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파속도

Search Result 19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valuation of Blast Velocity by Artificial Joint Conditions using Numerical Analysis (수치해석을 이용한 인공절리 조건에 따른 발파속도 평가)

  • Suk, Chul-Gi;Noh, You-Song;Park, Hoon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35 no.4
    • /
    • pp.1-9
    • /
    • 2017
  • This study undertakes an evaluation of blast effec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ribution rate and effect that different artificial joint number, artificial joint spacing and artificial joint angle have on blast velocity. Blast velocity according to the different state of the artificial joint was obtained using AUTODYN, a dynamic analysis program. The result of the numerical analysis was subjected to further normalization analysis. For the contribution rate of design factors was analyzed using the robust design method. The orthogonal array used in the analysis was $L_9(3^4)$ and each parameters were having 3 levels. The result of normalization analysis regarding the artificial joint angle was indicated a tendency in which blast velocity decreased. The result of analyzing blast velocity regarding artificial joint spacing and artificial joint angle was indicated a tendency in which blast velocity decreased as artificial joint spacing increased when the angle was perpendicular. In the case of blast velocity contribution rates they were ranked in the descending order of artificial joint angle, artificial joint number, artificial joint spacing.

The characteristics of blast-vibration in tunnel-blasting and the vibration control by delay-time (터널발파의 진동특성 및 발파시차에 의한 진동제어)

  • 이정인;신일재;윤영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7.04a
    • /
    • pp.235-240
    • /
    • 1997
  • 터널발파는 벤치발파와 달리 일반적으로 심발발파, 주변공발파, 조절발파를 적용하는 최외곽공 발파로 나눌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심발공법별 터널발파의 진동특성을 자유면의 수를 고려하여 해석하였다. 또한 터널발파의 발파효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심발발파 발파공들간의 지연지차를 서로 달리하면서 시험발파를 수행하였다. 국내 고속전철 건설현장의 터널발파시 측정한 진동속도의 파형분석결과 1자유면 발파인 심발발파시 발생하는 발파진동이 2자유면 발파인 주변공 발파시 발생하는 발파진동보다 30% 이상 더 크게 나타났고, 조절발파용 화약을 사용한 최외곽공 발파의 경우는 주변공발파보다 20% 정도 작은 진동속도를 나타내었다. 심발공법별 비교에서는 SUPEX-Cut의 경우가 국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V-Cut에 비해 20-30% 정도 더 작은 진동속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심발공들을 동시에 발파한 경우와 각 발파공의 시차를 서로 다르게 한 경우의 심발 시험발파 결과를 분석한 결과, 발파공간의 발파시차를 60msec 이상으로 하였을 때, 각 발파공의 발파시 발생한 진동이 서로 중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General Blasting and the Vibration Control Blasting (일반발파와 진동제어발파에 대한 연구)

  • 김일중;기경철;원연호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0 no.2
    • /
    • pp.33-41
    • /
    • 2002
  • 화약류를 사용하여 암반을 절취하는 작업현장에서의 발파공해는 항상 발생하고 있다. 특히 폭약의 폭발로 인해 발생하는 지반진동은 크고 작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발파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일반발파와 진동제어(미진동)발파에 대한 의미와 구분 및 시공에 대해 인식시키고자 그동안의 경험과 이론을 토대로 하여 연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발파와 진동제어발파를 구분하는 요소로 암분류 및 진동속도를 지발당장약량과 관계, 암분류에 따른 비장약량 및 발파공당 암절취량 그리고 천공경을 선정하여 고찰하였다. 이들 요소를 기준으로 일반발파와 진동제어발파의 경계가 되는 보안물건으로부터 거리 산출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일반발파나 진동제어발파 모두 보안물건에는 한계 진동속도 이내의 진동이 전달되어야 하며, 그 경계가 되는 발파공당 절취암량은 연암의 경우 약$16.67m^3$, 보통암의 경우 약$12.5m^3$, 경암의 경우 약 $10m^3$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계가 되는 보안물건으로부터 거리는 일정하게 정해진 것이 아니므로 현장에서 대상암반에 대해 시험발파를 실시하여 암분류, 비장약량, 지발당장약량, 한계 진동속도를 기준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제어(미진동)발파구간내에서 발파설계단가는 일률적이 아닌 약2~3구간으로 분할하여 산출해야한다.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ibration Velocity by the Number of Blasting Hole (발파공수에 따른 진동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 이창훈;강추원;김종인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19 no.1
    • /
    • pp.63-70
    • /
    • 2001
  • 발파진동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매개변수들 중에서 현재 발파진동 예상식을 도출하기 위해 장약량과 거리를 매개변수로 하여 발파진동을 예측하고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장약랑은 지발당 최대장약량으로, 발파당 장약량과의 관계는 언급하고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발당 최대장약량이 동일한 상태에서 발파공수를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발파당 장약량이 변화할 때 발파진동속도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발파공수를 5공에서 10공까지 변화시 켜가며 발파진동을 폭정하고 분석한 결과 지발당 장약량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공수가 증가함에 따라 환산거리 60∼90 구간에서 진동속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Safe Blast Design to Increase Slope Stability (발파진동이 사면에 미치는 영향과 안전설계에 관한 연구)

