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정기

Search Result 9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velopment of a Device for Estimating the Optimal Artificial Insemination Time of Individually Stalled Sows Using Image Processing (영상처리기법을 이용한 스톨 사육 모돈의 인공수정적기 예측 장치 개발)

  • Kim, D.J.;Yeon, S.C.;Chang, H.H.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49 no.5
    • /
    • pp.677-688
    • /
    • 2007
  • 돼지를 포함한 대부분의 동물은 일정한 발정주기를 가지고 일정한 시기에 배란을 하는 자연배란동물이지만, 토끼, 고양이, 밍크 등의 암놈은 교미자극에 의해 배란이 일어나는 유기배란동물이다. 또한 1년에 한 번만 발정하는 단발정동물과 1년에 수차례 발정하는 다발정동물이 있다. 이 중에서 모돈은 1년에 수차례 발정하는 다발정 동물로서 발정기에 들면 비발정기와는 다른 행동을 나타낸다(Diehl 등, 2001). 양돈가의 수익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비생산일수를 최소로 줄여야 한다. 모돈의 비생산일수를 줄일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성공적으로 교배를 시키는 것이다. 이처럼 성공적으로 교배를 시키기 위해서는 수정적기를 정확히 예측해야 한다. 만약 수정적기를 정확히 판단하지 못하여 수태가 되지 않으면, 비생산일수가 늘어나 손실을 입게 된다. 따라서 수정적기를 정확히 판단하는 것은 모돈의 성공적인 인공수정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수정적기는 배란이 일어나기 전 10시간에서 12시간 사이이며, 발정이 시작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경산돈의 경우 26시간에서 34시간 사이이고 미경산돈의 경우는 18시간에서 26시간 사이이다(Evans 등, 2001). 현재 하루에 두 번 모돈의 발정을 확인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으며, 이 때 웅돈을 접촉시키거나 육안관찰을 통하여 발정 유무를 판단한다. 이러한 방법에는 숙련된 기술과 풍부한 경험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총 소요노동력의 30% 정도가 요구된다(Perez 등, 1986). 하루에 두 번밖에 발정을 감지하지 않기 때문에 발정이 언제 시작되었는지를 정확히 알 수 없으며, 또한 발정의 대부분이 새벽에 시작되므로 수정적기를 정확히 판단하기란 매우 어렵다. 만약 발정을 감지했더라도 적기에 인공수정을 하지 못한다면, 수태율이 낮아지므로 경제적 손실이 초래된다. 현재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2회에서 3회에 걸쳐 인공수정을 하고 있으나 이에 따른 소요비용과 소요노동력 등은 양돈가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돼지는 발정기가 되면 비발정기에 나타내지 않던 외음부의 냄새를 맡는 행동, 귀를 세우는 행동 및 승가허용 행동 등을 나타낸다(Diehl 등, 2001). 또한 돼지는 비발정기에 비하여 발정기에 더 많은 활동량을 나타낸다(Altman, 1941; Erez and Hartsock, 1990). Freson 등(1998)은 스톨에서 개별적으로 사육되고 있는 모돈의 활동량을 적외선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발정을 86%까지 감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는 단지 모돈의 발정을 감지하였을 뿐 번식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수정적기의 판단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톨에서 사육되는 모돈의 활동량을 측정함으로써 발정시작시각을 감지하고 이를 기준으로 인공수정적기를 예측할 수 있는 인공수정적기 예측 장치를 개발한 후 이의 성능을 농장실증실험을 통하여 시험하고자 수행되었다.

Changes in Phosphatase Activity of the Mouse Uterus during the Estrous Cycle (發情週期에 EK른 생쥐子宮의 Phosphatase 活性의 變化에 관하여)

