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열 장치

Search Result 204, Processing Time 0.056 seconds

진공챔버 내부의 위성표면온도 제어용 비접촉 적외선 발열장치 개발

  • Jo, Hyeok-Jin;Seo, Hui-Jun;Lee, Sang-Hun;Mun, Gw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49-49
    • /
    • 2010
  • 본 논문은 진공챔버 내부에서 위성 표면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할로겐램프를 이용한 적외선 발열장치의 개발에 관한 것으로, 인공위성이 우주궤도에서 받게 되는 복사에너지를 지상의 진공챔버 내에서 모사하기 위한 비접촉 적외선 발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챔버 내에서의 비접촉식 발열 방법 중, 진공환경에서의 오염을 발생시키지 않고, 발열 시간 및 냉각 시간이 가장 짧으며, 높은 열효율로 태양복사에너지를 가장 근사하게 모사할 수 있는 할로겐 램프를 이용한 발열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램프에서 방사되는 열에너지가 위성표면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위성 표면으로부터의 거리와 램프의 개수, 램프의 배열에 따른 에너지 분포 계산식을 도출하여 적용하였다. 공급 전압에 따른 램프의 저항특성을 파악하여, 원격으로 제어되는 150 VDC, 5 A의 직류전원공급기를 이용해 램프의 발열량을 조절하였으며, 발열량에 따른 위성 표면온도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램프를 이용한 비접촉식 적외선 발열장치 개발을 통해 진공환경에서의 시험대상에 대한 효율적인 열에너지 부과방법 수립이 가능하였다.

  • PDF

Characteristic of Micro-Scale Semiconductor Bridge(SCB) Plasma (마이크로 규모의 반도체브리지 플라스마 특성)

  • 김종욱;김선환;이정복;박종욱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2a
    • /
    • pp.280-281
    • /
    • 2003
  • 본 연구는 전자파, 표류전압, 정전기 등 위험한 환경에서 충분한 안전성과 우수한 성능을 보이며 금속발열선(HBW)에 비해 빠른 작동시간을 가지는 반도체브리지 착화장치를 개발하여 로켓 추진기관 및 자동차 에어백 (Air-Bag)에 적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로켓 추진기관 착화장치 및 안전장치에는 고도의 안전성 및 신뢰성이 요구되어 기존의 금속발열선 착화장치보다 전자파, 표류전압, 정전기 등 위험한 환경에서 충분한 안정성과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신기술 착화장치 설계사양이 요구되며 자동차 에어백용 인플레이터(inflater)는 에어백에 공급하는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초기 구성품으로 자동차의 특성상 높은 작동신뢰성 유지와 주변 환경으로부터의 안전성이 요구되어 현존하는 금속발열선형 착화장치를 대체하는 반도체브리지 착화장치 개발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중략)

  • PDF

우주용 카메라 열제어장치(Cooling Unit) 개발

  • Lee, Deok-Gyu;Lee, Eung-Sik;Jang, Su-Yeong;Lee, Seung-Hun;Gang, Seok-Bong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9.10a
    • /
    • pp.50.1-50.1
    • /
    • 2009
  • 광학탑재체 열제어 시스템(Cooling Unit)은 광학카메라가 우주환경 하에서 작동시 영상검출기(FPA)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발열하여 영상검출기의 온도를 최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영상검출기(FPA)의 1회 orbit은 100분이며, 예열기간(Preheating) 최대 10분 동안 147W를 발열하고, 촬영기간(Imaging) 10분 동안 147W를 발열하여 1회 orbit 평균 32.6W를 발열하고, Parasitic heat load 15W를 고려하면 1회 orbit당 평균 총 50W를 발열 한다. 열제어 시스템은 50W를 효과적으로 발열하여 영상검출기의 온도를 $14^{\circ}C{\sim}26^{\circ}C$로 제어한다. 열제어 시스템은 Buffer Mass, Heat Pipe, Radiator로 구성된다. 열제에 시스템의 성능규격은 열주기시험, 열진공하 열전도시험 및 진동시험을 통하여 검증한다. 이 논문에서는 국내 기술로 개발되는 우주용 카메라 열제어 장치의 설계 및 해석, 제작현황 등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Design for Adhesive Carbon Heating Element X-ray Table with an Attached Heating Device (가열장치를 구비한 부착형 탄소발열체 X선 촬영대 고안)

