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목근력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s of Y-Balance Test Difference of the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in K3 Soccer Players

  • Gyu-Ho Choi;Jin-Wook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1호
    • /
    • pp.161-16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비 체중지지 자세 상태에서 발목관절 발등굽힘 관절가동범위에 따라 동적 균형 능력을 평가하는 Y-Balance Test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10년 이상의 축구경력을 가진 K3리그에 정기적으로 참여하는 남자축구선수 27명이 참여하였다. 발목관절의 발등굽힘과 동적균형 능력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The Pearso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HADR군에서 PLRD(P<.05)와 CS(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발목관절 발등굽힘의 관절가동범위와 PMRD, PLRD 및 CS에서만 중증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발목관절 발등굽힘의 감소는 균형 능력 감소와 관련이 있으며, 축구선수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발목관절 관절가동범위의 평가뿐만 아니라 무릎과 엉덩관절의 근력 및 고유수용감각을 향상시키기 위한 트레이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보수볼을 이용한 발목 강화 운동과 테이핑이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을 가진 20대 환자의 발바닥 압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kle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BOSU ball and taping on plantar pressure in patients in their 20s with hallux valgus)

  • ;정범철;유경태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81-91
    • /
    • 2021
  • 본 연구는 보수볼을 이용한 발목 근력 강화 운동과 테이핑이 엄지발가락가쪽휨증 환자의 정적과 동적 발바닥 압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을 가지고 있는 20대 남녀 26명이며, 테이핑군(Taping group, TG; n=13)과 발목 강화 운동군 (Ankle strengthening group, ASG; n=13)으로 무작위로 배치하였고, 각 군은 총 4주에 걸쳐 해당 중재를 실시하였며, 중재 전과 후에 정적, 동적 발바닥 압력을 측정하였다. 집단 간 변화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검증을 실시하였고, 집단 내의 사전-사후값의 측정값 차이가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α= .05로 설정하였다. 발의 전체 체중에 대한 비율(Foot)은 왼쪽 발의 ASG가 TG에 비해 집단 내 변화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발의 표면적(Surface area)에서는 오른쪽 발의 TG가 ASG에 비해 집단 내 변화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발의 엎침 운동의 정도(MP/change ratio)는 오른발의 TG가 ASG에 비해 집단 내 변화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발의 힘(Force)에서는 왼발의 TG가 ASG에 비해 집단 내 변화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집단 간의 변화에서는 TG의 변화량이 ASG의 변화량보다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따라서 보수볼을 이용한 발목 강화 운동과 테이핑은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을 가진 환자에게 효과적인 변화를 주기에는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발목 발등굽힘 제한이 있는 대상자들에게 목말뼈 안정성 테이핑을 동반한 장딴지근 스트레칭 후 발목 근력과 발목 유연성의 변화 (Changes in Ankle Muscle Strength and Ankle Flexibility After Gastrocnemius Stretching with Talus Stability Taping in Subjects with Limited Ankle Dorsiflexion)

  • 김태규;정경열;김수용
    • PNF and Movement
    • /
    • 제22권2호
    • /
    • pp.223-231
    • /
    • 2024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ankle muscle strength, range of motion (ROM) dorsiflexion, and gastrocnemius flexibility following gastrocnemius stretching with talus stability taping in subjects with limited ankle dorsiflexion. Methods: Fifteen subjects (all males) with limited ankle dorsiflex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six weeks. Ankle muscle strength, ankle passive dorsiflexion ROM, and gastrocnemius flexibility were assessed pre- and post-intervention. Results: Ankle dorsiflexion and plantarflexion strength and passive ankle dorsiflexion RO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ost-intervention compared to pre-intervention (p < 0.05). Gastrocnemius flexibi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post-intervention compared to pre-intervention (p < 0.05). Conclusion: Gastrocnemius stretching with talus stability taping can be recommended for subjects with limited ankle dorsiflexion to increase passive ankle dorsiflexion, flexibility, and ankle muscle strength.

등산 시 응급 처치 방법 4가지

  • 김제욱
    • 건강소식
    • /
    • 제32권4호통권353호
    • /
    • pp.18-19
    • /
    • 2008
  • 포근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몸과 마음을 펼치고자 주말 등산에 오르는 사람들이 많다. 초보자들은 무리한 산행을 하지 않도록 한다. 평소 지속적으로 운동을 즐겨하던 사람들도 갑작스런 근육 사용의 증가로 쉽게 지칠 수 있다. 초보자들은 다리가 후들거리는 상태가 되면 가급적 쉬었다 이동하거나 더 이상 을 타지 않고 내려오는 것이 좋다. 근력이 떨어졌을 때 무릎이나 발목이 다치기 쉽기 때문이다. 특히 릎 연골이나 골판은 한 번 손상을 받으면 재생이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다치지 않는 것이 최상이다. 등산 시 꼭 숙지해야 할 안전사고에 대처하는 요령과 응급처치에 대해 알아본다.

