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수성 표면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36초

무기물 금속염계 발수분체를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물리적 특성 및 수분흡수저항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Physical Properties and Water Absorption Resistance Evaluation of Cement Mortar Incorporating Inorganic Metal Salt-based Water Repellent Powder)

  • 이원근;윤창복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609-61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금속염계 무기물인 발수분말과 포졸란계 재료인 천연제올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여 시멘트 모르타르에 혼입하고 물리적 특성 및 수분에 대한 저항성을 확인하였다. 무기물 금속염계 발수분말을 단독으로 혼입한 시험체에 비해서 천연제올라이트를 동시에 사용한 시험체에서 수분침투실험 및 그에 수반하는 염화물 침투시험에서 높은 저항성을 갖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금속염계 발수분말을 사용하는 경우 불용성으로 인하여 수분침투저항성이 내부에서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고 표면에 국한되었으며 천연제올라이트와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포졸란 반응으로 인해 수화초기의 응결시간이 빠르고 또한 천연제올라이트의 다공성 내부에 발수분말이 부착되어 내부에서도 수분저항성이 일부 생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알카라인 연료전지 가스확산층 내구성 향상을 위한 초발수 코팅 최적화 연구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Superhydrophobic Coating for the Durability of Gas Diffusion Layer in Alkaline Fuel Cells)

  • 김숭연;서민혜;엄성현
    • 공업화학
    • /
    • 제28권6호
    • /
    • pp.691-69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알카라인 연료전지 환원극 가스확산층에 내열화학성이 우수한 초발수 성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PDMS 코팅 공정을 최적화하였다. 성격이 상이한 두 개의 상용 가스확산층을 선택하였으며, 소재의 열적 안정성을 검토하여 코팅 온도를 최적화하고, PDMS 점도를 제어하여 코팅 균일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PDMS 전구체의 점도와 관계없이 $200^{\circ}C$ 부근에서 코팅하게 되면 모든 확산층 표면에서 높은 초발수 성능을 나타내었다. 가혹실험 조건에서 초발수 성능변화를 측정한 결과 1000 CS PDMS를 이용하여 28BC 가스확산층에 코팅한 경우가 가장 높은 내구성을 나타내었다.

Sol-gel 법에 의한 초발수 $SiO_2$ 박막의 제조 및 특성 (Fabrication and properties of superhydrophobic $SiO_2$ thin film by sol-gel method)

  • 김진호;황종희;임태영;김세훈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277-281
    • /
    • 2009
  • 초발수 $SiO_2$ 박막을 sol-gel법에 의해 유리 기판 위에 성공적으로 제조하였다. 높은 표면 조도를 갖는 $SiO_2$ 박막을 제조하기 위하여 tetraethoxysilane(TEOS) 용액에 $SiO_2$ 나노 입자들을 첨가하였다. $iO_2$ 입자를 첨가하지 않은 용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코팅막은 RMS roughness가 1.27 nm의 매우 평평한 표면 구조를 나타낸 반면, $SiO_2$ 나노 입자들을 1.0, 2.0, 3.0 wt% 첨가한 용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SiO_2$ 박막의 RMS roughness는 44.10 nm, 69.58 nm, 80.66 nm로 측정되었다. 제조된 $SiO_2$ 박막의 표면을 소수성 표면으로 바꾸기 위하여 FAS 용액을 이용하여 발수 처리를 하였다. FAS 처리 이후 거친 표면구조를 갖는 $SiO_2$ 박막의 표면은 친수성에서 소수성으로 바뀌었고 특히, 80.66 nm의 RMS roughness를 갖는 박막은 $163^{\circ}$의 물 접촉각을 갖는 초발수 표면을 나타내었다.

옥외용 실리콘 절연재료의 발수성에 미치는 표면전하의 영향과 표면 상태에 따른 표면전위 감쇠 (Effects of Surface Charges on Hydrophobicity and Surface Potential Decay with Various Surface States of Silicone Rubber for Outdoor Insulator)

  • 연복희;박충렬;허창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678-686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the effects of accumulation of surface charges on hydrophobic level and the changes of surface potential decay with various artificial environment treatments on high temperature vulcanized (HTV) silicone rubber used for outdoor insulating material. For this study, the charging apparatus by corona discharge, in which grid electrode was installed between the main corona and ground electrode, was used. From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accumulation of surface charges above a critical surface potential on silicone insulating materials could lead to the temporary loss of surface hydrophobicity. In addition, corona stress and water absorption stress increase the decay rate of surface charges of HTV silicone rubber, while ultraviolet (UV) stress causes longer decay time. We could conclude that the effects of surface charges on hydrophobicity level and the changes of surface state by various artificial treatments were found through a trend of surface potential decay.