  • Kim, Moon-Kyoo;Kim, Sung-Rye;Cho, Wan-Kyoo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23 no.2
    • /
    • pp.61-68
    • /
    • 1980
  •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activities of transport ATPases as well as alkaline phosphatase of the mouse uterus was carried out during the estrous cycle. Even though the proportional patterns of the enzyme activities were similar each another between the stages of estrous cycle, the absolute activities of the enzymes except $K^+$-dependent and $Na^+$, $K^+$-activated ATPases at the time of estrus were significantly (p<0.025) higher than that at any other time of the estrous cycle. That is, the activities of $K^+$-dependent and $Na^+$, $K^+$-activated ATPases were negligible during the period of time from diestrus to estrus while the little activities (0.04 $\\sim$ 0.05$\\mu$M/mg protein/hr in average, $6\\sim7$% of the total enzyme activity) of these enzymes appeared at the time of metaestrus.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estrus, the activities of $Mg^++$-dependent phosphatase, transport ATPase and alkaline phosphatase were rapidly and tremendously increased to be 0.69 (35%), 0.42 (21%) and 1.58 (79%), respectively. The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was in the range of 0.60 $\\sim$ 1.58 (79 $\\sim$ 90%) and predominant throughout the estrous cycle. The activity of $Mg^++$-dependent alkaline phosphatase was estimated as 12 $\\sim$ 16% of the total enzyme activity. Therefore, it is assumed likely that $K^+$-dependent and $Na^+$, $K^+$-activated ATPases are not the main factors to control the fluid accumulation at the time of estrus, but may be the factors to reabsorb the luminal fluid into the uterine epithelium at the time of metaestrus, and that $Mg^++$-dependent phosphatase, transport ATPase and alkaline phosphatase must be closely involved in the secretion of luminal fluid from the epithelial cells of the mouse uterus.

  • PDF

Development of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Method of Reproductive Disorders Using Ultrasonography in Cows 1. Response of Ovarian Structures to CIDR Treatment at Day 16 of Estrous Cycle in Dairy Heifers (초음파검사에 의한 소의 번식장애 감별진단 및 치료법 개발 1. 처녀젖소에서 발정주기의 16일째에 CIDR의 치료에 대한 난소구조물의 반응)

  • 강현구;강병규;칠한선;중미역언;서국현;손창호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15 no.1
    • /
    • pp.131-139
    • /
    • 1998
  • Progesterone을 함유하고 있는 CIDR(Controlled Internal Drug Release)의 질내삽 입은 황체기를 인위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CIDR의 삽입이,삽입시 존재했던 우세난포 (dominant follicle)의 반응과 난포의 발육반응 그리고 2회 또는 3회의 난포주기를 가지고 있는 처려우에서 CIDR의 삽입기간동안 난포의 성장 및 발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비교검 토하기 위하여 배란후 16일째의 처녀우 4마리에 7일동안 CIDR를 삽입하였다. CIDR의 삽입 은 발정의 발현을 억제시켰으며 그리고 발정주기의 길이를 정상 발정주기보다 유의성있게 연 장시켰다($26.3{\pm} 0.5 vs 20.8{\pm}$ 1.5일, p<0.05). CIDR의 삽입시 혈장 progesterone 농도는 $3.6{\pm}$ 2.7 ng/ml 이었으며, 17일과 23일 사이에는 2.1-4.4 ng/ml($3.6{\pm}1.2 ng/ml$) 사이를 유지했다. 혈 장 estradiol-179의 농도는 난포의 발육 및 배란전 배란난포의 성숙을 나타내는 특징적인 변화 양상을 나타래었다. 4마리의 처녀우중 2마리는 CIDR 삽입전 발정주기당 2회의 난포주기를 가진 반면, 나머지 2마리는 주기당 3회의 난포주기를 가졌다. 그렇지만 CIDR의 삽입기간동안 모든 처녀우는 주기당 3회의 발정주기를 가졌다. CIDR의 삽입전 발정주기당 3회의 난포주기 를 갖는 처녀우에서 CRR의 삽입은 세 번째 난포주기에서 배란성 우세난포의 우세기 (dominant phase)를 연장시켰다. 3회의 난포주기를 갖는 2마리에서 CIDR의 삽입후 배란난포 는 존속시간과 우세기가 유의성있게 연장되었다. CIDR의 삽입전 발정주기당 2회의 난포주기 를 갖는 다른 2마리의 처녀우에서 CIDR의 삽입후 우세난포는 곧바로 퇴행되었고 새로운 난 포주기를 형성하였으며, 우세난포의 우세기와 배란난포의 존속기간을 연장시키지 않았다. CRR의 삽입은 CIDR의 삽입후 이어지는 발정주기동안 난포의 발육 및 성장에 영향을 미치 지 않았으며 발정주기의 길이, 난포주기, 혈장 progesterone 및 estradiol-179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황체기 후반부에 CIDR의 삽입은 CIDR삽입전 발정주기동안 3회 의 난포주기를 갖는 처녀우에서 배란성 우세난포의 발육과 배란까지의 기간을 연장시켰고 2회 난포주기를 갖는 처녀우에서는 우세난포를 곧바로 퇴행시킨후, 새로운 난포주기를 형성 하였다.

