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반복투여

Search Result 22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새로운 Quinolone 항균제(Q-35)의 제 1 상 임상 연구

  • 임동석;이경훈;장인진;신상구;이명묵;김의종;김진규;권준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189-189
    • /
    • 1994
  • Q-35의 일회 및 반복투여 연구결과, 자타학 증상은 단지반복투여 피험자에서 중등도의 두통(1예)과 설사(3예)가 관찰되었으나 이들 설사증례는 장내 세균총 검사상 복감염에 의한 것이 아니었다. Q-35 투여 후 Q-EEG 및 평행기능의 장애 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임상화학 검사상 반복투여 3예에서 SGOT, SGPT의 경미한 상승을 보였으나 이러한 변화는 정상 범위내에서의 변화이었다. Q-35의 반복투여에 따라 투약 3일에서 8일에 걸처 장내세균총은 일부 호기성 및 혐기성 세균총의 감소를 보였으나 투약종료 10일 후에는 투약전 상태로 회복되었다. Q-35는 투여량의 약 70 % 가 24시간 뇨중으로 배설되었으며 일회 및 반복투여의 결과 용량의존적인 동태양상은 관찰할 수 없었다. 50 mg에서 400 mg까지 일회 투여시 5.6-7.1 시간의 혈장반감기를 보였으며, 반복투여 시험에서는 평균 5.6 $\pm$ 0.7 시간의 반감기를 보였다. Q-35는 타액내로 신속히 이행되었으며 타액내 AUC는 혈장 AUC의 약 75 %에 해당하였고, 식사에 의해 약간의 흡수속도지연(Cmax 0.4 시간지연)과 공복시에 비해 82 %의 상대적 생체이용율을 보였다.

  • PDF

Reduce Redundant Repetition Using Decoding History for Sequence-to-Sequence Summarization (단어 생성 이력을 이용한 시퀀스-투-시퀀스 요약의 어휘 반복 문제 해결)

  • Ryu, Jae-Hyun;Noh, Yunseok;Choi, Su Jeong;Park, Se-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120-125
    • /
    • 2018
  • 문서 요약 문제는 최근 심층 신경망을 활용하여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문제 중 하나이다. 많은 기존 연구들이 주로 시퀀스-투-시퀀스 모델을 활용하여 요약을 수행하고 있으나, 아직 양질의 요약을 생성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시퀀스-투-시퀀스 모델을 활용한 요약에서 가장 빈번히 나타나는 문제 중 하나는 요약문의 생성과정에서 단어나 구, 문장이 불필요하게 반복적으로 생성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요약문의 생성 과정에서 정확한 정보를 주기 위해 모델에 여러 모듈을 추가하였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생성 단어가 정답 단어로 나올 확률을 최대화 하도록 학습되기 때문에, 생성하지 말아야 하는 단어에 대한 학습이 부족하여 반복 생성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요약 모델의 복잡도를 높이지 않고, 단어 생성 이력을 직접적으로 이용하여 반복 생성을 제어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모델은 학습할 때 생성 단계에서 이전에 생성한 단어가 이후에 다시 생성될 확률을 최소화하여 실제 모델이 생성한 단어가 반복 생성될 확률을 직접적으로 제어한다. 한국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안한 방법을 통해 요약문을 생성한 결과, 비교모델보다 단어 반복이 크게 줄어들어 양질의 요약을 생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irteen-Week Repeated Oral Toxicity Study of Leaf Folder (Cnaphalocrocis medinalis) Resistant Rice (Nakdongbyeb) in Sparague-Dawely Rats (SD 랫드에서 혹명나방 저항성 유전자 변형 낙동벼의 13주 경구 반복투여 독성에 관한 연구)

  • Seo, Dong-Seok;Kwon, Min;Sung, Ha-Jung;Park, Cheol-Beom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15 no.2
    • /
    • pp.104-113
    • /
    • 2011
  • We investigated the systemic effects of leaf folder (Cnaphalocrocis medinalis) resistant rice (transgenic rice, Nakdongbyeb) in Sprague-Dawley rats for 13 weeks. Leaf folder resistant rice was added to the diet at percentage levels of 0, 5 and 20 percentage/feeder and was administered for 13 weeks. The results did not show any changes in food and water intake. There were also no biolog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both body and organ weights, hematological and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autopsy and histopathology between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NOAEL) of transgenic rice was considered to be more than 10,000 mg/kg b.w. under the conditions of the present study.

Antimicrobial Activity and Safety Test of Mixed Plant Extracts Including Phellodendron Amurense and Eucommia Ulmides Oliv (황벽나무, 두충나무 등을 포함하는 복합수목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안전성 시험)

  • Kim, Hyunwoo;Shin, Hyejin;Hwang, Danbi;Lee, Jieun;Bak, Manchun;Kim, Jinhong;Kim, Donguk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1 no.5
    • /
    • pp.536-539
    • /
    • 2013
  • In this study, mixed plant extracts including Phellodendro namurense and Eucommia ulmides Oliv were tested for antimicrobial activity and safety. Antimicrobial activity was measured by disc diffusion method using normal skin flora and opportunistic microbes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Escherichia coli and Candida albicans. As safety test, single dose oral toxicity test, single dose inhalation toxicity test and repeat dose inhalation toxicity test were done. From antimicrobial test, plant extracts showed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y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 however, did not indicate any antibacterial effect on Escherichia coli. From 3 kinds of safety tests, toxicity of mixed plant extracts was not observed. From experimental results, mixed plant extracts including Phellodendro namurense and Eucommia ulmides Oliv showed good potential for natural antimicrobial agent.