흙페인트의 적절한 사용을 위한 표면경도 및 발수성에 관한 연구 (Surface Hardness and Water Repellet of Earth Paint)

  • 황혜주;노태학;이진실
    • KIEAE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83-88
    • /
    • 2016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surface hardness and water repellency of earth paint manufactured with earth, a natural material, and provide the results as basic data for paint made with natural materials. Method : After presenting the accurate manufacturing methods for basic materials for paint, the authors conducted and analyzed experiments to evaluate surface hardness and water repellency, fundamental performance indicators for paint, based on different mixture ratios.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o assess the surface hardness of flour-based earth paint, we observed high surface hardness only after painting the specimen three times. Since potato starch-based earth paint has higher viscosity than its flour-based counterpart, the former did not paint well on the first occasion, resulting in low surface hardness. After painting two or more times, however, it was observed to have higher surface hardness than flour-based earth paint. Result : It was found that at least three iterations of painting was required to obtain high surface hardness of potato starch-based earth paint.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water resistance experiment of earth paint suggest that the use of environment-friendly finishing materials coupled with boiled linseed oil will mitigate the drawbacks of earth paint. The experiment with one-year-old specimens also demonstrated similar water repellent characteristics, which indicates that the performance will improve once the paint has dried for a sufficient period of time.

초발수성 및 발수성 알루미늄 양극산화피막의 최신 연구 동향 (Superhydrophobic and Hydrophobic Anodic Aluminum Anodic Oxide Layer: A Review)

  • 이정훈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1-20
    • /
    • 2018
  • Hydrophobic and Superhydrophobic surfaces are promising technology for the surface finishing of metallic materials due to its water-repellency. Realization of highly water-repellent surface on aluminum and its alloys provides various functionalities for real application fields. In order to realize the hydrophobic/superhydrophobic surfaces on aluminum and its alloys,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demonstrated. Especially, traditional anodic oxidation for aluminum has been widely employed for the morphological texturing of surfaces, which is essential to enhance the hydrophobic efficiency. De-wetting superhydrophobic surface on aluminum provides various exceptional properties, such as anti-corrosion, anti-/de-icing, anti-biofouling, drag reduction, self-cleaning and liquid separation. Nevertheless, the durability and stability of superhydrophobic surfaces still remain challenges for their actual applications in engineering systems and industry. In this review, the theoretical/experimental studies and current technical limitations on the hydrophobic and superhydrophobic surface using anodic oxidation of aluminum have been summarized.

핀-관 열교환기의 착상 거동에 대한 표면 접촉각의 영향 (The effect of surface contact angle on the behavior of frost formation in a fin-tube heat exchanger)

  • 이관수;지성;이동욱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95-101
    • /
    • 2000
  • The effect of surface contact angle on the behavior of frost formation in a fin-tube heat exchanger i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It is shown that both heat exchangers with hydrophilic and hydrophobic surfaces appear to have a better thermal performance than bare aluminium heat exchanger, but the improvements are very small. There is a little increase in the amount of the frost deposited onto the heat exchanger with both hydrophilic and hydrophobic surface. However, the effect of contact angle on the frost density is observed ; the frost with high density forms on the heat exchanger with hydrophilic surface ; and the frost with low density is deposited onto the heat exchanger with hydrophobic surface when compared with the frost deposited onto the heat exchanger with bare aluminium surface.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shape of water droplets which condense on the surface of heat exchanger at the early stage of frosting varies with contact angle, and thus makes a difference on the structure of frost formation. From the experiments with different relative humidity of inlet air, it is shown that the variations of operating parameter make no influence on the effect of surface contact angle on the frosting behavior in the heat exchanger.