  • PDF

Acupuncture Therapy for Pyometra in Small Animal (소동물의 자궁축증에 대한 침술요법의 개발)

  • Tchi-chou Nam;Hee-yung Kim;Seong-chan Yeon;Kang-moon Seo;Jong-Tae Cheng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16 no.2
    • /
    • pp.404-408
    • /
    • 1999
  • 개에서 정상 발정주기 때와 자궁 축농증에 이환 되었을 경우 이에 대한 전침 자극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정상 자궁 운동은 발정기 때에 최대이었으며 발정정지기 때에 운동성이 감소되거나 결여되었다. 발정정지기 때에 전침자윽을 하거나 Prostagrandin $F_2{\alpha}$를 투여하였을 경우에는 자궁의 운동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자궁경관이 열린 자궁축농증에 이환된 두 마리에서 전침자극을 3~4일간 실시하였다. 자궁의 직경은 감소되었고 질 분비물은 증가한 후 이후 감소하였다. 환축은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축주의 요구에 의하여 난소자궁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를 통하여 전침자극은 자궁 축농증에 이환된 환축에서 축주가 번식용으로 계속 기르기를 원한다거나 또는 난소자궁절제술을 환축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수술적인 위험이 높을 때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치료적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Vaginal Cytology and Reproductive Hormone during the Estrous Cycle and Optimal Mating Time in Beagle Dogs (비글개에서 발정 주기 및 교배 적기 동안 질세포상과 번식 호르몬의 관계)

  • Lee K.C.;Kang H.G.;Cheun H.M.;Kim I.H.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21 no.2
    • /
    • pp.109-119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vaginal cytology and reproductive hormones during the estrous cycle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estimate for ovulation time and optimal mating time in 6 beagle dogs The duration of proestrus, estrus and diestrus were $8.5{\pm}1.4,\;10.0{\pm}1.4\;and\;54.0{\pm}2.8$ days at pregnant respectively, and $7.9{\pm}2.1,\;9.5{\pm}0.7\;and\;62.0{\pm}11.3$ days at non-pregnant respectively. The duration of interestrous intervals were $246.2{\pm}24.5$ days at pregnancy, and $175.3{\pm}34.5$ days at non-pregnancy. The duration of interestrous intervals at pregnancy was longer than that of non-pregnancy. A characteristic features of vaginal cytology during the estrous cycle were the high proportion of superficial cell, anuclear cell and erythrocyte in proestrus and estrus, parabasal cell, small intermediate cell and leukocyte in diestrus, and parabasal cell and small intermediate cell in anestrus, respectively. Cornification index (CI) in proestrus and estru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I in diestrus and anestrus.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was below 1.0 ng/ml at the first day of vulval bleeding at pregnancy and non-pregnancy, and then it was above 2.0 ng/ml at Day -2 in all bitches. When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was first increased above 4.0 ng/ml, it was the second day after the first day of male acceptance.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showed above 40 ng/ml on Day $20{\sim}22$ in all bitches, and then it was gradually decreased until Day 35.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at pregnancy was higher than that of non-pregnancy from Day 35 to Day 63. Plasma estradiol-$17\;{\beta}$ concentration was above 9.0 pg/ml at the first day of vulval bleeding, and it showed 26.4 pg/ml on Day -2. When it was timed from the first day of male acceptance (Day 0), plasma estradiol-$17{\beta}$ concentration showed a peak on Day 0 and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was first increased above 4.0 ng/ml on Day 2 which was the third day after plasma estradiol-$17{\beta}$ peak. CI was first increased above 80 and 90% on Day -1 and Day 1, respectively. CI was maintained above 80% from Day -1 to Day 8 (10 days) and above 90% from Day 1 to Day 6 (6 days), respectively. CI was maintained above 80% from Day 0 to Day 8 (9 days) and above 90% from Day 1 to Day 6 (6 days), respectively.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was first increased above 4.0 ng/ml on the second day after the day which CI was first increased above 90%. In conclusion, beagle bitches ovulated on the second day after the day which CI was first increased above 90% and on the day which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was first increased 4.0 ng/ml, and it was estimated that the optimal mating time was the day which the second day after CI was first increased above 90% and plasma concentration was between $2{\sim}25ng/ml$. The measurement of plasma progesterone was used to determine of and accurate ovulation time and the optimal mating time, but vaginal cytology is low-priced and simple method to estimate estrous cycle, optimal mating time and ovulation time.

