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반점화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2초

대맥(大麥)의 불임실(不稔實)과 붕소(硼素)의 효과에 관하여 - 제1보(第一報)-

  • 한기학;오왕근;박천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권
    • /
    • pp.5-7
    • /
    • 1961
  • 근년(近年) 경기도(京畿道)및 충청남북도(忠淸南北道) 일부지방(一部地方)에 ‘벌보리’ (대맥불임중(大麥不稔症)의 발생(發生)이 알려졌고 4293년(年) 봄에는 본장(本場)의 신개간지(新開墾地)에서도 不稔麥이 생겼으므로 이 토양(土壤)을 공시(供試)하여 석회(石灰)를 시용(施用)하고 붕소(硼素)와 용성인비(熔性燐肥), 퇴비(堆肥) 및 저니토등(底泥土等)을 시용(施用)하여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한편 같은 현상(現狀)이 산성(産生)된 충청북도(忠淸北道) 농사원(農事院) 의 원내포장(院內圃場) 석회전시(石灰展示) 포적지(圃跡地)에서 이의 방제(防除)를 시도(試圖)코 붕소(硼素)를 대맥생육중(大麥生育中)에 엽면시비(葉面施肥)하여 좋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여기서는 이들 처리(處理)로 얻어진 임실도(稔實度)와 맥간중(麥桿中)의 붕소량(硼素量)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하였고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붕소(硼素)의 토양시용(土壤施用)은 추파대맥(秋播大麥)의 총생(叢生)을 억제(抑制)할 뿐만아니라 인실도증가(引實度增加)에 유효(有效)하였으며 붕소(硼素)의 엽면시비(葉面施肥)도 대맥붕실도(大麥硼實度)를 증가(增加)시켰다. 2. 부임도(不稔度)가 높은 각구(各區)의 식물체중(植物體中) 붕소함량(硼素含量)은 1ppm내외(內外)였으며 임실(稔實)이 잘된 붕소구(硼素區)에서는 10mm이였다. 그러나 시용(施用)한 붕소량(硼素量)은 대맥(大麥)의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 엽면(葉面)에 흑색반점(黑色斑點)이 나타날 정도(程度)의 과량(過量)이었다. 붕소(硼素)의 엽면시비(葉面施肥)는 상기(上記)와 같은 현상(現象)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붕소함량(硼素含量)은 3.5ppm이였다.

  • PDF

임펄스 잡음에 의해 훼손된 이진 디지탈 서류 영상의 복구 방법들의 비교 평가 (Evaluation of Restoration Schemes for Bi-Level Digital Image Degraded by Impulse Noise)

  • 신현경;신중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3B권4호
    • /
    • pp.369-376
    • /
    • 2006
  • 디지탈 변환과 기기간의 전송 영향으로 화질이 떨어진 디지탈 영상의 복구는 잡음 발생 및 그 역 과정의 모형화를 통해 이루어낼 수 있다. 스캐너로 읽혀진 서류 영상이나 위성 사진에서 잡음 및 반점을 제거하는 과정이 좋은 예이다. 그러나 잡음 발생의 비선형성은 그 역 과정의 이론적 이해를 어렵게한다. 본 논문에서는 충격 잡음에의해 화질이 떨어진 이진 서류 영상의 복구 방법들을 심층 분석하는 것에 촛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이진 서류 영상의 잡음 제거 방식으로 '가중 중앙값' 여과기와 '리' 여과기가 다른 여과기에 비해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반면 '웨이브렛' 여과 방식은 타 방식보다 100여배의 시간이 소요되어 비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가중 중앙값 여과기에 쓰이는 가중치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대장균군 검사용 간이 시험지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icroorganism Test Strips)

