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수성 표면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8초

자외선 가속열화에 따른 전력용 실리콘 절연재료의 열화평가 (Degradation of Silicone Rubber Used as Outdoor Insulator Under Accelerated Weathering Condition)

  • 연복희;배경무;이상진;백주흠;김성욱;전승익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906-1908
    • /
    • 2004
  • 본 논문은 옥외용 고분자 절연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리콘 고무의 장기 자외선 가속열화에 따른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전기적인 평가 방법 이외에 각종 화학적 분석기기를 사용하여 보다 정확히 재료의 열화를 판정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실리콘 고무는 내후성이 우수하지만, 가속열화가 진행되면서 표면의 전기적 저항률이 높아지고, 전하축적이 용이해지는 표면구조로 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재료 내에서 발수성 회복역할을 하는 저분자량 성분이 감소하였고, 열적특성이 변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최근 확산되고 있는 옥외용 고분자 절연물의 성능평가 및 수명예측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PDF

ALC의 탄산화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rbonation Characteristics of ALC)

  • 서성관;추용식;박수현;송훈;이종규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70-76
    • /
    • 2012
  • ALC의 탄산화를 분석 평가하기 위하여 비중을 0.4, 0.5 및 $0.7g/cm^3$로 제어하였으며, 이중 $0.5g/cm^3$ ALC에 실리케이트 및 실록산계 발수제를 표면 도포하였다. 또한 슬러리에 실리콘 오일 발수제를 첨가하여 ALC를 제조하기도 하였다. ALC의 탄산화는 비중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ALC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탄산화도는 감소하였다. 이는 ALC 조직이 치밀할수록 $CO_2$ 가스의 침투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실리케이트 및 실록산계 발수제를 표면 도포한 ALC에서는 Ref. ALC 보다 탄산화 저항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슬러리에 실리콘 오일을 첨가한 ALC에서 가장 우수한 탄산화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 PDF

액적 충돌 거동에 대한 표면 패턴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urface Patterns on Droplet Impingement Behaviors)

  • 전민경;김두인;강신일;정명영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07-11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발수 표면을 제작하였으며, 발수기능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액적의 충돌 거동에 대하여 평탄한 단위면적에 대한 구조물의 면적비인 표면 변수의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액적의 충돌 거동을 연구하기 위해 액적 충돌 시험을 통하여 충돌한 액적이 되튐에서 분산으로 천이 되는 임계높이를 측정하였다. 높은 표면 변수에서는 낮은 임계높이가 관찰되었으나, 낮은 표면변수에서는 임계높이가 증가하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표면변수가 더욱 감소할 경우 임계높이가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찰된 결과는 높은 임계높이를 위해서는 최적의 표면 형상 설계가 요구됨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 우스키 석불군의 재질특성과 보존처리제 적용 효과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Efficiency of Treatments for Usuki Stone Buddha Statues in Japan)

  • 이명성;이재만;이선명;김사덕;모리 마사유키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3호
    • /
    • pp.78-91
    • /
    • 2011
  • 일본 우스키 석불군의 주요 구성암석은 용결응회암으로 암회색을 띠며 렌즈상 피아메가 발달되어 있고 부분적으로 암편을 함유하고 있다. 이 암석은 대체로 장석 및 불투명 광물 등으로 이루어진 기질에 석영과 장석 반정이 관찰되며 강용결에서 약 또는 미 용결까지 다양한 산출상태를 보인다. 또한 지하수에 의한 염류 석출, 동결 파쇄 등 다양한 풍화요인에 의해 강도가 저하된 상태이다. 이 암석의 용결 및 풍화상태에 따라 보존처리제의 표면처리 실험 결과, 흡수율은 발수제가 강화제에 비해 높은 감소를 보이며 강화제 중에서는 OH 100이 높은 감소율을 보인다. 초음파속도는 전체적으로 KSE 300과 OH 100이 비슷한 강도증가를 보이며 에코팁 표면경도는 모든 시료에서 KSE 300이 높은 경도증가를 나타냈다. 색변화는 강화제가 발수제에 비해 적었으며 발수제 SNL은 표면색의 변화가 현저하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동결-융해 실험 결과, 미처리 시료에 비해 KSE 300으로 처리한 시료가 균열 및 깨짐 등에 대한 풍화 저항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RTV 실리콘 고무 코팅재의 표면전하 축적이 발수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cumulated charges on Surface Hydrophobicity of RTV Silicone Rubber)

  • 연복희;허창수;조한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97-600
    • /
    • 2001
  • In this paper, we evaluated the effect of accumulated charges on hydrophobicity of room temperature vulcanized(RTV) silicone rubber, which could improve the contamination performance of porcelain insulators, with uv radiation time. Outdoor insulating material could be charged by the corona discharge on field intensified area of insulator and discharge between the water drops. In addition, we performed the accelerated uv radiation on samples and investigated the change of charging decay with time. In this results, it is found that silica-like structure on the surface of RTV silicone rubber was formed by uv treatments and this layer have the characteristic of retaining the charges on surface for a long time. These charges have effects on its hydrophobicity and so adversely effects on contamination performance. Based on our results, we discussed the other degradation mechanism with well known ones.

  • PDF

HTV 실리콘 고무에서 열화인자에 따른 저분자량 성분과 표면 발수성의 변화 (Effects of Ageing Factors on Low Molecular Weight Silicone Fluids Content Fluids Content and Surface Hydrophobicity in HTV Silicone Rubber)

  • 허창수;연복희;조한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10
    • /
    • 1999
  • In this paper,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on Low Molecular Weight (LMW) silicone fluid contents existing in high temperature vulcanized (HTV) silicone rubber sample, using dipping method and contact angle, current measurement. Artificial treatments such as immersion in water, elevated temperature, UV irradiation and dry band arcing under salt-fog condition are selected as the environmental factors. This results will be helpful to investigate the degradation with time and to expect a life time, because the LMW silicone content, which is important to recovery the hydrophobicity of silicone rubber surface, show different results by each environmental factors.