  • PDF

발목강화운동과 무지테이핑 걷기훈련이 하체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kle Strengthening Exercise and Toe Taping Walk Training to Lower Body Exercise Function)

  • 강지수;이종복;조일영;김현태;김종혁;김인동;김재중;박정범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7호
    • /
    • pp.51-63
    • /
    • 2023
  • 본 연구는 발목강화운동과 무지테이핑 걷기훈련 운동을 통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4주간 발목강화운동과 무지테이핑 걷기운동이 하체기초체력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에 재학중인 20대 여성 30명을 무선 선정하여 발목강화운동군, 무지테이핑 걷기운동군, 통제군 각 10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실험으로는 주 3회 60분간 4주간 수건 및 마사지볼, CRT를 이용한 마사지와 발목강화운동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화이트 테이프 처치 후 20분간 걷기 및 키네지오 테이프를 이용한 무지외반 테이핑을 실시하였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본다면 4주간의 발목강화운동과 무지테이핑 걷기운동은 20대 여성의 하체기초체력(근력, 순발력, 평형성)과 보행(활보장, 족저압, COP)에는 통계적으로 일부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발목강화운동과 무지테이핑 걷기운동이 하체 운동기능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후속연구에서는 통증위치별, 정형외과적 소견별로 나누어 보다 다양한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최대 신장성 수축운동에 따른 인체 하지 족배굴곡근의 신경-기계학적 특성 변화 (Alterations in the Neuro-Mechanical Properties of Human Ankle Dorsiflexor after Maximum Eccentric Exercise)

  • 이해동;김승재;야수오카와카미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1-3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신장성 수축운동에 의한 미세 근수축 요소 손강 이론(Morgan & Allen, 1999)을 검증하고자 신장성 수축운동의 범위에 따른 골격근의 기계학적 특성 변화에 주안점을 두어 실험 연구를 수행 하였다. 12명의 건강한 피험자가 최대 발목 족배굴곡근의 신장성 수축운동을 수행하였고, 운동수행 전에 최대 등척성 발목 족배굴곡 모멘트-각도 관계로부터 최적 발목 각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신장성 수축운동 추 최적 발목 각도 변화는 신장성 수축운동의 범위와 상관없이 근육의 길이가 긴 쪽으로 변화를 가져왔다(4도, p<.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많은 연구에서 거론되고 있는 신장성 수축에 의한 근력 저하 및 지연성 근육통의 촉발 기전인 신장성 수축에 의한 미세 근수축 요소 손강 이론의 부합하지 않으며, 이 현상을 설명할 새로운 이론 개발을 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종아리 기능성 의류가 발목 관절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lf Sleeve on the Muscle Function of Ankle Joint)

  • 김알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07-31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종아리 근육에 기능성 의류를 착용한 것이 종아리의 근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기능성 의류가 종아리 근기능 증가에 활용가치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하지에 이상이 없는 B 대학교의 남학생 21명을 대상으로 측정 하였다. 측정방법은 등속성근기능측정기인 CSMI사의 Humac Norm을 이용하여 오른쪽, 왼쪽 종아리에 기능성 의류 착용 전, 후 각속도 30°/sec, 120°/sec로 측정하였다. 피실험자들이 기능성 의류를 착용했을 때와 착용하지 않았을 때를 측정 해본 결과 발목 배측굴곡(Dorsi flexion)에서는 기능성 의류를 착용했을 때와 착용하지 않았을 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발목 저측굴곡(Plantar flexion)에서는 기능성 의류를 착용하였을 때 근력, 근파워, 근지구력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종아리의 기능성 의류 착용이 운동기능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대회를 앞두고 훈련을 하는 선수에게 기능성 의류를 착용한 인원과 착용하지 않은 인원의 근기능 향상정도를 비교해보는 연구를 제시하는 바이다.

발목 감각-운동과 엉덩 관절 근력 강화 통합 훈련 프로그램이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 대상자의 정적균형과 동적 균형 및 근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kle Sensorimotor Training Program Combined with Hip Strengthening Exercise on Muscle Strength, Static Balance, and Dynamic Balance in Individual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 황종석;박순지;유경태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3-93
    • /
    • 2022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omparative effects of an ankle sensorimotor training program combined with hip strengthening exercise (ASTPCHSE) and ankle sensorimotor training program (ASTP) alone on muscle strength, static balance, and dynamic balance in individual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METHODS: Sixteen research participant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randomly into the ankle sensory motor training program group and the ankle sensory motor training program combined with the hip strengthening exercise group. Each group performed a series of exercise programs two times per week for four weeks. The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CAIT) was used to measure the participants'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A Balance trainer 4 was applied to assess the static and dynamic balance, and a Primus RS multimodal dynamometer was used to evaluate the muscle strength.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c balance, dynamic balance, and muscle strength were found between the ASTP and ASTPCHSE groups (p > .05). On the other hand, the dynamic balance and muscle strength improved in the ASTP and ASTPCHSE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p < .05). The static balance was not enhanced in both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p > .05). CONCLUSION: Ankle exercise and an ankle sensorimotor training program combined with hip strengthening exercise are effective in improving muscle strength and dynamic balance in individuals with ankle instability.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ankle exercise and ankle and hip combined exercise.

