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목 관절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3초

발목 관절경: 해부학, 삽입구 및 기구 (Ankle Arthroscopy: Anatomy, Portals and Instrument)

  • 성기선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8
    • /
    • 2012
  • Major technologic advances in fiberoptic light transmission, video cameras, and instrumentation have allowed great advances in small-joint arthroscopy. Arthroscopy in particular is now well established procedure for accurate diagnosis and operative management of certain ankle disorders. The small size of the ankle and significant periarticular soft tissue structures make placement and advancement of the arthroscope and instrumentation more difficult than in larger joints. Successful arthroscopy of the ankle requires knowledge of the regional anatomy and a familiarity with the available arthroscopic portals. This review article is going to describe the gross and arthroscopic anatomy of the ankle as it relates to current arthroscopic techniques. Particular emphasis is placed on the anatomic relations of the important osseous and soft tissue structures for a safe, reproducible approach to arthroscopic treatment of ankle pathology. Also, current arthroscopic equipment and instruments are included.

만성 발목 불안정증의 치료에서 관절경 수술 (Arthroscopic Procedure in the Treatment of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 이호진;정비오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5-31
    • /
    • 2021
  • The open Broström procedure is considered the surgery of choice for treating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The role of arthroscopy has gained popularity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partly for the ability to manage the intra-articular pathology combined with ankle instability. Arthroscopic techniques can be divided broadly into the arthroscopic-assisted Broström technique and arthroscopic all-inside ligament repair. The clinical results of these arthroscopic techniques are similar to open procedures. The arthroscopic technique may be an excellent alternative to the open Broström procedure in treating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when applying the appropriate indications.

근거에 기반한 급성 발목관절 외측 염좌의 치료 (Evidence-based Treatment of Acute Lateral Ankle Sprain)

  • 조병기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35-144
    • /
    • 2018
  • Acute lateral ankle sprain, which is the most common musculoskeletal injury, can be treated effectively with appropriate evidence-based initial care using PRICE (protection, rest, ice, compression, and elevation) and functional rehabilitation. Many systemic reviews reporting a high-level of evidence supporting the clinical usefulness and necessity of primary surgical repair for acute lateral ankle sprain have been insufficient. Regardless of the severity of ligament complex injuries, the surgical treatment for acute lateral ankle sprain without concomitant pathologies is not recommended and should be considered only in young professional athletes with complete ligament rupture (grade III) and severe instability.

류마티스 환자의 발목 인공관절 치환술 이후 발생한 정복되지 않는 충전물의 아탈구: 증례 보고 (Irreducible Spacer Subluxation after Total Ankle Replacement Arthroplasty in a Patient with Rheumatoid Arthritis: A Case Report)

  • 서동교;김상영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81-184
    • /
    • 2021
  • End-stage ankle arthritis is a debilitating condition that causes functional limitations and consequently a poor quality of life. Total ankle replacement arthroplasty is a good alternative to arthrodesis for preserving the ankle's range of motion. However, many complications can occur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and with poor soft tissue and bone conditions. A 61-year-old female experienced spacer subluxation after surgery, which was not reduced by medial soft tissue release and spacer change. Buttress plating was found to be a good treatment option to prevent spacer subluxation and can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with bone erosion and soft tissue damage.

회전형 발목 골절에서 관절경의 역할 (Arthroscopy for Rotational Ankle Fractures)

  • 권태훈;최윤효;이경민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11
    • /
    • 2023
  • Rotational ankle fractures are one of the most common injuries of lower limbs treated by orthopedic surgeons.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RIF) is considered a gold standard treatment for unstable ankle fractures, though adjunct ankle arthroscopy is being increasingly used in cases of ankle trauma. Although the role and use of ankle arthroscopy are expanding, the clinical outcomes and cost-effectiveness of arthroscopy remain undefined. Furthermore, despite the number of clinical research studies performed on arthroscopically assisted surgery for ankle fractures, no definite guidelines have been agreed, and no consensus has been reached regarding indications. This article reviews the role, indications, operative techniques, and complications of ankle arthroscopy and compares the clinical outcomes of conventional ORIF and arthroscopically assisted ORIF.

발목 관절 전치환술에서의 연부조직 재정렬술 (Soft Tissue Balancing on Total Ankle Replacement Surgery)

  • 최성욱;김대환;강현성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
    • /
    • 2024
  • Despite the advances in total ankle replacement (TAR), TAR has emerged as a promising alternative to ankle arthrodesis, particularly in severe ankle arthritis. Restoring ankle stability and alignment is the most important technical consideration and the goal of TAR. Hence, additional procedures, such as soft tissue balancing and osteotomies, are often critical parts of surgical planning. This article reviews the basics of joint balancing, offering suggestions on procedure selection for ligamentous balancing and varus and valgus malalignment in TARs.

태권도 돌려차기 동작의 운동학적 협응 및 제어과정 (The Process of the Kinematic Coordination and Control of Dollyochagi Motion in Taekwondo)

  • 윤창진;채원식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5-104
    • /
    • 2008
  • 본 연구는 남자 중학교 초보피험자들을 대상으로 태권도 돌려차기 동작의 숙련정도에 따른 운동학적 협응과 제어과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용된 변인은 최대합성직선속도와 각도 대 각도 도면이었다. 분석결과, 연습후기로 갈수록 인접한 분절간의 운동량 전이가 잘 이루어져 각 분절의 최대합성직선속도가 증가하였으며 무릎관절 최대굴곡 시까지는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이 동형동조 협응형태로 변해갔으며, 최대굴곡 후 타격 시까지는 모든 숙련 단계에 있어서 이형동조 협응패턴을 나타내었다. 발목관절은 무릎관절 최대굴곡 시까지 배측굴곡 상태에서 저측굴곡으로 변했으며, 최대굴곡 후 타격시점까지는 발목관절은 고정시키고, 무릎관절은 신전시키는 자유도 고정 제어기전을 나타내었다.