  • PDF

Tetraethoxysilane과 Chlorotrimethylsilane으로부터 PMMA 기재 위에 발수성 코팅 도막 제조 (Preparation of Water-Repellent Coating Films from Tetraethoxysilane and Chlorotrimethylsilane on PMMA Substrates)

  • 박종호;이병화;송기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1호
    • /
    • pp.124-132
    • /
    • 2019
  • 출발물질로서 TEOS (tetraethoxysilane)와 CTMS (chlorotrimethylsilane)를 사용하여 물과의 가수분해 및 중축합 반응에 의해 발수 코팅 용액을 합성하였다. 또한 이 용액을 PMMA 시트 위에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비불소계 발수 코팅 도막을 제조하였다. 코팅 도막은 수접촉각, UV-Vis 투과율 및 미세구조 관찰에 의해 분석되었다. CTMS/TEOS의 몰비를 0.6~1.0으로 변화시켜 제조 된 코팅 도막은 CTMS/TEOS의 몰 비가 0.8일 때 $107^{\circ}$의 최대 접촉각을 나타내었다. 또한 코팅 도막은 CTMS/TEOS의 몰 비가 0.6~0.8일 때 90%의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보였다. 그러나 CTMS/TEOS의 몰 비가 0.9~1.0인 경우에는 거친 표면의 불균일한 형상으로 인해 코팅 도막은 70% 이하의 낮은 투과율을 보였다.

인공 다공질체를 이용한 석조문화재 강화제의 처리효과 (Effect of Consolidation using Artificial Porous Material for Stone Cultural Property)

  • 이재만;이명성;김재환;이미혜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5-334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석조문화재 강화제의 처리 효과를 정량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화강석분과 포틀랜드시멘트를 이용하여 강도가 낮은 인공 다공질 시료를 제작하고, 여기에 4종의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와 아크릴수지, 에폭시수지 등 상업화 된 6종의 강화제를 적용하여 처리 전과 후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Silres BS OH 100은 밀도 및 표면 경도 향상에 효과적이며, 발수성의 SS-101과 친수성의 Site SX-RO는 염풍화에 대해 향상된 내구성을 보였다. Araldite 2020은 물리적 기능 향상에 가장 효과적이나, Syton HT-50 및 Paraloid B72는 낮은 침투율로 인해 표면 일부에 처리효과가 집중되어 전체적으로는 풍화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소화알콜의 에스텔화 막반응기를 위한 새로운 PVA막의 제조와 투과증발특성 (Preparation of novel PVA membranes and their pervaporation properties for esterification membrane reactor of TFEMA)

  • 안상만;장봉준;김정훈;이수복;이용택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2004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56-159
    • /
    • 2004
  • TFEMA(2,2,2-trifluoroethylmethacrylate)는 광섬유 코팅제, 발수 발유제, 기능성 페인트, 방오가공제, 고분자의 표면개질제 등의 많은 응용제품에 활용되는 단량체로 그 시장규모가 국내에서 600억원, 전 세계에서 8,000억에 해당하는 고부가가치의 화학원료이다. TFEMA는 현재 산촉매하의 8.$0^{\circ}C$의 고온에서 TFEA(2,2,2-trifluoroethaol)와 MA(methacrylic acid)와의 에스텔화 반응으로 제조된다.(중략)

  • PDF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한 toilet의 flushing에 의한 오염 분석과 수치 모델링

  • 도우리;노지현;양원균;주정훈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0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75-75
    • /
    • 2010
  • 배변 후 toilet flushing 시 다량의 세균을 포함한 물방울들이 화장실 곳곳으로 퍼지는 현상이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변기 뚜껑에 자기 세정 효과를 갖는 초발수 표면을 위해 플라즈마를 이용한 표면 처리가 시도되고 있으며, 이 연구의 일환으로 flushing시의 변기내의 유동 분석을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Toilet flushing 시 물 튀김 현상은 육안으로는 잘 관찰하기 어렵지만 최고 1000 frame/sec의 속도를 갖는 CCD camera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물 튀김에 의한 오염 가능성을 촬영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소변 시의 변기 표면에서의 튀김현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소변의 발사각도 및 속도를 가장 실제와 유사한 조건으로 설정하고 이를 상용 전산 유체 역학 소프트웨어인 CFD- ACE+의 자유 표면 계산 기능과 두 가지 유체(액체 및 기체)의 혼합 계산 모델을 사용한 계산 결과와 비교 하였다. 그 결과 변기 표면의 표면장력을 아주 작게 설정한 경우(작은 접촉각, 친수성)에는 중력의 영향을 고려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소변이 변기에 충돌 후 상부로 상당부분 튀어 올라가는 결과를 얻었다. 여러 가지 각도와 발사 속도, 실제의 인체와 유사한 발사 부위의 형상 변화로 인한 유체 표면의 난류 발생과 이에 따른 변기 표면 충돌 현상 변화 등을 수치적으로 고찰하였다. 한 예로 5.6 mm 직경의 노즐에서 소변이 나오는 경우를 발사 속도 3 m/s, 각도 $10^{\circ}$로 주고 중력을 고려하여 10초 동안을 계산하면, 방뇨 시 toilet bowl 내부에서의 물의 유동과 toilet 표면을 맞고 튀기는 현상을 그림 1과 같이 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