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산

Search Result 70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pplication of the Instantaneous Lyapunov Exponent and Chaotic Systems, Part 1: Theory and Simulation (순간 발산지수의 카오스계에의 응용, 파트 1: 이론 및 시뮬레이션)

  • Shin, Ki-H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6 no.1 s.94
    • /
    • pp.141-149
    • /
    • 1999
  • 어느 한 계가 양수의 발산지수(Lyapunov exponent)를 가질 때 이 계는 카오스계로 분류되며 그 동특성은 예측이 불가능해 진다. 감쇠 기계계(소산계)에서는 위상공간(phase space)의 초기 부피가 시간에 따라 수축한다. 발산 지수들의 합은 음수이며 그 기계계의 감쇠와 관련되며, 따라서 발산지수들의 합은 감쇠의 변화를 감시하는데 사용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그 감쇠변화를 감시하기 위해서는 발산지수를 계산하는데 사용하는 신호(data) 부분(segment)이 짧아야 한다. 이는 문제점을 야기시키는데 그 이유는 발산지수가 아주 많은 양의 발산률(divergence rate)의 평균으로서 구해지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저자는 '순간발산지수(Instantaneous Lyapunov Exponent)'를 도입하였으며, 이 순간발산지수들의 합이 어떻게 기계계의 감쇠와 관련되어지는 가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미분방적식과 시계열(time series)을 이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은 '순간발산지수들의 합'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그러나 시계열(또는 실험신호)로 부터의 정확한 순간발산지수를 측정하기는 매우 힘들기 때문에 '부분발산지수(Short term averaged Lyapunov Exponent)'를 또한 도입하였다.

  • PDF

발산원의 밀폐와 포위구조

  • Korea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 월간산업보건
    • /
    • s.69
    • /
    • pp.37-41
    • /
    • 1994
  • 작업환경관리에 있어서 유해물대책의 기본은 유해물을 한경중으로 발산시키지 않는 발산원에 대한 대책이다. 발산원을 포위(enclosure)하는 것은 원재료의 대체 (material substitution), 공법의 개량(process substitution)과 함께 발산원 대책으로서 우수한 방법이다. 이전에는 유해성이 적다고 여겨지는 원재료로 대체하는 일이 성행던 시기가 있었으나, 유해성이 적다고 믿었던 물질도 연구가 진척되면서 새로운 유해성이 발견되기도 하고, 또 직접적으로 인체에 섭취된 경우에 독성은 적더라도 대기중의 오존층을 파괴하는 성질을 알게 되었다든가 하는 등으로 최근에는 원재료의 대체가 대단히 어려워졌다. 그리고 공법의 개량은 기술적인 제약에 실행할수 있는 경우가 한정된다. 이에 비하여 발산원의 포위는 기술적으로도 용이하고 응용범위가 넓은 방법이라고 할수 있다. 발산원을 포위하는데는 밀폐구조의 설비가 이용된다. 이번 호에서는 포위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실예와 함께 소개한다.

  • PDF

유역일증발산 추정모형 개발

  • Kim, Nam-Won;Kim, 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1.07a
    • /
    • pp.102-113
    • /
    • 1991
  • 한정된 수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물관리시스템을 구축운영하는데 수문학적 물손실의 관점에서 증발산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증발산이 실제 유역에서 변화하는 것을 일별로 추정하기 위해서 유역일증발산 모형을 개발하여 실제증발산을 추정하였다. 실제증발산은 잠재증발산을 먼저 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강우차단에 의한 증발, 토양증발, 지표하 증산으로 나누어 추정하였다. 잠재증발산 추정방법은 토양-식생-대기의 관계를 정교히 모식할 수 있는 Penman-Monteith 방법을 채택하였고, 강우차단에 의한 증발은 Bultot와 Dupriez가 제안한 모형을, 토양증발은 Ritchie가 제시한 모형을 채택하였다. 증산은 토양층을 상부·하부층으로 나누어 상부층증산과 하부층 증산으로 분리 추정하였으며, 증발산과 토양수분의 관계는 Thornthwait-Mather의 관계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이 모형의 타당성을 임업연구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2개의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검토하였다. 그결과 실제일증발산을 년단위로 계산한 실제증발산값은 물수지 개념에 의한 실제증발산결과와 비교할 때 약 8~30% 오차를 수반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모형의 실제유역의 적용에 있어서 입력되는 여러 매개변수가 가정에 의해 결정된 것이기 때문일 것이라고 판단된다.