  • Song, Jongnam;Kim, Eungk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9 no.3
    • /
    • pp.131-13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warm up the conventional X-ray table by inventing and design for X-ray table with an attached heating device using less unloaded X-ray, CNT (carbon nano tube) heating element. Configuration of the product design for adhesive carbon heating element X-ray is composed of a conventional X-ray table, carbon nano tube planar heating element, an electrode line, flame resisting protective film, and the bottom film.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this invented product is to provide gentle feeling, the sense of security, and eliminating anxiety to the patient wearing a patient gown and feel the cool air while receiving the test. Thus we are strongly recommend to use this device in the clinical situation.

The Development of Superheater System Using Induction Heating (유도가열방식 과열증기 발생장치 개발)

  • Sul, Yong-Tae;Lee, Eui-Yong;Kwon, Hyuk-M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11a
    • /
    • pp.184-18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과열증기 발생장치를 제안하였다. 발열방식은 외부의 가열코일로부터 특수 합금 발열체에 비접촉 상태로 전자유도 와전류를 구조체에 흐르게 하였다. 인버터는 스위칭주파수 20[kHz]대역에서 작동되는 풀-브릿지 고주파 직렬 부하 공진형이며, LC 공진 설계에서 부하자체를 L로 선정하여 효율을 최대화 하였다. 개발된 장치는 전자유도가열 발열체와 유체이동에 의한 새로운 열교환 방식으로 일체의 연소과정 없이 기체, 액체 및 증발체 등을 상온에서 500[$^{\circ}C$]이상의 고온에 이르기까지 고정도의 가열이 가능하여 작업환경 개선이 가능하다.

  • PDF

Power Line Communication-based TRIAC phase-controlled heated glass temperature control system (전력선 통신을 기반으로한 TRIAC 위상제어 방식의 발열유리 온도제어시스템)

  • Lee, Su-Hyeong;Lee, Chang-Yeol;Kim, In-Dong;Nho, Eui-Cheol;Choi, Chang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07a
    • /
    • pp.558-559
    • /
    • 2012
  • 선박과 건축용 창유리에 발생하는 결로 결빙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발열유리를 사용 한다. 발열유리를 ON/OFF방식으로 제어하게 되면 발열유리의 종류에 따라 유리코팅이 훼손 될 우려가 있다. 발열체의 등가저항 및 열시정수가 적은 경우에는 TRAIC의 위상제어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다수의 발열유리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어기 각각의 통신선이 필요하지만 전력선통신을 이용하면 별도의 통신선이 필요가 없어진다. 그러므로 설치비용이 감소하고 외관이 좋아지며, 발열유리의 추가적 설치와 장치의 위치 변경이 용이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전력선통신과 TRIAC 위상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전체 발열유리 온도제어 시스템을 구성하고,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Analysis of Complex Heat Sink System for High Efficiency LED Thermal Effect (고효율 LED 방열효과 증대를 위한 융합형 Heat Sink 장치 방열 해석)

  • Kang, Chang-Soo;Kang, Ki-Sung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v.48 no.2
    • /
    • pp.12-18
    • /
    • 2011
  • In this paper, did numerical simulation to confirm LED module for lighting and protection against heat special quality of heat sink device. Analysis was gone dividing on case that emitting light side turns normalcy department considering that eat of device according to usage and case that turn down looking being street lamp of 200 W or security appointment lighting device analysis case, and also, volume of thermal element divides on big case and small case and analyzed. Confirmed that can do so that may discharge LED's thermal value to outside enough in analysis wave and current heat sink shape, and investigated that difference of protection against heat performance according to position of device and size of thermal element appears.