  • 이인애;김재화;이희구;성창근;최인성;정태화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9-55
    • /
    • 1996
  • 대장균군 검사용 간이 시험지는 본 실험실에서 국내 최초로 고안, 개발하였으며 이 간이 시험지법은 현장 검사법의 하나로 대장균군이 내는 succinic acid dehydrogenase 때문에 tetrazolium salt가 환원되어 적색 반점을 형성하는 것을 이용한 방법으로서 이 간이 시험지의 제조는 대체로 종래의 표준 평판법과 거의 동일한 조성의 배지와 시약을 사용하여 여지에 흡착시킨 후, 건조시켜($60^\circ$C) 멸균한 것으로 표준 평판법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이 간이 시험지의 제조에서는 bile salt No. 3를 deoxycholate로 대체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하였고, 또한 일본에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제품과 품질 비교시험을 하여 더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종래의 표준 평판법과 비교하였을 때도 오히려 표준 평판법 (24-48시간 배양)보다 빠른 시간(16-20시간 배양)내에 판정할 수 있는 이 점이 있으며, 표준 평판법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배지나 배양 접시, pipette등의 자료 및 기구가 일체 필요없고 언제 어디서나 현장에서 직접 시험할 수 있어 매우 간편하며 또한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 할 수 있는 경제성이 높은 이점을 갖고 있다.

  • PDF

인공산성비가 만수국(Tagetes patula L.)의 생육 및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Growth and Antioxidant System in French Marigold (Tagetes patula L.))

  • 김학윤;김정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9-163
    • /
    • 2005
  • 도시의 화단 및 꽃길 조성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만수국을 대상으로 산성비에 의한 식물 피해 양상을 조사하고, 산성비 처리가 활성산소 생성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를 일으키는지를 조사함과 동시에 산성비에 대한 식물의 생화학적 방어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여러 농도의 인공 산성비(pH 2.0, 3.0, 4.0, 5.6)를 제조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산성비의 pH가 낮을수록 생육 피해는 심하게 나타났으며 pH 3.0 이하의 처리에 의해 암회색 또는 적갈색의 괴사 반점이 생성되었다. MDA 함량은 pH 2.0 처리에서 약 2배 정도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산성비의 $H^+$ 부하량 증가에 따라 DHA/AsA 및 GSSG/GSH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SOD, AP, GP 등의 항산화효소 활성도 산성비의 $H^+$ 부하량의 증가에 따라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산성비는 만수국 식물에 활성산소 생성에 의한 산화스트레스가 일으키며, 이를 무독화하기 위해 식물의 생화학적 방어반응이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유기물 제거를 위한 Post Cu CMP 세정 용액 개발

  • 권태영;;;박진구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2.2-32.2
    • /
    • 2011
  • 반도체 생산공정에서 CMP (Chemical-mechanical planarization) 공정은 우수한 전기전도성 재료인 Cu의 사용과 다층구조의 소자를 형성하기 위해서 도입되었으며, 최근 소자의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 CMP 공정 비중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Cu CMP 공정에서 연마제인 슬러리는 금속 표면과의 물리적 화학적 반응을 동시에 사용하여 표면을 연마하게 되며, 연마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산화제, 부식방지제, 분산제 및 다양한 계면활성제가 첨가된다. 하지만 슬러리는 Cu 표면을 평탄화하는 동시에 오염입자, 유기오염물, 스크레치, 표면부식 등을 발생시키며 결과적으로 소자의 결함을 야기시킨다. 특히 부식방지제로 사용되는 BTA (Benzotriazole)은 Cu CMP 공정 중 Cu-BTA 형태로 표면에 흡착되어 오염원으로 작용하며 입자오염을 증가시시고 건조공정에서 물반점 등의 표면 결함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Cu 표면에서 식각과 부식반응을 최소화하며, 오염입자 제거 및 유기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Post-CMP 세정 공정과 세정액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입자 및 유기물 제거와 동시에 표면 거칠기와 부식현상을 제어할 수 있는 post Cu CMP 세정액을 개발 평가하였다. 오염입자 및 유기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염기성 용액인 TMAH 사용하였으며, Cu 이온을 용해할 수 있는 Chelating agent와 표면 부식을 억제하는 부식 방지제를 사용하여 세정액을 합성하였다. 접촉각 측정과 FESEM(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분석을 통하여 CMP 공정에서 발생하는 유기오염물과 오염입자의 흡착과 제거를 확인하였으며 Cu 웨이퍼 세정 전후의 표면 거칠기의 변화와 식각량을 AFM(Atomic Force Microscope)과 4-point probe를 사용하여 각각 평가하였다. 또한 세정액 내에서의 연마입자의 zeta-potential을 측정 및 조절하여 세정력을 향상시켰다. 개발된 세정액과 Cu 표면에서의 화학반응 및 부식방지력은 potentiostat를 이용한 전기화학 분석법을 통해서 chelating agent와 부식방지제의 농도를 최적화 시켰다. 개발된 세정액을 적용함으로써 Cu-BTA 형태의 유기오염물과 오염입자들이 효과적으로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 PDF

