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반점화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9초

Hydroxy-bisbenzoyloxy-allyloxycalix[4]arene의 구조 (Structure of Hydroxy-bisbenzoyloxy-allyloxycalix[4]arene)

  • 이보형;조선희;박영자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1-118
    • /
    • 1997
  • Hydroxy-bisbenzoyloxy-allyloxycalix[4]arene의 분자 및 결정구조를 X-선 회절법으로 연구하였다. 결정의 공간군은 P21이고, 단위세포 상수는 a=11.045(3), b=33.545(2), c=10.319(4) Å, β=113.86(2)˚, Z=4, V=3496.0(1.8) Å3, DC=1.28 gcm-3이다. 회절 반점들의 세기는 Enraf-Noninus CAD-4 Diffractometer로 얻었으며, Mo-Kαradiation X-선을 사용하였다. 분자구조는 직접법으로 풀었으며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다. 최종 신뢰도 R값은 2945개의 회절반점에 대하여 0.076이었다. 결정학적으로 서로 다른 두개의 거울상체 분자들이 라세미 혼합물 형태로 결정화되어 있다. 분자내 수소결합이 있으며 hydroxy1 pheny1고리가 크게 벗어난 flattend cone conformation을 보여주는 분자구조이다.

  • PDF

Tetrapropionyloxycalix[4]arene의 구조에 관한 연구 (Structure of Tetrapropionyloxycalix[4]arene)

  • 박영자;김현희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0-87
    • /
    • 1995
  • Tetrapropionyloxycalix[4]arene(C40H40O8)의 결정 및 분자를 X-선 회절법으로 연구하였다. 이 결정은 단사정계이고 공간군은 P21/n이다. 단위세포 길이는 a=13.921(3), b=13.552(2), c=19.840(5)Å이며, β=110.38(2)°, Z=4이다. 회절반점들의 세기는 흑연단색화 장치가 있는 Enraf-Nonius CAD-4 Diffractometer로 얻었으며, Mo-Kα X-선(λ=0.7107Å)을 사용하였다. 분자구조는 직접법으로 풀었으며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다. 최종 신뢰도 R값은 2514개의 회절반점에 대하여 0.06이었다. 본 Calixarene은 partial cone conformation을 이루고 있어 세 개의 phenyl group들과 나머지 한 개의 phenyl group사이에 서로 다른 배향을 가지고 있다. 세 개의 phenyl group들은 macrocycle로 된 cavity 바깥쪽을 향하여 배열되어 있다.

  • PDF

가보필터를 이용한 복합무늬 영상 분할 (Multi-Texture Image Segmentation Using Gabor Filter)

  • 송석진;김현석;남기곤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1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KISPS SUMMER CONFERENCE 2001
    • /
    • pp.233-23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가보필터를 이용한 복합무늬영상을 분할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영상을 분할하는데 있어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있다. 그중 무늬(texture) 특징을 기반으로 영상을 분할하는 방법 중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이 가보 필터이다. 이 필터는 탁월한 영상분할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필터구현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가보필터의 이 같은 반점인 복잡한 필터 처리를 단순히 하기 위해 전처리과정에서 필터를 영상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하였고, 영상 분할에 있어서도 histogram을 이용한 영상 분할을 수행함으로써 처리과정을 단순화 시켰다. 그 결과 간단한 알고리즘으로 빠른 수행이 이루어졌으며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 PDF

중국 내몽고 동부지역의 토지이용 변화와 사막화 -커얼친 사지의 사례 - (The Land Use Change and the Desertification in the East Inner Mongolia, China - A Case Study on Horqin Desert -)

  • 이강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94-715
    • /
    • 2005
  • 이 논문은 중국의 반건조지대에 위치하는 네이멍구 동부의 커얼친 사지를 사례로 토지이용의 변화와 사막화의 전개에 대하여 검토하고 있다. 이 지역의 토지이용의 변화는 경지와 목축두수의 증가로 요약되며, 그에 따른 물과 식생의 이용 및 관리에 있어서의 문제점들이 사막화를 촉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사막화의 전개 유형은 이동사구 확대 유형, 하안 유사 확대 유형, 촌락 주변 반점상 유사 확대 유형, 초지와 경지 중의 반점상 유사 확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토지이용 변화의 배경에는 1949년이래 사회주의 건설과 개혁개방으로 요약되는 사회적 변화가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대약진운동과 문화대혁명이라는 두 가지 정치적 운동과 개혁개방으로 인한 농민과 목축민들의 수익추구가 이 지역의 토지이용에 미친 영향이 컸다. 1990년대를 전후하여 사막화에 대한 각성과 더불어 여러 가지 사막화 예방 및 퇴치 정책들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들은 개방화 및 시장화라는 추세, 이 지역 농민들과 목축민들의 생존권과 수익, 그리고 무엇보다도 1949년 이후 이 지역에 고착된 교란된 인구구조와 그에 따른 토지이용체계에 의해 제약받고 있다.