  • PDF

유화 중합법에 의한 불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제조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luoroacrylate Copolymer by Emulsion Polymerization)

  • 김동옥;김지현
    • 폴리머
    • /
    • 제27권6호
    • /
    • pp.528-535
    • /
    • 2003
  • 불소계 섬유용 발수$.$발유제의 제조에 일반적으로 쓰이는 과불소알킬아크릴레이트 및 노말알킬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를 유화 중합법으로 제조할 시 계면활성제, 유기용매, 내구성 향상 목적으로 소량 첨가되는 기능성 단량체 및 공중합체의 결정 용융 온도 (T$_{m}$ )변화에 따른 고분자 라텍스의 입자 직경 변화와 그들의 표면 특성 (접촉각 및 발수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WAXD 실험을 통해 공중합체의 T$_{m}$ 의 변화에 따른 공중합체의 곁사슬의 채움구조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통해 표면 특성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과불소알킬아크릴레이트와 더불어 말단기가 약간 다른 불소아크릴레이트, [CH$_2$= CH$CO_2$CH$_2$(CF$_2$CF$_2$)nH] (n=4,5,6)를 사용한 불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도 동시에 합성하여 공중합체의 곁사슬의 채움구조, 말단기($CH_3$-,CF$_3$-,CHIF$_2$-)의 종류 및 농도변화에 따른 표면 특성 (접촉각, 발수도 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폴리머 옥외 절연물 소재의 전기적 특성 평가 기술 (Evaluation Technology of Electrical Characteristics for Outdoor Polymer Insulator Materials)

  • 박효열;강동필;안명상;명인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547-1549
    • /
    • 2003
  • 송배전용 설비에 사용되는 옥외 절연물로는 자기질이나 유리질의 애자가 주로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 신소재의 발달로 가볍고 절연성능이 우수한 폴리머 애자가 보편화되기 시작하였다. 폴리머 애자가 자기질 및 유리질의 애자에 비하여 내열성과 내후성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지만 절연물이 오염과 습윤된 환경에서 폴리머 애자의 절연성능이 휠씬 우수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폴리머 애자의 장기성능 예측을 위하여 많은 수단과 측정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폴리머 애자의 하우징 재료는 내열성, 내후성, 산화안정성, 발수성 및 내오염성 등 절연소재로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하우징 표면에서의 방전이 발생될 때 옥외절연물에서의 성능은 하우징 재료의 배합처방에 따라서 많은 차이가 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우징용 소재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방법과 평가결과를 해석하는 기술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아크릴 공중합체와 지방산 카르바미드의 블렌딩에 의한 내구유연발수제의 제조에 관한 연구 - I. 면직물에의 발수가공 -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Durable Softening Water-repellenting Agent by Blending Acrylic Copolymer and Fatty Carbamide - I. Water-repellent Finish of Cotton Fabrics -)

  • 김영근;이종민;박은경;박홍수
    • 공업화학
    • /
    • 제5권2호
    • /
    • pp.345-356
    • /
    • 1994
  • 내구유연발수제를 제조할 목적으로 전보에서 합성한 poly(OMA-co-DAMA)[PODC], poly(DMA-co-DAMA)[PDDC], poly(EMA-co-DAMA)[PEDC] 각각의 양이온화물, 본 실험에서 합성한 지방산 카르바미드의 양이온화물(ODTCC), 왁스류 및 유화제들을 블렌드시켜 발수제 PODCW, PDDCW, PEDCW를 각각 제조하였다. 발수제 PODCW, PDDCW, PEDCW 각각을 면직물에 단독 및 수지병용으로 처리하여 내세탁성, 인열강도, 방추도 및 접촉각 등을 측정해 본 결과, 물성의 향상을 가져왔다. 그러나 발수도는 PODCW의 경우 80 정도로 사용 가능하였으나, PDDCW와 PEDCW의 발수도는 현저히 저하되었다. 제조된 발수제의 적정 열경화온도는 $140^{\circ}C$, 적정 사용농도는 3wt%이었고, 사용된 발수제용 촉매 중 아세트산나트륨이 가장 좋았으며, 촉매의 사용농도는 0.6wt%가 적당하였다. 또한 발수제와 셀룰로오스 섬유화의 반응메카니즘을 규명하고 내세탁성 결과치를 검토한 결과, 제조된 발수제가 내구성 발수제임을 입증하였으며, SEM으로 발수처리된 면직물의 표면구조를 관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