Wavelet 변환과 경계선 검출 필터를 이용한 초음파 영상의 화질증대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Ultrasonographic Images Using Wavelet Conversion and a Boundary Detection Filter)

  • 한동균;임재동;이준행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23-2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웨이블릿 변환과 경계선 검출 필터를 이용하여 초음파영상의 다해상도 분해를 한 후 경계선 검출 필터링을 통해 초음파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잡음을 줄이고 에지를 강화하기 위해 웨이블릿 변환된 영상으로부터 얻어진 저해상도 영상에서 고해상도 영상으로 단계적으로 영역별 선택계수 조정과 방향성을 고려한 에지 필터링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반점영역의 픽셀은 웨이블릿 계수를 줄여 에지를 제외한 영역에서 선택적 저역통과 필터링 효과를 만들고, 에지에서는 접선 방향으로 평활화를 하여 연속성을 향상시키고, 법선 방향으로는 세선화를 하여 contrast를 높였다. 실험을 통해 단일해상도에서 비선형적 이방성의 확산모델을 이용한 필터링 방법과 웨이블릿 수축구조를 이용한 필터링 방법에 대해 비교하였다.

  • PDF

봉선화(Impatiens balsamina L.)에 대한 pH 수준별 처리가 항산화 물질 및 관련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on Antioxidants and Related Enzymes in Garden Balsam (Impatiens balsamina L.))

  • 김학윤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82-386
    • /
    • 2005
  • 산성비가 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과 식물의 생화학적 방어반응을 조사하고자 봉선화를 이용하여 인공 산성비(pH 2.0, 3.0, 4.0, 5.6) 실험을 수행하였다. 산성비의 pH가 낮을수록 생육 피해는 심하게 나타났으며 pH 3.0 이하의 처리에 의해 잎에 암회색 또는 적갈색의 괴사반점이 생성되었다. MDA 함량은 pH 2.0 처리에서 약 $40\%$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산성비의 $H^+$ 부하량 증가에 따라 산화형인 DHA 및 GSSG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항산화효소인 SOD, APX, DHAR, GP등의 활성도 산성비의 $H^+$ 부하량의 증가에 따라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산성비는 봉선화 식물에 활성산소 생성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를 일으키며, 이를 무독화하기 위해 식물의 생화학적 방어반응이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천연 식물 추출물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9 활성 억제제의 분리 및 특성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inhibitors from natural plants)

  • 허용철;박성우;김태진
    • 분석과학
    • /
    • 제18권3호
    • /
    • pp.188-193
    • /
    • 2005
  • 천연 식물 추출물로 처리한 matrix metalloproteinase (MMP)의 저해능 실험에서 귀전우 (Euonymus alatus)의 methanol 가용성 분획이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활성에 저해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ilica gel column에서 ethyl acetate와 hexane의 혼합비를 달리하는 방법으로 다섯 개의 부분으로 분획하였고 그 중에서 세 개의 분획이 MMP-9 활성에 저해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 간암 세포인 Hep3B 세포주와 인체 정상 세포인 Chang 세포주를 같은 조건으로 키운 후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귀전우의 메탄올 추출물로 처리한 세포에서만 핵의 주위에 검은 반점이 넓게 분포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인체 정상 세포주에 대한 독성 확인 실험에서 대부분의 메탄올 가용성 분획은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肝)디스토마 정자완성(精子完成)의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 연구(硏究) (AN ELECTRON MICROSCOPY OF SPERMIOGENESES IN Clonorchis sinnensis)