개의 발정개시 후 초음파 진단에 의한 수정적기 판단기술 개발

  • 이장희;지달영;박성재;최선호;류일선;김상운;정경용;백순화;김창근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3.06a
    • /
    • pp.87-87
    • /
    • 2003
  • 본 연구는 개의 수태율 향상을 위한 인공 수정적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발정개시 후 초음파를 이용하여 난소내 난포발달 상태를 진단하였다. 자연적으로 발정이 개시된 Greyhound 2두에 대해서 초음파기(SA 600S, 메디슨, 한국)와 3.SMHz probe를 이용하여 난포발달에 대한 초음파화상을 얻었다. 외음부가 종창하고 출혈이 확인된 첫날을 발정개시일(Day 1)로 하였으며 발정개시 후 11일째, 13일째 및 15일째 난포발달 상태를 조사한 결과 좌우 난소에 각각 3개 및 4개의 난포가 발달중에 있었으며, 난포의 크기는 좌우 각각 11일째에 6, 9, 17mm(좌측)와 6, 9, 6, 5mm(우측)였으며, 13일째에는 각각 10, 11, 11mm 및 9, 14, 13, 12mm였다. 15일째에는 이미 배란이 일어나서 난포상을 관찰할 수 없었으나 배란흔적은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는 발정개시 후 11, 13, 15일째 0.25$m\ell$ 주입기를 이용하여 그레이하운드 동결정액으로 인공수정하였으며, 이때 동결정액(좋은유전자 Co.)의 융해 후 활력 있는 정자수는 3$\times$$10^{7}$ spermatozoa/dose(0.25$m\ell$)였으며, 자궁경관내 주입기선단의 관통 여부를 촉진한 후 자궁내 정액 주입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난포발달에 대한 초음파 진단결과 Greyhound에 있어서 1회 인공수정시에는 발정개시 후 15일째가 높은 수태를 위한 수정적기라고 사료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Concannon 등(1989)이 배란 후 2일째가 수정적기로 판단한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임신특이단백질의 Screening 및 Purification

  • ;C. N. Lee;Y. S. Kim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2.06a
    • /
    • pp.80-80
    • /
    • 2002
  • 소의 황체 조직내 임신특이단백질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축장 유래의 난소 황체를 Ireland 등 (1980) 의 방법에 따라 발정주기중의 황체를 CLl(발정주기 1-4 일), CL2( 발정주기 5-10 일), CL3( 발정주기 11-17 일), 및 CL4(발정주기 18-20일)로 분류하였고 임신 황체는 임신일령을 추정하여 분류하였다. 황체 조직의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를 위하여 native binding buffer(20mM sodium phosphate, 500mM sodium chloride, pH 7.8) 에서 homogenization 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이용하였다. (중략)

  • PDF

Time-resolved Fluoroimmunoassay (TR-FIA) Analysis of Fecal Progesterone and Estradiol in Leopard Cats (Prionailurus bengalensis) (삵에서 TR-FIA를 이용한 분변내 Estradiol과 Progesterone의 검사)

  • Kim, Young-Seob;Kim, Ji-Yong;Jung, So-Young;Lee, Bong-Joo;Shin, Nam-Shik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27 no.6
    • /
    • pp.693-697
    • /
    • 2010
  • This study, conducted with four leopard cats (Prionailurus bengalensis), used time-resolved fluoroimmunoassay (TR-FIA) to analyze estradiol and progesterone concentrations in fecal samples. We measured fecal samples taken during estrus period, diestrus period, pregnancy and non-pregnancy period. During estrus (February), the mean minimum estradiol concentration was $4.02{\pm}1.9$ng/g, and the mean maximum was $86.01{\pm}35.2$ng/g (dry fecal weight). During diestrus (November), the mean minimum estradiol concentration was $4.42{\pm}1.32$ng/g and mean maximum was $15.62{\pm}6.48$ng/g (dry fecal weight). Midgestation (April), the mean minimum progesterone concentration was $427{\pm}24.49$ng/g and the mean maximum was $1490{\pm}265.27$ng/g. During non-pregnancy (November), the mean minimum progesterone concentration was $71.25{\pm}29.61$ng/g and the mean maximum was $291.75{\pm}90.30$ng/g.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eroid hormone analysis of feces using TR-FIA is a valid method for noninvasively determining ovarian activity associated with estrus and pregnancy in leopard cat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building breeding management and reproductive plans for endangered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