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아적온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7초

포화가습식 발아장치의 성능평가 (Performance Test of A Saturation Humidification Type Germination System)

  • 장유섭;김동억;김종구;김현환;이동현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3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0-445
    • /
    • 2003
  • 식물의 공장적 생산에 있어서 재배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환경조절과 양액제어 그리고 종자발아기술, 녹화기술일 것이다. 그 중에서도 종자를 파종한 후의 발아기간이 일정하지 않거나 조절이 어려우면 엽채류의 공장적 생산에서 중요한 매일 정식, 매일 수확이 어렵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추의 발아적온은 18-$25^{\circ}C$이다. 그러나 작물생육에 중점을 두어 환경을 조절하는 현재의 제어온실내에서는 발아적온을 맞추기가 어렵다. 따라서 별도의 발아장치가 필요하다. (중략)

  • PDF

퇴적토 자원화 재활용을 위한 실험 연구 (Experimental Research for the Utilization of Alluvial Soil in Main Stream and Tributaries)

  • 현재혁;백정선;김민길;조미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8년도 총회 및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16
    • /
    • 1998
  • 최적 위치별 퇴적토에 대한 토양 특성 및 수목 식재용 유기토양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 각 시료의 수분, 유기물 함량 등에 따른 적절한 혼합을 통하여 식물 발아 성장의 최적화를 온실에서의 식물재배 실험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한다. 또한 식재용 토양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본 물성 및 유해성 평가를 하여 중금속이 식물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려하여 재활용 여부를 알아보았다. 퇴적토를 이용한 식물의 발아 및 생장 실험은 원퇴적토와 모래와의 혼합비를 달리하고 다른 불순물이 함유되지 않도록 하여 발아일수와 발아적온, 생육적온 등 최적 조건을 팬지와 금잔화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 PDF

국화과(菊花科) 잡초(雜草)의 발아특성(發芽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in the Several Weeds of Compositae)

  • 이병무;강병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65-272
    • /
    • 1988
  • 본(本) 시험(試驗)에서는 광(光)과 온도(溫度)에 따른 발아특성(發芽特性)과 심도(深度)에 따른 발아양상(發芽樣相) 및 ${\alpha}$-amylase activity에 대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고들빼기, 왕고들빼기, 흰씀바귀, 벌씀바귀를 공시식물(供試植物)로 하여 실시(實施)한 시험(試驗)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고들빼기, 왕고들빼기, 흰씀바귀, 벌씀바귀는 모두 광조건하(光條件下)에서 발아(發芽)가 양호(良好)하였다. 2. 고들빼기의 발아적온(發芽適溫)은 $25^{\circ}C$였으며, 최적출아심도(最適出芽深度)는 0mm였다. 또한 0~5mm의 심도(深度)에서 출아(出芽)가 가능(可能)했다. 3. 왕고들빼기의 발아적온(發芽適溫)은 냉온보관(冷溫保管)된 종자(種子)에서는 $19^{\circ}C{\sim}28^{\circ}C$였으며, 실온보관(室溫保管)된 종자(種子)에서는 $25^{\circ}C$였다. 그리고 냉온(冷溫) 및 실온보관(室溫保管)된 종자(種子)의 최적출아심도(最適出芽深度)는 5mm였다. 또한 냉온보관(冷溫保管)된 종자(種子)는 0~20mm에서 출아(出芽)가 가능(可能)했으며, 실온보관(室溫保管)된 종자(種子)는 0~10mm에서 출아(出芽)가 가능(可能)했다. 4. 흰씀바귀의 발아적온(發芽適溫)은 $22^{\circ}C$였으며, 최적출아심도(最適出芽深度)는 0mm였다. 또한 0~5mm의 심도(深度)에서 출아(出芽)가 가능(可能)했다. 5. 벌씀바귀의 출아적온(出芽適溫)은 $16^{\circ}C{\sim}19^{\circ}C$였으며, 최적출아심도(最適出芽深度)는 0mm였다. 또한 0~5mm의 심도(深度)에서 출아(出芽)가 가능(可能)했다. 6. 고들빼기, 왕고들빼기, 흰씀바귀는 모두 대조구(對照區)인 동보리 1호보다 ${\alpha}$-amylase activity가 현저히 낮았으며, ${\alpha}$-amylase activity의 증가(增加)는 발아후(發芽後) 증가(增加)와 같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인삼 종자의 발아에 관한 연구 II. 온도 및 종자처리가 배생장 및 발아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Germination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Meyer) Seed II. Influences of Temperature and Seed Treatment on Embryo Growth and Germination)

