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사진동

Search Result 18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Validation of Structural Safety on Multi-layered Blade-type Vibration Isolator for Cryocooler under Launch Vibration Environment (적층형 블레이드가 적용된 냉각기용 진동절연기의 발사환경에서의 구조건전성 검증)

  • Jeon, Young-Hyeon;Ko, Dai-Ho;Jo, Mun-Shin;Oh, Hyun-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6 no.7
    • /
    • pp.575-582
    • /
    • 2018
  • The spaceborne cooler is applied to cool down of the focal plane of the infrared detector of the observation satellite. However, this cooler induces unnecessary micro-jitter which can degrade the image quality of the high-resolution observation satellite.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ulti-layered blade type vibration isolator to attenuate micro-vibration generated from a spaceborne cooler, while assuring structural safety of the cooler under severe launch loads without an additional launch-lock device. The blade of the isolator is formed with multi-layers in order to obtain durability against fatigue failure and an adhesive is applied between each layers for granting high damping capability under launch vibration environment. In this study,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or were measured using the free-vibration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isolator design was demonstrated by launch vibration test at qualification level.

Launch Environmental Test for Dual Thrust Module of Korea Multi-Purpose Satellite (다목적 실용위성(KOMPSAT)의 추진 장치(DTM)에 대한 발사환경 시험)

  • 김홍배;문상무;이상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7.04a
    • /
    • pp.75-80
    • /
    • 1997
  • 1999년 한반도 상공에 발사되어 21세기 한국의 우주 시대를 열어나갈 국내 최초의 다목적 실용위성인 KOMPSAT의 개발이 한국 항공 우주 연구소를 주관 기관으로 국내외의 여러 기업 및 연구기관들이 참여한 가운데 현재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성체의 설계, 제작 및 시험의 국산화 일환으로 국내에서 제작된 이중 추진 장치(Dual Thrust Module)의 발사 환경 시험에 대한 과정 및 결과에 대하여 언급코자 한다. 일반적으로 목표 궤도에서 발사체로부터 분리된 위성체는 자세 제어를 수행하며, 또한 저궤도 위성의 경우 궤도상에 존재하는 공기등의 저항으로 인하여 빈번한 궤도수정이 필요하다. DTM은 이러한 궤도수정 업무를 담당하는 중요한 위성체의 부품이다. 그러나, 지상에서 발사시 발사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의 영향으로 인하여 기능 장애를 일으킬 우려가 있음에 따라, 제작된 DTM은 위성 본체에 장착되기 전 반드시 발사 시와 동일한 환경하에서 고유의 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증 절차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DTM의 발사 환경 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위성체 및 부품의 시험기술을 축적하여 국내 위성 개발 분야에 기여코자 한다.

  • PDF

위성체에 발생되는 진동현상과 지상시험

  • 김희대
    • Journal of KSNVE
    • /
    • v.7 no.5
    • /
    • pp.725-728
    • /
    • 1997
  • 본 글에서는 위성체가 겪게 되는 여러 가지 환경 중에서도 특히, 발사체가 이륙되어 천이궤도 진입시까지 위성체에 발생되는 진동 현상과, 이와 같은 발사 환경에 의해 위성체설계에 하자가 없는지를 확인하는 절차로서 지상에서 행해지는 시험의 종류와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진동 및 충격 환경에서 GPS 수신기의 동작 특성

  • Gwon, Byeong-Mun;Mun, Ji-Hyeon;Choe, Hyeong-D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v.2
    • /
    • pp.419-422
    • /
    • 2006
  • 위성발사체와 같이 극환 환경에서 사용되는 전자 탑재물들은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질 때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위성발사체에 탑재되는 모든 탑재물들은 발사전에 지상에서 다양한 환경시험을 통하여 그 성능을 검증해야 한다. 기준 클럭을 사용하여 항법해를 계산해야 하는 GPS 수신기는 특히 다른 전자 탑재물 보다 클럭의 안정도에 더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극한 진동 및 충격 환경에서 다양한 문제들이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위성발사체의 비행안전용으로 개발된 GPS 수신기의 진동 및 충격 환경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그러한 환경에서 기준 클럭이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다양한 동작특성을 설명하고, 기준 클럭의 중요성과 진동 및 충격 환경시험에서의 유의사항 및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 PDF

The Analysis of Mechanical Environment of Small Satellite Launcher (소형위성 발사체의 기계적 환경 분석)

  • Lee, Sung-Sae;Park, Jong-Oh;Rhee, Seung-Wu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9 no.2
    • /
    • pp.123-128
    • /
    • 2010
  • Science and Technology SATellite-3 (STSAT-3) is science purpose satellite which weighs below 170kg. This is classified as small satellite or micro satellite more specifically. The launch vehicles (launchers) for small satellite has their own requirements for environmental interface. Since the small satellites are usually launched with cluster or multiple payloads, the selection option for appropriate launcher is limited. Therefore, the satellite should be designed with the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requirements of these launchers. In this paper, the environmental requirement of most candidated launchers for small satellite is summarized and give satellite environmental requirement to accommodate all launchers requirements.