주요 잔디류와 화본과 식량 밭작물의 황색마름병원균 및 설부소립균핵병원균에 대한 저항성 평가 (Resistance Evaluation of Several Turfgrass Species and Graminious Crop Species against Rhizoctonia cerealis and Typhula incarnata under Controlled Conditions)

  • 장석원;장태현;양근모;최준수;노용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15
    • /
    • 2010
  • 2008~2009 겨울 동안 강원도와 전라북도 소재 골프장에서 분리한 황색마름병원균(Rhizoctonia cerealis Van der Hoeven)과 설부갈색소립균핵병원균(이하 설부병원균)(Typhlua incarnata Lasch ex Fr.)에 대한 화본과 식물과 잔디 종(품종)의 저항성이 실내에서 평가되었다. 분리균주의 병원성 검정결과 대부분의 잔디와 화본과 식물에 병을 일으켰지만 균주간의 병원력 차이도 발견되었다. 황색마름 병균은 잔디의 지제부위를 통해 감염하여 연한 갈색의 원형 반점 증상을 보이다가 진전되면 적색을 띄다가 결국 진한 갈색의 증상으로 나타났다. 설부병 증상은 수침형 반점으로 시작해서 전체 식물체를 갈색으로 고사시켰는데, 대부분 감염부위에서 흰색의 균사체가 식물체와 토양을 뒤덮었고 진전되면 다양한 크기의 갈색과 검은색의 독특한 균핵을 형성하였다. 병 발생은 습실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화본과 작물과 잔디의 종(품종)간에는 병원균의 병원력에 차이도 나타났으며 두 병원균에 대해 양적인 차이를 보였다.

Bis(ethylenediamine)palladium(II)-Bis(oxalato)palladate(II)의 결정구조 (The Crystal Structure of Bis(ethylenediamine)palladium(II)-Bis(oxalato)palladate(II))

  • 고기영;남궁해;한상곤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1-76
    • /
    • 1998
  • Bis(ethylenediamine)palladium(II)-Bis(oxalato)palladate(II0, (Pd(C2H8N2)2.Pd(C2O4)2)의 단위 착이온 및 결정의 구조들을 x-선 회절법으로 연구하였다. 이 결정은 단사정계이고, 공간군은 P21/c(군 번호=14)이다. 단위세포는 a=6.959(2), b=13.506(2), c=15.339(2) Å, β=99.94(3)이며, V=1420 Å3, Fw=509.04 Dc=2.380 gcm-3, F(000)=992, μ=25.46 cm-1 Z=4이다. 회절반점들의 세기는 흑연 단색화 장치가 있는 자동 4축 회절기로 얻었으며 Mo-KαX-선 (λ=0.7107 Å)을 사용하였다. 구조분석은 중금속법으로 풀었으며,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고, 최종 신뢰도 값들은 1472개의 회절반점에 대하여 R=0.021, Rw=0.030, Rall=0.032 및 S=2.10이었다. 착음이온들은 근본적인 평면구조로써, 이들의 충진구조는 a-축을 따라서 면간거리가 3.41Å인 이중체가 3.44Å 간격으로 배열되어있다.

  • PDF

Cholesteryl crotonate의 구조 (Structure of Cholesteryl Crotonate)

  • 박영자;신정미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24
    • /
    • 2002
  • Cholesterol crotonate(CH₃CH = CHCOOC/sub 27/H/sub 45/)의 분자 및 결정 구조를 X-선 회절법으로 연구하였다. 결정은 P2₁, a = 13.446(4) , b = 11.802(3) , c = 18.782(5) , β = 103.99(2)°, Z = 4이다. 회절 반점들의 세기는 흑연 단색화 장치가 있는 Enraf-Nonius CAD-4 diffractometei로 얻었으며 (2θ/sub max/ = 25°, Mo-Kα X선(λ= 0.7107 )을 사용하였다. 분자 구조는 직접법으로 풀었으며,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고, 최종신뢰도 R값은 1604개의 회절 반점에 대하여 0.092이었다. 화합물의 결정 구조는 cholesterol ethylcarbonate, propylcarbonate, crotylcarbonate등의 결정 구조와 isostructure로, 분자들은 monolayer를 이루면서 쌓여 있으며, monolayer 중심부에서는 A 분자의 cholesteryl ring system들끼리, B 분자의 cholesterol ring system과 분자 B의 C(17)-side chain들이 서로 촘촘히 쌓여있다. 층(layer)들 사이에는 crotonate tail들과 분자 A의 C(17)-side chain들이 느슨하게 모여있다. 결정은 cholesteric phase를 갖는 liquid crystalline state을 보여주고 있다.