  • 안명석;류창하;박종남;권중남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19 no.1
    • /
    • pp.85-9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암굴착시 발파에 의한 암반사면의 균열방지 및 사면안정 재고를 위하여 대 구-포항간 고속도로 건설현장에서 시험발파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천공깊이별 안전 발파패턴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지 탄성파 속도를 측정하여 발파에 의해 암반에 미치는 균열상태를 조사한 결과 탄성파속도의 감소가 40 ∼ 53%로서 암반 중에 균열을 발생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발파진동 계측결과를 분석하여 암반에 균열을 일으킬 수 있는 진동속도 기준을 설정하여 균열권 범위를 추정하였으며 사면의 기하학적 형상을 고려하여 손상대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적정 안전설계 패턴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Ground Vibration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Air-Deck Blasting Method Using Paraffin Waxed Paper Tube (파라핀 지관 구조체를 활용한 Air-Deck 발파공법의 지반진동 저감특성에 관한 연구)

  • Gyeong-Jo, Min;Young-Keun, Kim;Chan-Hwi, Shin;Sang-Ho, Cho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41 no.1
    • /
    • pp.32-45
    • /
    • 2023
  • Environmental regulations in Korea for blasting at industrial sites have conservative standards, which often result in reduced efficiency and cost-effectiveness due to the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public complaint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blasting methods that can reduce environmental damage while improving construction efficiency and cost-effectivenes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A-Deck (Paraffin Air-Deck) blasting method, which is a kind of Air Decoupled Charge method in principle utilizing a paraffin-infused paper tube as an air gap, on reducing blasting hazards and improving blasting efficiency. The analysis also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newly applied equipment for collecting blasting vibration data, and deriv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losion velocity and vibration velocity of explosives, and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of the vertical component. The results of the blasting vibration velocity analysis showed that the Paraffin Waxed Paper Tube-based blasting method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vibration velocities compared to conventional blasting methods, and it was judged that more uniformly small-sized fragmented rocks were generated.

A Study on the Related Equation of the Blast Vibration Velocity and the Vibration Level (발파진동속도와 진동레벨과의 관계식 연구)

  • Kim, Il-Jung;Ki, Kyoung-Chul;Cho, Young-Dong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7 no.1
    • /
    • pp.79-87
    • /
    • 2009
  •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ground vibration data (particle velocity and vibration level) was carried out to find an empirical relation between the vibration velocity (PVS, PPV, $V_V$) and the vibration level. The regression results revealed that the correlation of the blast vibration velocity and vibration level was quite good. It seems that the empirical relation obtained in this research will be applied to evaluating and managing the various environmental vibrations.

Influence of Adjacent Structures using Numerical Method during funnel Blasting (터널발파굴착시 수치해석에 의한 구조물의 영향평가)

  • 김학문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4 no.3
    • /
    • pp.274-278
    • /
    • 2003
  • The numerical analysis indicated that the vibration response reduced sharply at the three times of tunnel diameter. Visual display of vibration response was possible through 3-D FEM computer program, and displacement of structure, particle velocity were obtained as output. It was found that the vibration velocity was maximum at distance one to two times of tunnel diameter for the given simplified blast loadings.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were compared with empirical based predictive equation of blasting. The empirical equation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3-D FEM results at a certain range of tunnel depth in this particular type of ground conditions.

  • PDF

Comparativ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Vibration Level and Vibration Velocity (진동레벨과 진동속도의 상관성에 관한 비교연구)

  • Song, Ha-Lim;Noh, Young-Bae;Kang, Choo-Won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9 no.2
    • /
    • pp.43-50
    • /
    • 2011
  • This study measured a vibration level at each distance of construction fields where blasts occur using Lion measuring instrument and used BlastmateIII to measure vibration velocity at the same distance. A total 130 blasts occurred with the weight of a total of 5,180 kg and the number of blast holes per blast was 5, 10 and 20. The weight of 4 kg was used for each hole. Vibrations caused by blast was measured at the distance with the same velocity and level. Measurements were carried 15~102 m away from the blast source. and 273 data on vibration velocity and level were obtained from eight measurements. It analysed data on vibration velocity measured based on existing correlation formulas and compared them to real measurements to analyse interrelationship.

The study on the tunnel double-deck blasting methods using electronic blasting systems (더블데크 전자발파를 이용한 터널 발파공법 개발 연구)

  • Lee, Jong-U;Mun, Hong-Pyo;Kim, Nam-Su;Lee, Gang-Il
    • Magazine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3 no.4
    • /
    • pp.38-48
    • /
    • 2021
  • 최근 국내 건설현장들은 도심지 근접구간에서 발파진동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자뇌관을 이용한 미진동 전자발파공법 적용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미진동 전자발파는 무진동 암파쇄 대체공법으로 경제성은 우수하나 시공현장에서 진동을 제어하는 공법으로 1회 굴진장을 1m 이하로 적용하고 있어 시공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미진동 전자발파 수준의 진동제어와 굴착비 절감 및 시공속도를 높일 수 있는 더블데크 발파공법을 연구 및 시험을 수행하였다. 미진동 전자발파와 더블데크 전자발파 비교 시험결과 진동레벨, 발파효율, 파쇄입도, 여굴량 등이 비슷한 수준으로 평가되어 현장 적용시 굴진장 증대로 인한 공사기간 단축 및 시공비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