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원지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34초

Sr-Nd 동위원소를 이용한 국내 퇴적황사의 발원지 규명: 2007년 봄철 황사 (Source Identification for Asian Dust Deposited on Domestic Area Using Sr-Nd Isotope Ratios in Spring, 2007)

  • 염승준;이평구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3호
    • /
    • pp.315-326
    • /
    • 2008
  • 최근 국내의 황사 발생일수 및 강도가 급증하고 있으며, 사회경제적으로 황사에 의한 유형적 및 무형적 피해의 규모 및 정도가 심각한 실정이다. 현재 황사 발원지에서 사막화방지를 위한 조림/녹화사업이 국가차원은 물론 민간차원에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사막지역의 광대함, 발원지의 기후 및 토양 조건, 그리고 현지 원주민의 경제적 낙후성 등으로 인하여, 단기간 내에 그 목적을 달성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국내에서 발생하는 황사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황사피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우선 황사의 발원지에 따른 황사의 유해성을 파악하고, 황사 발원지 중 어느 지역으로부터 발원하는 황사가 우리나라에 피해를 주는 지에 대한 과학적인 자료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지질물질의 기원을 추적하는 데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Sr-Nd 동위원소 조성비를 이용하여 2007년 봄철에 우리나라에 발생하였던 황사의 발원지를 규명하였다. 황사 발원지 토양 및 국내에서 발생한 퇴적황사의 Sr-Nd 동위원소 조성비의 분석결과, 황사 발원지는 황토고원일 가능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오도스 사막 또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발원지 자동 추적 모델 연구 (Study on Automatic Source Tracking of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Attack)

  • 이만희;정상길;권윤주;김국환;변옥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A)
    • /
    • pp.302-304
    • /
    • 2003
  • 최근 인터넷을 통하여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은 전 세계 웹 사이트들에 큰 피해를 입히면서 세계적인 문제로 부상되었다. 현재 이에 대한 대책으로 방화벽이나 침입 탐지 시스템을 이용하지만. 전 세계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일어나는 이 공격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데는 적합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격 트래픽의 송신자 주소를 임의의 IP 주소를 사용하여 공격의 발원지를 추적할 수 없는 기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발원지 자동 추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역궤적 분석과 TOMS 에어로졸 지수를 이용한 황사 발원지 추적 (Investigation of the yellow sand source region using backward trajectory analysis and TOMS aerosol index.)

  • 장건우;조석연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44
    • /
    • 2002
  • 중국 서북건조 사막지역에서 봄철에 기온이 올라가면서 강한 한랭전선을 동반한 저기압이 발달할 때 그 전선 후면에 미세한 모래먼지가 바람에 휘감겨 올라가 황사가 발생한다. 발원지에서 생성된 황사는 약 30%가 발원지에서 재 침적되고, 20%는 주변지역으로 수송되며, 50%는 편서풍을 타고 1,500-2,000km이상의 거리를 이동하여 우리나라, 일본 및 하와이에까지 침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한국에 출현한 황사의 발원지별 기상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the Weather Characteristics by Source Region of the Asian Dust Observed in South Korea)

  • 김선영;이승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67-18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출현한 황사 발원지별로 기상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일별 황사자료와 발원지의 일별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에 황사 출현 시의 발원지 기상상태를 분석하였다. 한국에 출현한 황사 중 네이멍구에서 발원한 황사의 빈도가 가장 높다. 황토고원을 제외한 발원지에서 출현한 황사 일수가 최근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의 전국에 영향을 미친 빈도가 높았다. 황토고원의 경우 1960년대의 출현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한국의 남부지방에 영향을 미친 빈도가 높았다. 한국의 황사 발생일수와 발원지의 봄철 및 4월 기상요소와 유의한 관계가 있다. 네이멍구에서 발원한 황사 발생일과 4월 해면기압, 봄철 상대습도와 음의 관계가 있다. 고비에서 발원한 황사 발생일과 4월 돌풍일수와 양의 관계이며, 4월 해면기압과 음의 관계이다. 만주에서 발원한 황사 발생일과 4월 강수량, 해면기압과는 음의 관계이다. 황토고원에서 발원한 황사 발생일과 4월 최대풍속과는 양의 관계이며, 해면기압과는 음의 관계이다.

  • PDF

최근의 황사 발원지에서의 먼지 발생의 시.공간 특성 분석

  • 이종재;김철희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84-8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황사 발원지를 3개 지역으로 나누고 발원지별 최근의 먼지 발생 특성을 기상변수와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고비사막 지역(S1)은 최근에도 높은 황사 발생빈도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내몽골지역(S2)은 2003-2004년에 감소 후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중국 북부지역(S3)은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이는 먼지 발생 지역이 북서쪽으로 이동하여 우리나라의 황사 발생 일수에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강풍이 중국 북부지역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다른 기상요소들의 경우 공간 분포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S2 지역에서 3월의 기온이 먼지 발생빈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영상의 기온을 보일 때 높은 먼지 발생 빈도를 보였다.

  • PDF

황사 발원지에서 선포토미터를 활용한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산출과 미세먼지속 황사구분 (Aerosol Optical Properties Retrieval and Separation of Asian Dust using AERONET Sun/Sky Radiometer Measurement at the Asian Dust Source Region)

  • 신동호;노영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5-251
    • /
    • 2016
  • 황사의 주요 발원지인 중국 북부 둔황지역에 선포토미터를 설치하여 440, 675, 870 그리고 1020 nm 채널에서 황사의 파장별 입자편광소멸도를 산출하였다. 이와 함께 발원한 황사가 장거리 수송과정에 위치한 제주 고산과 일본 오사카에 설치된 선포토미터를 함께 분석하였다. 황사 발원지에서 1020 nm 파장에서 입자편광소멸도가 0.34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초미세먼지농도가 증가하는 경우 입자편광소멸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선포토미터의 입자편광소멸도 산출을 통해 에어로졸에서 황사의 구성 비율이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발원지에서의 황사발생과 지표건조지수의 시계열 연구

  • 손혜영;김철희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7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97-98
    • /
    • 2007
  • 중국의 황사 발원지 4곳을 선정하여 강수량과 EDI(가뭄지수)를 사용하여 FFT를 적용한 결과 강수량보다 EDI를 사용했을 때, 2.24년, 3년, 3.37년 정도의 주기가 나타났다. 따라서 황사의 예보를 정확하게 하기 위해 가뭄과 황사 발생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그래서 이후에 EDI 외 다른 가뭄지수(PNS)도 수용하여 황사발원지의 표면 상태와 황사발생현상에 대한 관계를 더 정확하게 규명할 것이다.

  • PDF

대기 확산 모형을 이용한 황사 사례 모의 (Simulations of Yellow Sand by using atmospheric dispersion model)

  • 김수현;신혜정;최병철;한문희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1-402
    • /
    • 2001
  • 우리나라에서는 봄철 중국대륙에서 수송된 황사가 빈번히 관측된다. 황사의 발원지는 고비사막, 타클라마칸 사막, 황토고원, 만주 지역 등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건조 지역의 지표에서 강한 바람이 불면 전단응력에 의하여 침식된 모래와 토양 입자가 주풍인 편서풍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특히 우리나라는 발원지의 동쪽에 위치하여 황사의 영향을 많이 받아 왔다. 최근의 황사 관측 자료를 살펴보면 황사 발생 횟수와 발생 일수는 과거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