U-12 유소년 축구선수의 운동수행력 및 의학적 평가 (Evolution of Exercise Performance and Medical Assessments in U-12 Youth Football Players)

  • 서상원;이호성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6권5호
    • /
    • pp.665-677
    • /
    • 2017
  • 이 연구는 U-12 유소년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운동수행력과 의학적 평가를 상세히 분석한 후에 축구를 통한 운동수행력의 변화 및 의학적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소년 축구클럽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교 선수를 유소년 축구선수 집단(Youth football players group; YFG, n=15; $11.2{\pm}0.9$ 세)과 축구를 하지 않는 건강한 일반 유소년을 통제 집단(Control group; CON, n=15; $11.5{\pm}0.6$ 세)으로 각각 분류하여 운동수행력(건강관련 체력, 운동관련 체력, 기능적 움직임 및 동적 균형) 및 의학적 평가(하지정렬, 관절가동범위 및 도수근력검사)를 측정하였다. 왕복 오래달리기, 50-m 달리기, 눈 감고 외발서기, 능동적 하지직거상, 회전 안정성 및 비주측의 종합점수는 CON과 비교해서 YFG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하지정렬에서 주측 및 비주측의 Q각, 관절가동범위에서 비주측의 발목관절 발등굽힘, 주측 및 비주측의 발목관절 발바닥굽힘, 도수근력검사에서 주측의 엉덩관절 폄 및 벌림, 무릎관절 굽힘 및 폄, 비주측의 무릎관절 굽힘 및 폄은 CON과 비교해서 YFG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U-12 유소년 축구선수는 부분적으로 운동수행력은 우수하게 나타났지만, 의학적 평가에서는 부정적인 결과를 확인하였다.

서울 일부 지역 노인들의 등속성 근기능, 유연성, 균형성 측정 및 평가 (Assessment of Elderly's Isokinetic Muscle Function, Flexibility and Balance in a Region of Seoul)

  • 김석원;손지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7-44
    • /
    • 2016
  • 이 연구는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여 노인 체력 향상 프로그램 설계 및 관련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13년, 서울 동대문구 소재 노인종합복지관에 등록 중인 노인 52명과 동대문구 소재 대학교 학부 과정에 재학 중인 학생 46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하지의 등속성 근기능과 발목 관절가동범위, 유연성, 균형성 및 신체조성 등을 측정하였으며, Biodex system IV, Biodex stabilizer system, CNP-5403, Inbody 3.0이 사용되었다. 남자 노인 집단의 평균 연령은 77.13세였으며, 45.85kg의 근육량을 가지고 있었고, 체전굴은 2.97cm로 유연성이 아주 결여되어 있었다. 좌측발의 균형 능력이 우측보다 좋지 않았으며, 발바닥쪽굽힘의 관절 가동 범위는 35도 내외로 정상 범위에서 벗어났다. 전반적인 무릎 폄근과 굽힘근의 근력은 남자 대학생의 50% 정도 수준이었으며, 뒤넙다리근의 결손율이 18.55%로 균형이 깨어져 있었다. 발목 가쪽번짐-안쪽번짐 결손율 또한 23.08%, 19.19%로 나타났다. 여자 노인 집단의 평균 연령은 75.46세로 근육량은 35.68kg이었으며, 체전굴은 11.69cm로 여자 대학생 집단과 비슷하게 좋은 편이었다. 무릎의 동측 근력비가 좌우 모두 50% 미만이었고, 결손율 또한 폄 14.32%, 굽힘 19.73%로 좌우 근력 균형이 좋지 않았다. 발목의 발등굽힘력은 여자 대학생 집단의 62%(좌), 73%(우) 정도였다. 발등굽힘-발바닥쪽굽힘의 결손율이 각각 25.05%, 26.86%, 가쪽번짐-안쪽번짐 결손율이 19.97%, 21.09%로 나타나 발목의 좌 우 근력 불균형이 상당히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연구 결과들이 실질적인 노인 체력 향상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공압근육을 사용한 발목근력보조로봇의 개발 (Development of Ankle Power Assistive Robot using Pneumatic Muscle)

  • 김창순;김정엽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1권8호
    • /
    • pp.771-782
    • /
    • 2017
  • 본 논문은 노약자들의 발목근력보조를 위한 착용형 로봇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기존 착용형 로봇들은 보행 시 필요한 근력을 보조하기 위해 대부분 모터와 감속기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모터와 감속기의 조합은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감속기 치차의 마찰때문에 실제 사람의 근육과 달리 강성과 토크를 동시에 제어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터/감속기 조합보다 가볍고 안전하며 근력을 보조하는 힘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Mckibben 공압 근육을 사용하였다. 발목의 피칭 모션에 이용되는 종아리 가자미근 및 앞정강근의 힘을 한 쌍의 공압 근육을 사용한 상극구동으로 보조하였으며, 상극구동제어를 위해 상극구동 모델 파라미터들을 실험적으로 도출하였다. 사용자의 보행의지를 판단하고자 발바닥에 부착된 압력변위센서로 압력과 압력중심위치를 측정하여 발바닥의 하중과 발목토크를 계산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공압 근육 관절의 강성과 토크를 동시에 제어하였다. 최종적으로, 트레드밀에서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여 발목근력보조로봇의 성능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