  • 원준연;조재성;김현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9-63
    • /
    • 1988
  • 인삼종자의 배생장에 미치는 온도 및 내과피의 영향을 구명하는 한편 미숙배의 생장적온과 후숙배의 저온처리 및 발아적온을 밝히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0^{\circ}C$ 이하에서는 종자 내과피의 유무에 관계없이 배의 생장은 정지되고 휴면상태로 되어 있다. 2) 15$^{\circ}C$ 및 2$0^{\circ}C$에서는 내과피제거+종자소독 종자의 배생장이 현저히 촉진되었으며 다음이 무처리대조구종자였고 내과피를 소독한 종자의 배생장은 무처리대조구종자에 비해 지연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3) 각 처리종자 모두 2$0^{\circ}C$보다는 15$^{\circ}C$에서 배의 생장속도가 가장 빨랐던 바 고려인삼종자 배의 생장 최적온도는 15$^{\circ}C$ 근처로 인정된다. 4) 배 후숙종자의 저온처리는 5$^{\circ}C$에서 100일간의 처리가 종자발아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5) 저온처리를 필한 배 후숙종자의 발아 적온은 15$^{\circ}C$ 근처였다.

  • PDF

저장조건이 수도종자의 발아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torage Condition on Germination Ability of Rice Seed)

  • 오용비;장영선;박희생;김동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01-206
    • /
    • 1985
  • 유전자원의 장기 안전보존 관리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농촌진흥청 종자저온 저장실에 보관되어 있는 수도 품종중 저장기간이 96, 86. 55, 20개월된 일반계 3품종, 다수계 1품종 모두 4품종을 공시하고 저장조건에 따른 발아력을 30~32$^{\circ}C$와 15~17$^{\circ}C$에서 시험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저장온도에 따른 발아율은 30~32$^{\circ}C$의 발아적온에서는 공시품종 모두 89 % 이상이었고 15~17$^{\circ}C$의 저온에서도 통일을 제외하고는 80 % 이상의 발아율을 보였으며 평균 발아일수 및 발아계수도 저장온도에 따른 차이는 인정할 수 없었다. 2. 저장기간에 따른 발아는 30~32$^{\circ}C$의 발아적온에서는 발아율, 평균 발아일수 및 발아계수의 차이가 없었으며 15~17$^{\circ}C$의 저온에서는 저장기간이 길수록 평균 발아일수가 길었고 발아율 및 발아계수가 낮은 경향이었으며 다수계품종(통일)이 일반계품종에 비하여 저온에서의 발아율이 낮았다. 3. 저장기간이 길수록 이당 발아 개체의 출현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4. 저장시 종자내 수분 함량이 높고 공기유통이 되지않는 용기(polyethlene)의 밀봉저장에서 발아력의 상실이 빨랐다.

  • PDF

인삼 뿌리썩음병균(Cylindrocarpon destructans) 후막포자의 형성 및 발아에 영향을 주는 물리화학적 요인 (Effect of 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on the Formation and Germination of Chlamydospore of Cylindrocarpon destructans Causing Root Rot of Panax ginseng)

  • 유성준;조진웅;조재성;유승헌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22-427
    • /
    • 1996
  • 인삼뿌리썩음병균(Cylindrocarpon destructans)후막 포자의 형성은 CD(Czapek`s dox broth)와 SNY(Spezieller Nahrtoffarmer yeast extract broth)배지에서 진탕배양(2$0^{\circ}C$, 120 rpm)하면 양호하였다. 특히 CD배지에서 2$0^{\circ}C$로 30일간 진탕배양하면 5.99 log 후막포자/ml로 형성되었다. 후막포자의 발아율은 12.9~23.3%로 CD배지와 SNY배지에서 좋았으며 발아적온은 5~1$0^{\circ}C$였고, 최적 pH는 6이었다. 그러나 2$0^{\circ}C$이상에서는 전혀 발아하지 않았으며 pH 7.0이상에서는 발아율이 급속히 저하되었다. 인삼추출물 3%, GA 10 ppm, IAA 10 ppm, NOVOZYM\ulcorner234 20 ppm을 처리 할 경우 대조구에 비해 발아율이 증가하였다. 특히 NOVOZYM\ulcorner234 20 ppm 처리구는 발아율이 무처리에 비해 2배 증가하였다. CD배지(pH5)에 NOVOZYM\ulcorner234 20 ppm과 GA 10 ppm을 조합처리하고 5$^{\circ}C$로 정치배양 할 때 후막포자의 발아율은 49.4%로 가장 높았다.