저궤도지구관측 위성용 광학탑재체 진동 환경 시험

  • Jeon, Jong-Hyeop;Eun, Hui-Gwang;Im, Jong-Min;Lee, Dong-U;Mun, Nam-Jin;Mun, Gwi-W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36.2-136.2
    • /
    • 2012
  • 저궤도지구관측 위성의 광학탑재체는 위성이 궤도에 진입한 이후 관측과 같은 주요 임무를 전담하는 중요 시스템이다. 광학탑재체가 장착된 위성이 발사체에 탑재되어 발사하는 순간부터 우주의 궤도에 진입하기까지 극심한 진동 환경에 노출된다. 이러한 상황을 예측하여 설계된 해당 시스템은 발사 이전에 진동 환경을 모사하는 시험을 통해 완벽하게 검증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저궤도지구관측위성용 광학탑재체에 대하여 실시한 진동 환경 시험 방법 및 분석 내용을 소개하고자한다.

  • PDF

Trends of the vibration isolation system for spacecrafts (진동절연 시스템의 위성체 적용 동향)

  • Park, Jong-Seok;Yang, Koon-Ho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8 no.2
    • /
    • pp.54-64
    • /
    • 2010
  • A spacecraft contends with various vibration from the launch to the on-orbit operation, which is one of the major considerations in spacecraft design. The weight reduction has been indispensable to decrease the launch cost, however it produces worse disturbances for the spacecraft equipments. Besides, the load requirements at observation payload interfaces have became severe to secure their pointing stability as their images are required with high resolution. As a possible solution, a vibration isolation system is introduced and it reduces the vibration from the launch vehicle or isolates the spacecraft equipments from their generating/transmitted vibration. In this paper, it is examined the design consideration needed for the accommodation of the vibration isolation systems through the survey of recent applications of vibration mitigation technologies to spacecrafts.

  • PDF

Random Vibration Analysis for Satellite Design (위성체 설계를 위한 랜덤 진동 해석)

  • Lee, Won-Beom;Kim, Gyeong-Won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5 no.2
    • /
    • pp.102-107
    • /
    • 2006
  • In this study, the dynamic environment of satellite consists of excessive vibration at low frequency and irregular acceleration transferred by launch vehicle structure. Excessive vibration at low frequency is generally approximated by a sinusoidal wave from 100Hz to 200Hz and primarily used to preliminary design The random vibration is created by structural vibration due to the combustion of launch vehicle, separation stage and external aerodynamic noise. these are transferred to the adapter structure between satellite and launch vehicle through the structure of launch vehicle. random vibration is being specified for acceptance tests, screening tests, and qualification tests, because it has been shown that random vibration more closely represents the true environments in which the electronic equipment must operate.

  • PDF

화약산업의 발파안전 대책 - 소음진동 및 안전거리 설정을 중심으로 -

  • 안명석
    • Journal of KSNVE
    • /
    • v.2 no.1
    • /
    • pp.15-20
    • /
    • 1992
  • (1) 화약발파작업을 시작하기 전에는 필히 시험발파, 안전진단을 통해 공해 및 안전사고 발생요소들을 면밀히 분석하고 파악하여 발파공법, 천공공법, 사용폭약 의 종류, 사용약량 등을 결정하고 이에 따른 적합한 안전거리의 설정, 안전덮게, 안전망의 사용, 필요시 휀스철망 설치등의 안전조치를 완벽히 취해야겠다. 또한 현행 소음진동규제법에 의하면 폭약 사용시 7일전 신고의무 규정을 우리나라의 공사 현실을 감안해 볼 재검토 할 필요가 있다. (2) 선진국의 발파진동 기준을 우리나라 의 경우와 비교 분석해 볼때 우리나라의 경우 발파진동 안전기준은 도심지에는 대체 로 0.5cm/sec가 적당하고 고주택, 아파트 등이 밀집된 지역이나 건물지반이 특히 약한 곳은 0.2cm/sec을 적용함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도심지에서의 안전발파 를 위한 터널공법으로는 주변 생활환경 소음진동방지를 위한 심발법으로 브이 컷법 을, 여굴방지와 미려시공 등 공사시 안전사고, 소음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공법으로는 슬러리, 파이 넥스 폭약을 이용한 정밀면 발파법을 권장한다. (3) 연화발사시 안전 거리를 3.deg. 기준 최소반경 129m, 12" 기준 최고 반경 200m로 설정하여야 겠다. 또한 연화발사시 발생하는 폭발 소음은 80 - 100dB 정도로써 대량으로 장시간 발사 시는 청력장해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발사 총 시간이 대체로 30분을 초과하지 않으므로 관람자나 일반인들이 소음피해를 호소할 수준은 아니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수 있다.

  • PDF

Launch Environmental Test for KOMPSAT PFM (다목적실용위성 준비행모델에 대한 발사환경시험)

  • 김홍배;문상무;이상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8.04a
    • /
    • pp.122-129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실용급 위성으로는 국내에서 처음 개발되는 다목적 실용위성의 개발과정 중 준비행모델에 대한 발사환경 시험에 관련된 내용의 일부를 관련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소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장시간의 개발기간과 고비용이 소요되는 위성체를 성공적으로 설정궤도에 발사하기 위해서는 소음 및 진동에 관련된 심도있는 연구가 필수적이며, 향후 우주 분야의 독자적인 기술 개발시 국내 관련분야 전문가들의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