건강한 성인의 슬개건 반사 시 무릎 감쇠효과를 고려한 대퇴사두근의 근력 및 근활성도 예측 (Identification of Muscle Forces and Activation of Quadriceps Femoris Muscles of Healthy Adults Considering Knee Damping Effects during Patellar Tendon Reflex)

  • 강문정;조영남;유홍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8권1호
    • /
    • pp.57-62
    • /
    • 2014
  • 인체 해석모델은 주로 인간이 의식적으로 행하는 운동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의식적 운동과 달리 슬개건 반사는 뇌를 거치지 않고 일어난다.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의 슬개건 반사로 인한 대퇴부의 근력과 근활성도를 해석적으로 예측하고자 하였다. 해석 모델은 시상면에서 평면운동을 하고, 앉은 자세에서 상체와 허벅지를 고정시켜 종아리만 진자 운동이 가능하도록 모델링 하였다. 무릎은 레볼루트 조인트로 모델링 하였고, 발목관절은 고정시켜 종아리와 발을 하나의 강체로 가정하였다. 근력은 Mamizuka 의 실험 결과로부터 얻은 운동학 정보를 이용하여 역동역학 해석을 통해 구하였으며, 근활성도는 Hill-type 근육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해석 결과는 실험결과를 통해 검증되었다.

불완전 척수손상자의 퇴원 후 운동훈련의 효과 사례보고 (Effects on Exercise Training in person with Incomplete Hemisection cord injury after Discharge)

  • 박미희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5-31
    • /
    • 2005
  • 이 사례연구는 2002년 10월 15일 칼에 의한 좌상으로 경추 3-4번의 불완전 척수손상을 입은 25세의 남자 환자가 최초 병원에서 2002년 12월 한달 간의 치료를 마친 후, 2003년 1월 3일부터 4월 28일까지 태릉에 위치한 N 재활센터에서 주 5회 2시간의 자세조절 훈련, 심폐지구력 훈련, 웨이트 훈련, 스포츠(축구, 소프트 볼), 여가활동(등산)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척추손상 환자의 사회적응을 돕기위한 재활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꾀하기 위한 기초 선행 작업으로 시작되었다. 신체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도구는 관절가동범위(Range of Motion), 수동근력검사(Muscle Manual Test), 경직(Spasticity), 신체체력(Physical Fitness), 발란스(Balance: one leg stand), 상대적인 등속성 하지근력(Isokinetic Muscle Strength) 그리고 신체조성(Body Composition)로 하였다. 재활기간을 통해 처음 시작 일자에서 45일 간격으로 3차례의 측정을(1월 3일부터 4월 28일까지 실시하였다) 실시하였다. 최초 환자의 상태는 부분적으로 일상생활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상태로 동작을 시작하려 할 때 경직이 발생되어 옷을 입고 벗기, 신발 신고 벗기, 운전, 식사, 보행과 계단보행, 경사보행에서 보조자의 도움이 필요했으며, 작은 물건 잡기와 글씨쓰기, 타이핑 작업은 불가능 한 상태였다. 또한 스포츠 활동과 여가활동 역시 불가능 한 상태였다. 3달 15일간의 기간 동안 환자는 복학을 준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신체조성은 재활 훈련을 통해 체중, 체지방율(%), 복부지방율(WHR)의 많은 감소를 가져왔다. 경직을 측정하는 Ashworth Scale은 정상에 가깝게 감소하였다. 관절가동범위는 고관절, 무릎, 발목에서 모두 증가하였다. 수동근력검사(0-9)는 많은 향상을 가져왔다. 신체체력능력 항목에서 근지구력의 윗몸일으키기와 팔굽히기, 악근력, 유연성으로 앉아 체간 숙이기, 민첩성으로 사이드 스텝, 순발력의 서전트는 모두 크게 향상되었다. 환자의 일상능력에서도 옷을 입고 벗기, 신발 신고 벗기, 운전, 식사, 보행과 계단보행, 경사보행에서 보조자의 도움이 필요없었으며, 타이핑 작업은 5손가락을 모두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1분에 80타로 큰 향상을 가져왔다. 또한 축구와 소프트볼, 등산을 달에 1회 정도 실시하여 약간의 도움만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