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and Use Change and the Desertification in the East Inner Mongolia, China - A Case Study on Horqin Desert -

중국 내몽고 동부지역의 토지이용 변화와 사막화 -커얼친 사지의 사례 -

  • Lee Kang-Won (College of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이강원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과)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I examine in this paper the change of land use and the development of desertification in Horqin desert, east Inner Mongolia, China. The change of land use in this area can be summarized as the increase of agricultural field and intensive livestock farming. The agriculture and livestock farming in semi-arid area such as Horqin desert raised the problem in the management and use of water and vegetation. This problem led to desertification. The types of development of desertification in this area could be classified as follows: the mobile sand dune extension, the riverside shifting sand flat extension, the shifting sand speck extension around settlements, and the shifting sand speck extension in agricultural Held and grassland. There have been political or social movements such as the Great Leap Forward,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Reform and Open Policy in the background of land use change and desertification. Specially, the Great Leap Forward and the Cultural Revolu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land use change and desertification in this area. Since 1990s, there has been some kind of policy in the control of desertification. However, it is necessary for the controling desertification of this area to consider the globalization and marketization, the survival and profit of peasants and livestock farmers, and the disturbrd and fixed population and land use structure in this area since 1949.

이 논문은 중국의 반건조지대에 위치하는 네이멍구 동부의 커얼친 사지를 사례로 토지이용의 변화와 사막화의 전개에 대하여 검토하고 있다. 이 지역의 토지이용의 변화는 경지와 목축두수의 증가로 요약되며, 그에 따른 물과 식생의 이용 및 관리에 있어서의 문제점들이 사막화를 촉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사막화의 전개 유형은 이동사구 확대 유형, 하안 유사 확대 유형, 촌락 주변 반점상 유사 확대 유형, 초지와 경지 중의 반점상 유사 확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토지이용 변화의 배경에는 1949년이래 사회주의 건설과 개혁개방으로 요약되는 사회적 변화가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대약진운동과 문화대혁명이라는 두 가지 정치적 운동과 개혁개방으로 인한 농민과 목축민들의 수익추구가 이 지역의 토지이용에 미친 영향이 컸다. 1990년대를 전후하여 사막화에 대한 각성과 더불어 여러 가지 사막화 예방 및 퇴치 정책들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들은 개방화 및 시장화라는 추세, 이 지역 농민들과 목축민들의 생존권과 수익, 그리고 무엇보다도 1949년 이후 이 지역에 고착된 교란된 인구구조와 그에 따른 토지이용체계에 의해 제약받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李康源, 2002, 중국변강에서 민족과 공간의 사회적 구성: 어룬춘족 사회의 다민족화와 정체성의 정치, 서울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李康源, 2003a, '中國北方乾燥地帶의 農業的 土地利用과 黃砂問題,' 韓.中國際學術會議: 黃砂와 韓.中協 力, 東亞日報21世紀平和硏究所, 31-49
  3. 李康源, 2003b, '롭노르 論爭과 신장 生産建設兵團: 中國 西北地域 沙漠化의 社會的 過程,' 대한지리학회지, 38(5), 701-724
  4. 任桂淳, 2000, 淸史: 만주족이 통치한 중국, 신서원, 서울
  5. 조경숙.전영신.김영화.이종국, 2003, '만주에서 발원한 황사현상,' 한국기상학회지, 39(2), 251-262
