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반복 측정 자료

Search Result 40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반복측정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통계패키지의 고찰

  • 최은숙;박태성;문경미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5 no.1
    • /
    • pp.167-176
    • /
    • 1998
  • 최근 들어 반복측정 자료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이러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통계패키지가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속형 반복측정 자료를 분석할 수 있는 통계모형들을 간단하게 개괄해보고 SAS, BMDP, S-PLUS, SPSS, MINITAB과 같은 통계 패키지 중에서 이러한 통계모형들을 다룰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정리해보고 그 특징들을 고찰해보았다. 그 중에서 특히 SAS의 PROC MIXED와 BMDP의 5V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 PDF

Small Sample Characteristics of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for Categorical Repeated Measurements (범주형 반복측정자료를 위한 일반화 추정방정식의 소표본 특성)

  • 김동욱;김재직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5 no.2
    • /
    • pp.297-310
    • /
    • 2002
  • Liang and Zeger proposed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GEE) for analyzing repeated data which is discrete or continuous. GEE model can be extended to model for repeated categorical data and its estimator has asymptotic multivariate normal distribution in large sample sizes. But GEE is based on large sample asymptotic theory. In this paper, we study the properties of GEE estimators for repeated ordinal data in small sample sizes. We generate ordinal repeated measurements for two groups using two methods. Through Monte Carlo simulation studies we investigate the empirical type 1 error rates, powers, relative efficiencies of the GEE estimators, the effect of unequal sample size of two groups, and the performance of variance estimators for polytomous ordinal response variables, especially in small sample sizes.

이변량 반복측정자료에서 가중일치상관계수의 추정

  • 강보경;김규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261-266
    • /
    • 2000
  • 이변량 반복측정자료에서 Chinchilli 등(1996)이 제안한 가중일치상관계수는 두 변수의 일치성을 나타내는 측도이다. 기존에 제안된 가중일치상관계수 추정법은 변동효과 및 측정오차의 분산성분을 각각 최소제곱법으로 비편향 추정하여 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반복측정자료의 주변 우도함수를 설정한 후, 우도함수에 기초한 분산성분을 구하여 가중일치상관계수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때, 각 분산성분은 유사/의사 우도함수 및 사후 분포에서 반복시행을 통하여 구해진다.

  • PDF

Modelling for Repeated Measures Data with Composite Covariance Structures (복합구조 반복측정자료에 대한 모형 연구)

  • Lee, Jae-Hoon;Park, Tae-Su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2 no.6
    • /
    • pp.1265-1275
    • /
    • 2009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composite covariance structure models for repeated measures data with multiple repeat factors. When the number of repeat factors is more than three, it is infeasible to fit the composite covariance models using the existing statistical packages. In order to fit the composite covariance structure models to real data, we proposed two approaches: the dimension reduction approach for repeat factors and the random effect model approximation approach. Our proposed approaches were illustrated by using the blood pressure data with three repeat factors obtained from 883 subjects.

Statistical Methods for Repeated Measures Data with Three Repeat Factors (반복요인이 3개인 반복측정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방법 -양평 주민 혈압자료를 이용하여-)

  • 강성현;박태성;이성곤;김창훈;김명희;최보율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7 no.1
    • /
    • pp.1-12
    • /
    • 2004
  • In this paper, we consider choosing the appropriate covariance structure for analyzing repeated measures data with three repeat factors from a study of blood pressure data, which is collected from the local residents of Yangpyeong, Gyeonggi-do (2001) and fitted linear mixed models to find the significant covariates on outcome variable(Blood Pressure)

A mixed model for repeated split-plot data (반복측정의 분할구 자료에 대한 혼합모형)

  • Choi, Jae-Su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1 no.1
    • /
    • pp.1-9
    • /
    • 2010
  • This paper suggests a mixed-effects model for analyzing split-plot data when there is a repeated measures factor that affects on the response variable. Covariance structures are discussed among the observations because of the assumption of a repeated measures factor as one of explanatory variables. As a plausible covariance structure, compound symmetric covariance structure is assumed for analyzing data. The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REML)method is used for estimating fixed effects in the model.

Analysis of latent growth model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in the data from KYPS (청소년패널자료 분석에서의 반복측정분산분석을 활용한 잠재성장모형)

  • Lee, Hwa-Jung;Kang, Suk-Bo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4 no.6
    • /
    • pp.1409-1419
    • /
    • 2013
  • We analyzed the data from KYPS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which has been widely studied as an analysis method of longitudinal data. In this study, we applied repeated measures ANOVA to unconditional model in order for faster decision of the unconditional model of the latent growth model. Also, we compared the six-type models, the quadratic model and the model of which repeated measures ANOVA is applied.

A Generalized Marginal Logit Model for Repeated Polytomous Response Data (반복측정의 다가 반응자료에 대한 일반화된 주변 로짓모형)

  • Choi, Jae-Su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1 no.4
    • /
    • pp.621-630
    • /
    • 2008
  • This paper discusses how to construct a generalized marginal logit model for analyzing repeated polytomous response data when some factors are applied to larger experimental units as treatments and time to a smaller experimental unit as a repeated measures factor. So, two different experimental sizes are considered. Weighted least squares(WLS) methods are used for estimating fixed effects in the suggested model.

의학연구에서 반복측정 실험 계획법

  • 박선일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38 no.10
    • /
    • pp.892-914
    • /
    • 2002
  • 의학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이유로 반복측정 실험이 자주 수행된다. 저자가 대한수의학회지와 임상수의학회지에 발표된 최근 몇 년의 실험연구를 분석한 결과 상당수의 논문이 반복측정 실험계획을 활용하였지만 자료분석에서는 매우 잘못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결과의 신빙성과 객관성에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무리 훌륭한 실험을 수행하였다고 하더라도 실험계획에 적합하지 않는 자료분석은 논문으로서의 가치가 없음을 너무나 분명한 사실이다. 많은 국내외 저자들이 의학연구에서 자료분석의 오류가 끊임없이 지적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교육 부재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부족은 여전하다. 본 원고에서는 의학연구에서 흔하게 접하는 두가지 예제를 들어 반복측정 실험계획의 기본원리와 분석법 및 결과의 해석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험계획법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독자는 저자에게 연락하면 자세한 논의를 할 수 있다.

  • PDF

반복측정된 포아송 자료의 GEE 분석에서 산포모수의 역할에 관한 연구

  • 박태성;신민웅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2 no.2
    • /
    • pp.155-165
    • /
    • 1995
  • 반복측정자료의 분석을 위해 제안된 Liang and Zeger(1986)의 회귀모형은 일반화추정식(generalized estimationg equations, GEE)을 이용하여 모형의 모수를 추정한다. 이 모형은 반복측정된 반응변수와 설명변수들과의 관계를 추정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기 때문에 회귀모수는 중요한 모수로 간주되나 산포모수는 중요하지 않은 장애모수(nuisance parameters)로 간주된다. 일반적으로 GEE 분석에서 회귀모수의 추정량은 산포모수에 상관없이 일치적(consistent)으로 얻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포아송분포를 따르는 반복측정자료에 대한 사례연구와 모의 실험을 통해서 일반적으로 믿어져왔던 것과는 달리 GEE 방법이 산포모수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였다. 특히 산포모수의 값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GEE 방법이 산포모수에 민감 하게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였다. 특히 산포모수의 값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GEE 방법에서 밝혀진 회귀모수 추정량의 일치성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