  • PDF

군사과학의 EMI 문제

  • 최태인
    • 전기의세계
    • /
    • v.38 no.9
    • /
    • pp.46-51
    • /
    • 1989
  • TEMPEST란 통신장비나 정보처리장비에서 발산되는 미약한 전자신호가 탐지, 도청되는 현상인데 각국에서는 명칭에 대한 의미조차도 비밀로 제한하기 때문에 이 분야에 대한 정확한 기술현황 파악은 어렵다. 일반적으로 전산터미널 또는 전동타자기에서 발산되는 전자파는 단순 주파수성분을 가지며 신호의 크기도 상당히 강하므로 고감도 수신장비를 사용하면 신호를 탐지, 재생시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암호장치를 사용한 통신장비의 신호도 탐지가능할 뿐 아니라 암호화되기 전의 전도성 발산신호와 안테나를 통한 복사성 발산신호를 비교하여 암호장치 자체의 알고리즘도 탐지가능하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같은 전자파도청을 방지하기 위해 주요 통신 장비나 전자장비는 차폐상자를 사용하여 전자파의 복사성 발산신호를 비교하여 암호장치 자체의 알고리즘도 탐지가능하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 PDF

Evaluation of Urban Effects on Trends of Hydrometeorological Variables (수문기상요소 추세에 대한 도시화 영향분석)

  • Rim, Chang-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1B
    • /
    • pp.71-80
    • /
    • 2010
  • This study aimed to figure out the effect of urbanization on meteorological variables (air temperature, wind speed, relative humidity, solar radiation and precipitation) and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RET). The research area of 6 urban areas and 6 rural areas near each urban area was selected. The monthly average daily data were collected from 12 ground stations operat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nd the changes in climate variables were analyzed. Results of annual analysis have shown that the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RET) tends to increase in urban areas while decreasing in rural areas. In particular, due to rising RET in urban areas and decreasing RET in rural areas, we can infer that the urbanization has affected to the RET. Results of monthly analysis showed that the urbanization has effects on the RET of July compared to other months (January, April and October). The yearly and monthly effects of urbanization on RET were closely related to solar radiation, relative humidity and change in temperature, and related to wind speed.

Investigation of the Vortex Shedding with the Spring Mounted Circular Cylinder (스프링장착 원통형 실린더를 이용한 와류발산현상 파악)

  • Lee, Sa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11
    • /
    • pp.446-451
    • /
    • 2010
  • To investigate the vortex induced vibrations the 2-d.o.f. spring mounted circular cylinder was tested in the wind tunnel. The circular cylinder was designed to have the translational and the rotational mode uncoupled to each other. During the wind tunnel tests the resonance behaviors of the translational and the rotational modes by the locking-on phenomena were observed. From the locking-on phenomena observed it is shown that the vortex shedding is correlated with the responses of the structures. And the forces generated by the vortex shedding are influenced by the amplitudes and the frequencies of the cylinders.

Estimation of Methane Emission Flux Using a Laser Methane Detector at a Solid Waste Landfill (레이저메탄검지기를 활용한 폐기물매립지 표면발생량 산정에 관한 연구)

  • Kang, Jong-Yun;Park, Jin-Kyu;Lee, Nam-Hoo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23 no.3
    • /
    • pp.78-84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methane emission flux based on spatial methane concentration using laser methane detector, and geospatial methodology (Inverse distance weighting) at a landfill. The obtained results showed that the spatial methane concentration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methane emission fluxes. Thus, it was concluded that the methane emission flux could be derived from spatial methane concentration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geospatial calculations showed that 12.85% of the total area contributed more than 42.21% of total flux. This suggested that the geospatial methodology might be essential in chamber method to determine accurate methane emission fluxes from landfills.

Comparison and Blending of re-analysis and satellite based evapotranspiration in Australia (재분석/인공위성의 증발산 자료를 활용한 합성 증발산 산정 및 비교: 호주에서)

