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성장애

Search Result 17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Case of Abductor Type Spasmodic Dysphonia Treated with $Botox^{circledR}$ Injection to Posterior Cricoarytenoid muscle (후윤상피열근에 $Botox^{circledR}$ 주사로 치유된 외전형 연축성 발성장애 1례)

  • 서장수;송시연;배창훈;정옥란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6.11a
    • /
    • pp.86-86
    • /
    • 1996
  • 연축성 발성장애(spasmodic dysphonia)는 아직까지 그 원인을 정확히 밝혀내지 못하고 있는 만성적인 발성장애로 과거에는 경직성 발성장애(spastic dysphonia)로 불리던 질환이다. 연축성 발성장애는 두 종류 즉, 내전형(adductor)과 외전형(abductor)으로 나누어지며 이중 내전형이 대부분이다. 외전형 연축성 발성장애는 발성도중에 성대가 갑자기 불수의적으로 외전되면서 음성이 중단되므로 원활히 대화하기가 힘든 질환이다. 이러한 질환은 국소적 근긴장이상(fecal dystonia)의 일종이다. 현재까지 연축성 발성장애의 치료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는 언어치료, botulium 독소주입술, 편측반회후두신경절 단술, 반회후두신경분쇄술, 상후두신경절단술, 갑상연골성형술, implantable stimulator 등이 있다. 연축성 발성장애 환자에 $Botox^{circledR}$ 주입에 관한 보고는 주로 내전형에 대해서만 보고되고 있으며 외전형에 대하여 보고된 예는 매우 적다. (중략)

  • PDF

Design of Speech-Training System for Voice Disorders Using Visual Effect (발성장애아동을 위한 발성훈련시스템 설계)

  • 정은순;김봉완;이용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696-698
    • /
    • 2000
  • 본 연구는 발성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시각적 효과를 이용하여 발성치료 및 교육을 위한 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특수아동의 발성장애에 대한 특성을 고려하여 그에 적합한 반복학습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GUI와 게임적 요소를 가미하여 발성에 대한 아동의 흥미유발과 자발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내전성 연축성 발성장애의 음성학적 및 근전도학적 진단 특성

  • 김형태;조승호;김민식;선동일;박영학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7.11a
    • /
    • pp.266-266
    • /
    • 1997
  • 배경 : 내전성 연축성 발성장애의 원인은 아직까지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며 객관적 진단방법에 어려움이 있는 질환이다. 목적 : 내전성연축성발성장애 환자에서 객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음성분석의 특징과 근전도를 통한 근신경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략)

  • PDF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Neurogenic and Functional Dysphonia (신경성 발성장애와 기능성 발성장애의 감별 진단)

  • Kim, So Yean;Lee, Sang Hy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 /
    • v.28 no.2
    • /
    • pp.71-78
    • /
    • 2017
  • Voice disorder i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tructural, neurogenic and functional dysphonia. Neurogenic dysphonia refers to a disruption in the nerves controlling the larynx. Common examples of this include complete or partial vocal cord paralysis, spasmodic dysphonia. Also it occurs as part of an underlying neurologic condition such as Parkinson's disease, myasthenia gravis, Lou Gehrig's disease or disorder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at causes involuntary movement of the vocal folds during voice production. Functional dysphonia is a voice disorder in the absence of structual or neurogenic laryngeal characteristics. A near consensus exist that Muscle tension dysphonia (MTD) is functional voice disorder wherein hyperfunctional laryngeal muscle activity whereas Spasmodic dysphonia (SD) is neurogenic, action-induced focal laryngeal dystonia including several subtype. Both Adductor type spasmodic dysphonia (AdSD) and MTD may be associated with excessive supraglottic contraction and compensation, resulting in a strained voice quality with spastic voice breaks. It makes these two disorders extremely difficult to differentiate based on clinical interpretation alone. Because treatment for AdSD and MTD are quite different, correct diagnosis is important. Clinician should be aware of the specific vocal characteristics of each disease to improve therapeutic outcome.

  • PDF

연축성발성장애의 음성학적 양상

  • 최홍식;이주환;김인섭;고윤우;오종석;이광현;최성희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9.11a
    • /
    • pp.179-179
    • /
    • 1999
  • 배경 : 연축성발성장애는 특징적인 음성의 단절과 함께 짜는 듯한 특징적인 목소리를 보이는 질환으로 발생시기가 다양하지만 대개 중년의 여성과 남성에게 호발하는 만성질환이나 아직까지 그 원인과 병태생리는 규명되어 있지 않으며 이의 음성언어분석 검사에 관한 보고는 드물다. 목적 : 본 연구는 세브란스 병원 이비인후과에서 연축성발성장애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음성 연어분석 검사를 시행한 후 이를 정상인군과 비교 분석하여 연축성 발성장애의 병태생리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변성발성장애 환자에 대한 음성치료의 효과

  • 표화영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8.11a
    • /
    • pp.197-197
    • /
    • 1998
  • 변성발성장애는 변성기의 시기를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음도저하를 습득하지 못함으로써 야기되는 음성장애의 한 가지로, 이런 환자들에 대해서는 제3형 갑상연골성형술을 통한 수술적 처치나 음성치료로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중 음성치료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음성치료에 의한 변성발성장애 치료의 효율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중략)

  • PDF

후두미세수술후 지속적인 음성장애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 김명상;표화영;최홍식;김영호;김광문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7.11a
    • /
    • pp.257-257
    • /
    • 1997
  • 1996년 10월부터 1997년 6월까지 안ㆍ이비인후과병원과 영동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에 음성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성대양성질환으로 성대미세수술을 시행하고 음성검사를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는 총 85명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수술시 병명, 수술시 레이저(laser)사용유무, 수술 후 발성장애 유무를 확인하였으며 그 중 수술 후 지속적인 혹은 반복적인 발성장애를 보인 환자는 총 12명으로 발성장애의 원인과 치료의 종류 및 치료효과를 판정하기 위해 후두비디오스트로보 스코피 검사, 청각심리검사 및 음성분석을 확인하였으며 통계처리를 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