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그림자의 밝기의 선형성 적용은 기하학 정보, 광원의 종류 및 방위에 독립적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기법은 그림자 밝기가 점진적으로 변하거나 변화가 없다는 가정과 그림자는 어둡다는 공리를 기반한다. 먼저, 전처리를 통하여 그림자 후보영상을 검출한다. 다음으로, 인접화소들 사이의 선형의존성을 낮추기 위하여 유사 밝기를 대표 밝기로 표현하기 위해 양자화 한다. 이때 선형성을 증가시키 위해 등비수열을 이용하여 비균일 양자화한다. 마지막으로, 그림자 밝기의 선형적 변화 특성을 이용하여 선형의존성이 높은 그림자를 검출한다. 임의의 단일 자연영상의 실험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본영과 단색 배경을 갖는 반영 및 셀프그림자의 검출에 강건함을 보였다.

  • PDF

The Impact of Brightness, Polarity, and Hue Difference on Legibility and Emotional Effect of Word in Visual Display (시각디스플레이에서 단어와 배경간의 밝기, 대비부호, 색상차이에 따른 가독성 및 감성효과)

  • Jung, Hye-Heon;Cho, Kyung-Ja;Han, Kwang-Hee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7 no.4
    • /
    • pp.337-356
    • /
    • 2006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ee the impact of brightness, polarity, and hue diference on legibility and emotional effcts of the word. In the experiment 1, stimuli with three levels of brightness difference and two-typed polarity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legibility, aesthetics, and preference increased with increasing brightness difference. In the experiment 2, the same stimuli if experiment 1 included four hues: red, green, blue, yellow. As a result, the effects of brightness and polarity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brightness and polarity on legibility were significant. Also, the effects of brightness, polarity, and hue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brightness and hue on aesthetics and preference were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ed that legibility, aesthetics, and preference increased with increasing brightness difference of word and background and positive polarity was better than negative. Aesthetics and preference rating increas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order: red, blue, green, yellow.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 of brightness and polarity on legibility was because reaction time of negative polarity was longer than positive at the small brightness difference condition. The interaction effect of brightness and hue on aesthetics and preference ws because the aesthetics rating of hue at the large brightness difference condi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small brightness difference. In the experiment 3, participants rated text designs and simple color stimuli with 18 emotional adjectives to see the similarity of their emotion. The conclusion was that to reflect the subjective feelings of a rotor on the text design, it would be appropriate to use the rotor on background of the text design.

  • PDF

Lightness Compensation for Anaglyph Images to Reduce Retinal Rivalry (Anaglyph 영상의 망막경합 최소화를 위한 밝기 보상)

  • Jang, Woo-Heon;Lee, Tae-Hyoung;Kim, Dae-Chul;Lee, Cheol-Hee;Ha, Yeong-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9 no.1
    • /
    • pp.88-96
    • /
    • 2012
  • According to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media, observers try to watch the realities from images, as follows, 3D imaging has been extremely developed. 3D image gives depth in the image, observers feel in nature. Different image perception from left and right eyes make the 3D image. Anaglyph which is one of the ways to make an image of three dimensions is for obtaining an image of three dimensions by using color filter glasses. Anaglyph has a little amount of calculation and is easy to make, and it has a good point that anaglyph can be used in more wide field because it can create an image of three dimensions to the output of print like printed matter. However, the phenomenon of retinal rivalry can cause a feeling of fatigue because a difference of brightness of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happen. The way to reduce this problem is made by cutting down a difference of brightness. In the result, retinal rivalry can be reduced. We reduced a difference of the brightness of the left and the right image by utilizing the brightness and average of the original image to reduce retinal rivalry and we made better colors of anaglyph by using the way that we keep the hue caused by a change of brightness and supplement saturation about color distortion which is created at that time.

Registration and Intensity Compensation of Tilted Images of the Mitochondria Section Obtained from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미토콘드리아 절편의 여러 투사각에서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획득한 영상의 정합과 밝기 보정)

  • Kim, Dong-Si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6 no.3
    • /
    • pp.1-9
    • /
    • 2009
  • Using the projected 2-dimensional tilted images obtained from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we can reconstruct the 3-dimensional structures of objects, such as cells. As a preprocessing procedure, the tilted images should be registered and compensated in terms of the spatial position and the intensity difference, respectively. In this paper, we employ the fiducial marker-based approach to perform a registration, and introduce a simple intensity compensation scheme. Based on the transmissivity image formation model, we propose an algorithm that can compensate the components of the illumination and transmissivity of each image according to the tilted angle. Numerical analysis using real images obtained from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re shown in this paper to show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