  • PDF

콩과식물 차풀, 비수리, 싸리 종자의 채종시기별 성숙도 및 발아특성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Maturity by Production Time of Chamaecrista nomame, Lespedeza cuneata and Lespedeza bicolor Seed in Fabaceae Plant)

  • 강희경;이자연;송홍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59-364
    • /
    • 2014
  • 충남지역에 자생하는 콩과식물 몇 종의 적정한 채종시기 판단과 발아특성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콩과식물 몇 종류의 종자 성숙도, 착생 종자량, 발아율, 발아일수, 탈립을 고려한 채종적기는 차풀이 10월 초중순, 비수리가 11월 초순, 싸리가 11월 초중순으로 판단되었다. 착생 종자량이 가장 많은 시기는 차풀이 10월 초순, 비수리와 싸리가 각각 11월 초순이었고, 성숙 말기 종자비율이 가장 높은 시기는 차풀이 11월 초순, 비수리와 싸리가 각각 11월 중순이었다. 채종시기별 발아율이 가장 높은 시기는 차풀(99.8%)이 10월 초순, 비수리(68.3%)가 11월 중순, 싸리(24.3%)가 11월 초순이었고, 채종시기별 발아일수가 가장 짧은 시기는 차풀이 10월 중순, 비수리와 싸리가 각각 11월 중순이었다. 공시종자의 발아적온은 차풀이 $15{\sim}35^{\circ}C$, 비수리가 $25{\sim}30^{\circ}C$이었고, 싸리는 발아율이 낮아 발아적온의 판단이 어려웠다.

피트모스 육묘상토 내 온도가 고추 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s in Seedling Media on Pepper Emergence at Peat Moss)

  • 전희;김현환;이시영;김경제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54-56
    • /
    • 2002
  • 고추는 국내 재배면적이 노지재배가 75,000 ha 정도로서 해마다 조금씩 감소하고 있고, 시설재배가 5,000 ha 정도로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약 80,000 ha 의 재배 면적을 매년 심어야 하기 때문에 원예작물 가운데 가장 많은 모종을 필요로 한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공정육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60%를 넘고 있다. 고추종자는 발아적온이 28-3$0^{\circ}C$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발아소요일수가 2-3일 정도로서 발아적산온도는 1,300~1,450$^{\circ}$ 정도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목야잡초 Sourgrass의 발아 및 생육과 사료작물과의 경합에 관한 연구 (Germination and Growth of Sourgrass and its Competition with Forage Grasses)

  • 변종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19
    • /
    • 1976
  • Sourgrass는 하와이를 비롯한 미국남부와 남아메리카 전지역의 목야지에서 가장 문제되는 다년생 잡초의 하나이다. 그러나 이 잡초에 대한 연구는 거의 되어 있지 않으므로 발아 및 생육 그리고 방제방법으로 사료작물과의 경합에 의한 목야관리를 통해 제거 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Sourgrass의 발아적온은 조명하에서 20∼30 C 또는 25∼35 C의 변온이나 30 C의 항온이었다. 암조건하에서는 25∼35 C의 변온을 제외하고는 불량하였다. 2. 암조건하에서는 발아가 억제되었으나 GA를 처리하므로 매우 향상되었다. 3. 발아율은 수분흡수 억제가 증가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나 4.0바아 이상이 되어야 비로소 급격히 떨어졌다. 4. 재식밀도와 건물중과는 고도의 부의 곡선회귀 관계가 있었다. 5. Sourgrass는 Buffelgrass 혹은 Guineagrass와 경합하므로 생육이 심히 억제되었으며 자연조건하에서 목야관리를 통해 제거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 PDF

Priming 조건이 양파 종자의 발아율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iming Conditions on Enhancing Germination of Onion (Allium cepa L.) Seeds)

  • 조상균;서홍렬;오영진;심강보;최경구;이성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91-198
    • /
    • 2006
  • 양파 종자의 초기발아 촉진을 위한 priming 처리시 그 적정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priming 처리 약제의 종류와 농도, priming 처리 기간과 온도, priming 처리후 온도조건에 따른 발아율에 대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양파종자의 초기 발아 촉진 및 발아율 향상을 위한 priming 처리결과 최종 발아율 향상 및 발아 소요일수 단축에 효과적 이었으며, priming 처리에 가장 효과적인 약제는 150 mM 농도의 KCl이였으며, priming 처리기간 및 온도는 $10^{\circ}C$에서 6 일간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는데 발아율은 96%로 일반종자의 82% 에 비해 14%가 높았다. 2. Priming 처리한 종자는 발아온도 $20^{\circ}C$ 이상보다는 $10^{\circ}C$$15^{\circ}C$의 저온에서 발아율 향상 및 발아 소요일수 단축 효과가 커서 적온보다는 저온에서 priming 처리 효과가 극대화 될 것으로 판단된다. Priming 처리한 후 종자 건조 조건은 $20^{\circ}C$에서 5 시간 건조시키는 것이 가장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