  • Baik, Jongjin;Jeong, Jaehwan;Cho, Seongkeun;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6-26
    • /
    • 2018
  •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 가뭄 등의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서, 수자원의 변동성이 심각해짐에 따라서 물 부족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수문분야에서 수자원의 확보 및 효율적 관리에 대한 중요성 및 관심이 높아지고는 있으나, 물 순환에 대한 이해 및 분석에 대한 부분은 아직 계속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물 순환에서 다른 수문기상인자들에 비해 직접적인 관측이 어려운 실제증발산은 단순 가정 및 경험식, 또는 물수지 방정식을 통해 어림되어 계산되어 진다. 지상에서 실제증발산을 관측하기 위해 에디 공분산 기반의 플럭스 타워(flux tower)를 이용하여 한 지역(지점)에서의 정량적인 관측이 이뤄지고 있으나, 공간적인 관측은 이뤄지고 있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물리식 기반의 재분석자료(reanalysis data)/인공위성(satellite)기반의 실제증발산에 대한 자료가 산출되어진다. 그렇지만, 다양한 물리식 기반으로 산출되는 결과는 알고리즘의 특성상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합성 방법을 이용하여 각 알고리즘에서 오차를 보정 및 개선한 최적의 실제증발산 결과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재분석/인공위성 기반의 8일 단위 실제증발산 자료를 활용하여 두 가지의 합성 방법(simple taylor skill score, maximize r)을 이용하여 개선된 실제증발산 결과를 산출하기 위하여, 2005년부터 2014년까지의 호주에서의 실제증발산에 대한 합성 결과를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두 방법으로 산정된 결과는 기존의 결과에 비해 오차가 상당히 개선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특히, 다양한 자료를 이용하여 합성하는 방법인 simple taylor skill score방법이 maximize r의 방법에 비해 보다 오차 및 상관성이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합성 방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자료에 비해서 개선된 결과를 산정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향후 가뭄에 직접적으로 연관성을 가진 합성 증발산 자료를 활용하여 가뭄 분석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Low-Flow Projection according to the Actual Evapotranspiration scenarios under the Climate Change -Chungju Dam Case- (기후변화 실제증발산 시나리오에 따른 갈수량전망 - 충주댐 사례 -)

  • Sun, HoYoung;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04-104
    • /
    • 2018
  • 이수안전도의 기준이 되는 갈수량에 대해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전망을 제시하였다. 충주 댐 유역을 대상으로 기준기간(1986~2000년)에서의 기상청의 관측 기상자료와 IPCC 보고서의 RCP 4.5/8.5 시나리오를 대상으로 CMIP5(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5)에서 제공하는 기후변화 자료 중 5개의 모델(ACCESS1.3 CanESM2, CNRM-CM5, GFDL-ESM2G, HadGEM2-AO)의 기준기간과 미래기간(2011~2100년)의 기상자료를 수집하였다. 기후변화 자료는 정상성/비정상성 분위사상법과 베이지안 모델 평균기법을 통해 불확실성과 통계적 오차를 저감하였다. 미래기간에서, 강우는 RCP 4.5에서 1.74mm/year, RCP 8.5에서 3.22mm/year, 실제증발산은 RCP 4.5에서 1.09mm/year, RCP 8.5에서 1.78mm/year의 증가율을 보였다. 실제증발산을 입력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IHACRES모델의 CMD(Catchment Moisture Deficit) 비선형 모듈의 매개변수를 변이하여 유효강우량 산정 과정을 개선하였다. 기준기간에서 관측유량자료와 IHACRES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산정된 유량자료의 R-squared는 0.65이다. 기준기간에서의 매개변수를 고정하여 미래기간의 유량을 산정하고 유황분석을 통해 갈수량 전망하였다. 유량은 RCP 4.5에서 4.41MCM/year, RCP 8.5에서 9.66MCM/year의 증가율을 보였다. 갈수량은 RCP 4.5에서 0.30MCM/year, RCP 8.5에서 -0.47MCM/year의 증감율을 보였다. 연간 강수량 대비 실제증발산의 비율의 추세분석 결과, RCP 4.5에서는 홍수기에는 0.014%/year, 비홍수기에는 0.027%/year의 증가율을 보이며 거의 변화가 없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RCP 8.5의 홍수기에는 -0.042%/year, 비홍수기에서는 0.167%/year의 증감율을 보이며 홍수기에는 실제증발산에 비해 강수량의 증가가 확연히 보였으며 비홍수기에는 강수량에 비해 실제증발산의 증가가 뚜렷이 확인되었다. RCP 8.5에서 비홍수기의 강수량 대비 실제증발산의 증가가 갈수량의 감소로 반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래기간의 RCP 4.5/8.5에서 실제증발산의 증가로 인하여 강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입량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갈수량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았다. 미래 갈수량의 감소는 하천의 건전성과 이수안전도의 위협이 될 수 있다.

  • PDF

Efficiency Analysis of Thermal Transpiration According to Back Pressure under Vacuum Condition (진공환경에서 열적발산원리의 배압에 따른 효율분석)

  • Jung, Sung-Chul;Huh, Hwan-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7.11a
    • /
    • pp.76-79
    • /
    • 2007
  •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about flow characteristic of micro-nozzle, we found that viscosity and back pressure induced heavy losses in micro nozzle. To overcome thess losses, we began to study new conceptual micro propulsion system that is thermal transpiration based micro propulsion system. It has no moving parts and can pump the gaseous propellant by temperature gradient only (cold to hot). Most of previous research on thermal transpiration is in its early stage and mainly studied for application to small vacuum facility or gas chromatography in ambient condition using nanoporous material like aerogel. In this study, we focus on basic research of propulsion system based on thermal transpiration using polyimide material in vacuum condi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