  • 백경기;이은호
    • Applied Microscopy
    • /
    • 제1권1호
    • /
    • pp.35-42
    • /
    • 1969
  • 가토간장에서 채취(採取)한 간(肝)디스토마 성충(成蟲)의 정소(精巢)와 수정낭(受精囊)을 1.25% glutaraldehyde와 1% 사산화(四酸化) 오스뮴산(酸)으로 냉실(冷室)에서 이중고정(二重固定)하였다. 고정(固定)된 시료(試料)는 양식(樣式)에 따라 탈수(脫水)한 후(後) Epon-812로 포매(包埋)하여 MT-2형(型) Porter Blum microtome으로서 초박절편(超薄切片)을 만들어 수사화연(水酸化鉛)과 초산(醋酸)우라닐로서 이중염색(二重染色)한후 Hitachi HS-7형(型)과 HU-11E형(型)의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으로 관찰(觀察)하였다. 관찰결과 간(肝)디스토마의 정세포(精細胞)는 타원형으로 난형(卵形)의 인(仁)을 포함(包含)한 큰 핵(核)을 갖고 있으며 핵(核)을 둘러싼 비교적소량(比較的小量)의 세포질(細胞質)에는 낭형(囊形)의 조면소포체(粗面小胞體)가 희소(稀少)하게 있으며 유리(遊離)리보좀 및 즐(櫛)을 가진 미토콘드리아, 중심체(中心體), 층판상(層板狀)의 골지체가 있다. 정자(精子)는 긴 원주형(圓柱形)의 핵(核)과 선단(先端)에 첨체(尖體)를 포함(包含)한 두부(頭部)와 중종편(中終片), 미부(尾部)의 말단부(末端部)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져서 결국(結局) 편모(鞭毛)로 끝난다. 두부(頭部)의 선단부(先端部) 가까이 핵환(核環)이 있으므로 이를 기시점(起始點)으로 직경(直徑) $250{\AA}$ 정도의 $8{\sim}10$개(個)의 미세소관(微細小管)이 축사(軸絲)의 배면(背面) 원형질막(原形質膜) 직내면(直內面)의 외형질(外形質)에 평행(平行)하게 중종편(中終片)까지 신장(伸長)되어 있다. 미토콘드리아는 융합(融合)되어 두부(頭部)의 후반부(後半部) 핵(核)의 복측(腹側)에 평행(平行)하게 축사(軸絲)를 감싸는 원추형(圓錐形)으로 종단면(縱斷面)에서 반점상(班點狀)의 횡문(橫紋)이 관찰(觀察)되었다. 중심체(中心體)에서 기원(起原)된 축사(軸絲)는 중심부(中心部)에 중심섬유(中心纖維)와 중심초 및 이중(二重)의 미세소관(微細小管)이 9개(個) 둘러싸고 있는 구조(構造)를 하고 있다.

  • PDF

C_{28}H_{41}N_4O_4Br\;{\cdot}\;2H_2O$의 결정구조 ([ $C_{28}H_{41}N_4O_4Br\;{\cdot}\;2H_2O$ ])

  • 김문집;이정아;조경진;최기영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3-98
    • /
    • 2004
  • X-선 회절법을 이용하여 C_{28}H_{41}N_4O_4Br\;{\cdo}t\;2H_2O$의 분자 및 결정구조를 해석하였다. 이 결정의 결정계는 Triclinic이고 공간군은 Pl이며, 단위포 상수 a=9.000(1) $\AA$, b=9.312(3) $\AA$, c=9.344(2) $\AA$, $\alpha=89.37(20)^{\circ},\;\beta=68.81(3)^{\circ},\;\gamma=84.70(4)^{\circ},\;V=726.7(8){\AA},\;T=298K,\;Z=1,\;D_c=1.402Mgm^{-3}$이다. 회절반점들의 세기는 Enraf-Nonius CAD4 Diffractometer로 얻었으며 사용한 X-선은 graphite로 단색화한 $MoK{\alpha}$$(\lambda=0.71073\;{\AA}$을 사용하였다. 분자구조는 Direct method로 풀었으며, $F_o>4{\sigma}(F_0)$인 2521개의 독립 회절 데이터에 대하여 최소 자승법으로 370개의 변수를 정밀화하여 최종 신뢰도 값 $R=5.95\%$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