  6. 최병철.김수현.정효상.전영신, 2002, '최근 10년간 황사발원지의 사막화,' 대기(한국기상학회보), 12(3), 230-235
  7. 姜風岐.曹成有.曾德慧, 2002, 科爾沁沙地生態系統退化 與恢復, 中國林業出版社, 北京
  8. 景愛, 1996, 中國北方沙漠化的原因與對策, 山東科學技術 出版社, 濟南
  9. 景愛, 2001, 警報: 北京沙塵暴, 人民出版社, 北京
  10. 高慶先.任陣海 編著, 2002, 沙塵暴: 自然對人類的報復, 化學工業出版社, 北京
  11. 裘善文.張柏.王志春, 2005, '中國東北平原西部荒漠化現狀, 成因及其治理途徑硏究,' 第四期硏究, 第25卷, 第1期, 63-73
  12. 國家測繪局編制, 1997, 中國1/100萬地圖, 中國地圖出版社, 北京
  13. 國家統計局人口和社會科技統計司編, 2002, 中國人口統計年鑒, 中國統計出版社, 北京
  14. 內蒙古自治區統計局編, 2002, 內蒙古統計年鑒, 中國統計出版社, 北京
  15. 盧琦.楊有林 等, 2004, 中國治沙啓示錄, 科學出版社, 北京
  16. 麻國慶, 1995, '人文因素與草原生態-內蒙錫盟白音錫勒牧場的硏究,' 潘乃谷.周星編, 多民族地區: 資源貧困與發展, 天津人民出版社, 天津, pp. 31-53
  17. 馬戎.潘乃谷, 1993, '內蒙古半農半牧區的社會, 經濟發展: 府村調査,' 潘乃谷, 馬戎主編, 邊區開發論著, 北京大學出版社, 北京, 82-139
  18. 馬戎.李鷗, 1995, '草原資源的利用與牧區社會發展-從一個社區看體制改革對畜牧業, 人口遷移和勞動力組 合形式的影響,' 潘乃谷.周星編, 多民族地區: 資源貧困與發展, 天津人民出版社, 天津, 1-30
  19. 史爲樂 主編, 1995, 中國地名語源辭典, 上海辭書出版社, 上海
  20. 常學禮 等, 2003, '人類活動對科爾沁沙地風沙環境的影響,' 資源科學, 第25卷, 第5期, 78-83
  21. 色音, 1998, 蒙古族遊牧社會的變遷, 內蒙古人民出版社, 呼和浩特
  22. 申元村.張克斌.王賢, 2001, 荒漠化, 中國環境科學出版社, 北京
  23. 烏蘭圖雅, 1999, 300年來科爾沁的土地墾殖與沙質荒漠化, 中國科學院博士硏究生學位論文
  24. 烏雲畢力格.成崇德.張永江, 2002, 蒙古民族通史: 弟四 卷, 內蒙古大學出版社, 呼和浩特
  25. 吳正, 1987, 風沙地貌學, 科學出版社, 北京
  26. 劉南威主編, 2000, 自然地理學, 科學出版社, 北京
  27. 劉新民 等, 1996, 科爾沁沙地風沙環境與植被, 科學出版社, 北京
  28. 任美鍔.包浩生, 1992, 中國自然區域及開發整治, 科學出版社, 北京
  29. 赤峰市志編纂委員會, 1996, 通遼市志, 內蒙古人民出版社, 呼和浩特
  30. 趙松喬, 1991, '內蒙古中東部半干旱區-一個危機帶的環境 變遷,' 干旱區資源與環境, 第2期, 124-130
  31. 趙哈林 等, 2002, '東北西部沙地近20年地下水變化動態及 其成因分析,' 干旱區硏究, 第19卷, 第2期, 1-6
  32. 朱震達, 1979, '三十年來中國沙漠硏究的進展,' 地理學報, 第34卷, 第4期, 305-314
  33. 朱震達.陳廣庭 等, 1994, 中國土地沙質荒漠化, 科學出版 社, 北京
  34. 中國科學院地理硏究所, 1982, 陸地衛星假彩色影像圖: 1/50 萬, 中國地圖出版社, 北京
  35. 中國科學院地理硏究所, 1992, 中國地形圖集: 1/100萬, 中國地圖出版社, 北京
  36. 中國科學院地理硏究所, 1995, 中國土地利用圖: 1/100萬, 中國地圖出版社, 北京
  37.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編輯部, 1992, 中國大百科全書: 中國地理,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北京
  38. 中國防治荒漠化協調小組辦公室, 1997, 中國荒漠化報告, 中 國林業出版社, 北京
  39. 中國赤峰(http://www.chifeng.gov.cn)
  40. 陳廣庭編著, 2002, 土地荒漠化, 化學工業出版社, 北京
  41. 鐵木爾.達瓦買提 主編, 1997, 中國少數民族文化大辭典: 東北.內蒙古地區卷, 民族出版社, 北京
  42. 崔乃夫 主編, 2002, 中華人民共和國地名大詞典, 第四卷, 商務印書館, 北京
  43. 通遼市統計信息網(http://www.tltj.gov.cn)
  44. 馮道, 2002, 防沙治沙與生態環境建設實務全書, 吉林科學技術出版社, 長春
  45. Brown, L. R., 1995, Who Will Feed China? Wake-up Call for a Small Planet, Norton, New York
  46. Edmonds, R. L., 1994, Patterns of China's Lost Harmony: A Servey of the Country' s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Protection, Routledge, New York
  47. Shapiro, J., 2001, Mao's War against Nature: Politics and the Environment in Revolutionary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48. Smil, Vaclav, 1993, China's Environmental Crisis: An Inquiry into the Limits of National Development, M.E. Sharpe, New York
  49. UNCCD, 1996, United Nations Convention to Combat Desertification in Those Countries Experiencing Serious Drought and/or Desertification, Particularly in Africa (http://www.unccd.int/convention/menu.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