꽃노랑총채벌레 산란에 의한 포도 과피 달무리 반점: 종 특이적 분자진단법을 이용한 종동정과 반점 증상의 형태적 특징 (Halo Spot Symptom Induced by Oviposition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on Grape Fruits: Molecular Diagnosis by a Species-specific DNA Amplification and Microscopic Characterization of the Symptom)

  • 안승준;조명래;박철홍;강택준;김형환;김동환;양창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81-286
    • /
    • 2014
  • 최근 국내 포도원에서 과실 표면에 구름모양의 흰색 얼룩이 자주 발견되고 있으나, 그 원인에 대해 명확히 알려진 바가 없어 방제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흰색의 달무리 반점은 포도 과실 표면에 부정형으로 퍼져 있으며, 그 중앙에는 총채벌레가 산란할 때 만들어진 작은 구멍의 상처가 남아 있다. 이 상처부위는 시간이 지나면서 코르크화되고 표피세포와 분리되어 딱지로 남거나 떨어져 나가게 된다. 이러한 증상은 총채벌레의 섭식이나 노린재의 흡즙에 의한 상처와는 구별된다. 산란구멍에서 발견한 총채벌레 알껍질에서 DNA를 추출하여 ITS2 부위의 염기 서열을 PCR-RFLP 방법으로 분자동정을 실시한 결과 꽃노랑총채벌레의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토콘드리아 COI 염기서열은 이러한 분자 동정 결과를 재확인하여 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포도 과피에 꽃노랑총채벌레 산란에 의해 유발되는 독특한 피해 증상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포도원에서 이 해충에 대한 방제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무반점 연한 오렌지색 아시아틱나리 'Apricot King' 육성 (An Asiatic Hybrid Lily 'Apricot King' with Unspotted Light Orange Petals)

  • 이혜경;조해룡;임진희;김미선;박상근;정향영
    • 화훼연구
    • /
    • 제17권1호
    • /
    • pp.36-39
    • /
    • 2009
  • 'Apricot King'은 원예연구소에서 2007년에 육성된 절화용 아시아틱나리 품종이다. 2002년에 절화용 아시아틱나리 신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연한 오렌지색의 'Orlando'와 황색빛 분홍색의 복색인 'Corrida' 품종을 주두수분에 의해 교잡을 하여 획득한 교배실생 중에서 화색이 연한 오렌지색이고 꽃잎에 반점이 없고, 상향개화성이며 화형이 안정된 'A04-72' 계통을 2004년에 선발하였다. 이 계통의 특성검정은 조직배양에 의한 대량증식, 순화 및 양구를 거쳐 특성검정을 수행하였다. 2007년 1년간 '원교C1-84호' 로 수원에서 3차 특성검정 및 계통 평가회의 기호성 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절화용 아시아틱나리로 선발하여 'Apricot King'이라 명명하였다. 'Apricot King' 품종의 개화기는 6월 중하순이고, 꽃의 향기는 없다. 화색은 황색빛 오렌지색(RHS, 20A)이고 식물의 초장은 121.6 cm이고, 꽃의 크기는 17.9 cm이다. 꽃의 화피장은 12.8 cm, 화피폭은 3.7 cm이다. 엽장은 16.1 cm이고, 엽폭은 2.1 cm이다. 꽃에는 반점이 없으며, 주두는 오렌지색이고 화분은 주홍색이다. 구근의 크기와 중량은 17.6 cm 및 64.2 g이다.

Nickel(II) trans-1,2-Diaminocyclohexane 착물의 합성 및 결정 구조 (Synthesis and Crystal Structure of Nickel(II) Complex of trans-1,2-Diaminocyclohexane)

  • 최기영;김용선;서일환;서만철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8-91
    • /
    • 2001
  • [NiL₃]Cl₂·3H₂O (1) (L=trans-1,2-diaminocyclohexane) 착물을 합성하고 구조를 규명하였다. 이 착물은 입방결정계, 공간군 P2₁3, a=13.830(1) Å, V=2645.9(2) ų, Z=4로 결정화 되었다. 이 착물의 구조는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으며, 최종 신뢰도 R₁(wR₂) 값은 1500회의 회절반점에 대하여 0.0766(0.2068)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