Efficacy of Mebendazole in Treatment and Control of Trichuriasis in Korea (편층증 치료 및 집단관리에 있어서 메벤다졸의 효과)

  • 서병설;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v.21 no.1
    • /
    • pp.95-101
    • /
    • 1983
  • 편층증의 개인치료와 집단관리에 있어서 메벤다졸의 유용성 및 효과를 측정하였다. 메벤다졸(100∼1,200mg) 투약 3주후 430명에 있어서의 치료효과는 15.0∼64.0% 및 24.6∼95.2%의 치유율 및 충란감소율을 보여 대체로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이었으나 메벤다졸의 총 투여량이 높으면 높을수록 치유율 및 충란감소율도 높아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일정간격 반복투여(600mg용량)에 의한 집단관리를 주민(4개군, 총 551명)의 편충란양성율은 3개월간격(3일 분복군) 투여 군에서 가장 현저한 감소추세를 보여 관리시작후 1년만에 40.0%에서 5.6%로 저하되었고, 3개월 간격(단희 또는 2회 분복군), 6개월, 12개월군 및 대조군에서는 감소추세가 완만하거나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메벤다졸은 편충의 개인치료에는 그다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3개월간격으로 반복투여하면 집단관리에는 유효한 약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일측성선조체의 6-OHDA손상 후 도파민효능약물 투여로 발현된 회전운동의 특성

  • 이순철;문민선;이수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7.04a
    • /
    • pp.104-104
    • /
    • 1997
  • 본 실험은 신경독성물질을 이용하여 선조체도파민신경찰성을 충분하게 손상시키고 도파민효능약물투여 후 유발되는 특정행동이 basal ganglia에서 발생되는 진행성이며 퇴행성신경질환인 파킨슨씨 질환(Parkinson's disease : PD)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지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흰쥐의 왼쪽선조체에 6-OHDA 8,16 and 24$\mu\textrm{g}$/2${\mu}\ell$(in 0.1% ascorbic acid)를 각각 투여하여 효율적으로 상동행동을 발현하는 신경독성물질의 투여 용량을 검토하고 도파민신경에 작용하는 약물의 투여방법(반복투여), 관찰기간(수술후 1주부터 4주간) 및 투여시기(7,21 및 35주령)에 따른 행동발현의 특성을 비교검토하고 아울러 성별의 영향도 검토하였다.

  • PDF

내성 및 의존성 형성 약물의 약효 검색

  • 김학성;오기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3.04a
    • /
    • pp.77-77
    • /
    • 1993
  • 약물 내성 (tolerance) 및 의존성 (dependence)은 그 약물이 지니고 있는 여러 가지 약리작용과 관련되어 형성된다. 약물의 반복투여 후, 나타나는 작용이 처음의 반응 (response) 보다 감소되어 나타나는 현상 즉, 내성과, 이와는 반대로 약물반복 투여 후 나타나는 작용이 처음의 반응보다 점점 증가하는 역내성 (reverse tolerance 또는 sensitization) 측정에 있어서 약물에 따라 적절한 검색 방법을 설명한다. 의존성에 있어서 약물 섭취 결과 mood가 변하거나 도취감 또는 만족감을 일으키게 되면 그 감각을 재 경험하고 싶다는 욕구가 일어나게 되는 정신적 의존성(psychic dependence)과, 약물을 반복 투여하다가 갑자기 투여를 중단 했을때 여러가지 생리학적인 또는 행동적인 변화가 급격히 증가하여 금단증상을 나타내는 신체적 의존성 (physical dependence) 측정 방법을 제시한다. 내성과 의존성은 근본적으로 다르지만 대부분의 경우 내성이 형성되면 의존성이 형성된다. 여기서는 주로 morphine과 psychostimulants를 투여한 후 나타나는 약리작용에 대한 내성과 opioids (마약성 진통제)의 의존성 평가 방법에 대한 model을 설명하고자 한다 진통성 내성(analgesic tolerance)에 있어서 진통제의 진통력은 진통력 측정 방법(tail pinch, paw-withdrawal, tail flick, tail-withdrawal, hot plate, writhing, etc)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각각의 진통제의 정합한 내성 측정 방법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역내성 (roversetolerance)은 cocaine, amphetamine, opioids둥의 만성투여에서 일어난다. 이들 역내성을 측정하는 한 방법으로 자발운동을 측정하는데 locomotor activity cage나 tilting cage를 이용한다. 정신적 의존성(psychic dependence)은 약물 섭취 욕구를 이용한 CPP (conditioned place preference)법을 소개한다. 신체적 의존성 (physical dependence)은 opioids를 만성적으로 투여한 후 naloxone으로 precipitation하여 나타난 여러 가지 금단증상을 측정하고 몇몇 평가 model을 제시한다.

  • PDF

Antimicrobial Activity and Safety Test of Natural extract including Phellodendro namurense, Eucommia ulmides Oliv extracts (황벽나무, 두충나무 추출물 등을 포함한 천연 추출물의 항균력 및 안전성)

  • Noh, Daeyoung;Joe, Suehyeon;Yang, Hyunguk;Han, Donggyun;Kim, Jinhong;Kim, Donguk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4 no.6
    • /
    • pp.762-766
    • /
    • 2016
  • In this study, natural extract including Phellodendro namurense, Eucommia ulmides Oliv and Prunus padus were tested for antimicrobial activity and safety. Antimicrobial activity was measured by using opportunistic microbes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Escherichia coli and Candida albicans. As safety test, cell viability test, single dose oral toxicity test, single dose inhalation toxicity test, repeat dose inhalation toxicity test and eye irritation test were done. From antimicrobial test, natural extract showed execellen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 Escherichia coli. From 5 kinds of safety tests, toxicity was not observed. From experimental results, natural extract including Phellodendro namurense, Eucommia ulmides Oliv and Prunus padus showed superb safety and antimicrobial effect.