Development of A Torrefaction Unit of High Moisture Food & Agricultural Wastes (음식물 및 농업폐기물 열분해장치 개발)

  • Song, Dae Bin;Lim, Ki Hyeon;Jung, Dae Hong;Yoon, Jong 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16-116
    • /
    • 2017
  • 2012년 국내 총 폐기물(지정폐기물 제외) 발생량은 382,009 톤/일 으로 이 중 12.8%를 차지하는 생활폐기물 중 음식물 채소류폐기물 발생량은 13,209 톤/일 으로 대부분 소각 후 매립 처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수분 음식물 및 농업 폐기물을 재활용한 고형연료 제조에 필요한 열분해장치를 개발하고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건조용량 50 kg/hr인 실험실용 열분해장치를 제작하였다. 건조 처리된 농업폐기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열분해용 실험 원료로 사용하였다. 원료종류, 열분해 온도, 열분해 시간에 따른 농업폐기물과 음식물 쓰레기의 열분해 특성을 파악하였다. 농업부산물 건조물의 열분해 처리 결과, 열분해 처리능력은 평균 55.35 kg/hr, 저위발열량은 평균 3,333 kcal/kg으로 측정되었다. 농업부산물을 단순 건조 처리한 경우 고위발열량은 3,400 kcal/kg, 저위발열량은 3,090 kcal/kg으로 측정되어 열분해처리로 발열량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건조물의 열분해 처리조건 및 결과, 열분해 처리능력은 평균 88.27 kg/hr, 저위발열량은 평균 4,016 kcal/kg으로 측정되었다. 음식물 쓰레기를 단순 건조 처리한 경우 고위발열량은 4,040 kcal/kg, 저위발열량은 3,686 kcal/kg으로 측정되어 열분해처리로 발열량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열분해 처리능력은 연구목표치인 50 kg/hr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저위발열량은 연구목표치인 4,000 kcal/kg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다만 저위발열량 측정 기준 함수율이 습량기준으로 약 10%로 추정되는 바 5%로 조절하고, 열분해 열풍온도를 $200^{\circ}C$ 까지 상승시키면 발열량이 훨씬 향상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Analysis of Optimized Position of the Fiber Optic Sensor Istalled near the Bridge Wire of Electro-explosive Device (전기기폭장치의 발열선에 설치되는 광섬유 센서의 최적위치 분석)

  • 김응조;윤기은;최태인;윤태훈;김재창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0 no.7
    • /
    • pp.1111-1117
    • /
    • 1999
  • In order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bridge wire, the explosive material is removed from EED and a fiber optic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near the bridge wire. Using the heat transfer theory, the optimum position of the fiber optic sensor in the EED is determined and the temperature-distance equation is derived from test result. The measuring technique can be utilized to the real electromagnetic radiation hazard test.

  • PDF

The formation technique of thin film heaters for heat transfer components (열교환 부품용 발열체 형성기술 개발)

  • 조남인;남형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conductor Equipment Technology
    • /
    • 2003.05a
    • /
    • pp.98-105
    • /
    • 2003
  • 반도체 집적회로 제조 장치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전도성 발열체를 박막형태로 제조하는 기술을 얻기 위하여 반도체와 금속을 혼합한 물질을 스퍼터 증착 기술 및 전자빔 증착기술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전기적, 재료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발열재료로는 몰리부덴과 실리콘 및 크롬 및 실리콘의 합금을 이용하였으며, 기판 물질은 알루미나와 실리콘질화막. 시리콘 산화막을 사용하였다. 발열물질은 온도의 상승파 하강에도 안정된 재료적 성질을 가져야 제품으로써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금속 (몰리부텐 또는 크롬) 실리사이드 (silicide)의 최종 phase 를 갖도록 하였는데, 실리사이드는 실리콘과 금속의 합금물질로 안정된 재료로 알려져 있다. 또한 발열재료의 온도저항계수를 최소화하도록 하였으며 온도저한계수 값의 범위가 20% 이내인 발열재료의 제조기술을 얻었다. 이러한 온도저항계수 최소화는 열교환 부품의 온도 정밀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